[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홍성}}} || || 노선 ||<-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센트럴시티터미널]]) || ↔ ||<-2>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홍성종합버스터미널]]) || ||<|2> 홍성행[br](하행) || 첫차 || 06:40 ||<|2> 서울호남행[br](상행) || 첫차 || 06:00 || || 막차 || 21:40 || 막차 || 20:40 || ||<-3> 배차간격 ||<-3> 일 14회 || ||<-3> 운수사명 ||<-3> [[충남고속]] || ||<-2> 상세 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경부고속도로]] ↔ [[동탄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서오산JC]] ↔ [[평택파주고속도로]] ↔ [[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평택JC]] ↔ [[서해안고속도로]] ↔ [[당진JC]] ↔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 [[고덕IC]] ↔ [[40번 국도]] ↔ [[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충남도청)]] ↔ [[609번 지방도]] ↔ [[홍성종합터미널]] || == 개요 ==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홍성군]]을 잇는 [[고속버스]] 노선. [[충남고속]]에서 단독운행하고 있다. == 역사 == * [[2004년]] [[10월 22일]] 서울호남발 예산·보령·당진·서산행 노선이랑 동시에 무정차 고속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089|예산·홍성·당진·서산·보령↔강남 무정차 고속버스 개통]], 충청투데이, 2004-10-23] * [[2012년]] [[12월 18일]] [[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가 개통되면서 [[고덕IC]] 경로로 변경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명절 대수송기간을 제외하면 '''무조건''' [[홍성IC]]를 통해 진출입하였으며 이후 2009년 5월 당진상주고속도로 개통에 따라 일부 편성은 [[예산수덕사IC]]로 대체하기도 했었다.] == 특징 == || 운행계통 || 서울(호남) || 내포신도시(충남도청) || 홍성 || || 고속 || ○ || ○ || ○ || * 터미널 동편으로 약 500m를 걸으면 [[장항선]] [[홍성역]]에서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와의 연계가 가능하며, 같은 서울호남발 노선인 [[고속버스 서울호남-보령|보령]]·[[고속버스 서울호남-군산|군산]]·[[고속버스 서울호남-익산|익산]] 노선이 매진되었을 경우 이 고속버스를 이용해 홍성으로 내려간 뒤, 홍성역에서 장항선 열차로 갈아타는 대안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서울에서 익산은 그냥 철도로 가는 것이 낫고, 군산은 서산에서 시외버스 타는 것이 좋다. 홍성에서는 군산행 시외버스가 일 3회, 당진에서는 일 2회인 데 비해 서산은 그나마 일 6회이다. 그리고 군산역은 군산시외버스터미널보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똑같은 예로, [[고속버스 서울호남-보령|서울 - 보령]] 고속버스 노선도 장항선 [[대천역]]과의 열차 연계가 가능하다. * 장항선 철도와 직접적인 경쟁을 하는 관계여서, 홍성발 시간표가 이르다. 따라서, 해당 고속버스 막차를 놓친 경우 21시 44분에 당역에서 출발해 용산역으로 가는 무궁화호 1568 열차를 이용해야 한다. 다만 서울발 막차는 열차보다 늦은시간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밤늦게 서울에서 내려온다면 고속버스를 타는게 낫다. * 2024년 이후 개통될 [[서해선]] [[KTX-이음]]이 운행을 시작하면, 향후 수요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이기도 하다. 일단, 2024년 이후에 개통될 서해선 KTX-이음은 송산까지만 운행하기에 서울 도심으로 갈려면 여러 노선을 환승해야 하는 많은 불편이 따르지만, 서해선이 향후 경부고속선과 직접 직결[* 그건 불가능한게 KTX-이음은 처음부터 준고속구간에만 투입되게 만든 차종이다.]되어 KTX-이음이 서울역 또는 용산역까지 운행하는 경우, 타격으로 인한 수요 감소는 불가피하다. 일단 서해선 KTX가 [[김포공항역]]에 들어가게 되면서 홍성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수요는 확실하게 철도로 이동하게 될 예정이고[* 서울역에서 센트럴시티가 김포공항보다 가깝지만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속도가 매우 빨라서 [[서울역]]과 [[김포공항역]]을 22분만에 이어주는 데 반해, [[고속터미널역]]에서 [[서울역]]은 [[충무로역]]에서 대기시간 없이 환승이 되어야 그 정도 걸린다.], 이 노선은 강남으로 가는 사람들이 이용하게 될 듯 하다. * [[2021년]] [[12월]] 기준 1일 14회 운행으로 증편된 상황이다. [[홍성종합터미널]] 및 [[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 운행 노선 중 유일한 실정.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일반 철도역: [[홍성역]] ([[새마을호]],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 [[분류:고속버스 서울호남]][[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