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 [[파일:동대구-춘천 고속 한일.jpg|width=100%]] 한일고속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737373> {{{#ffffff 고속버스 춘천 ↔ 동대구}}}||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남동(춘천)#s-5.3|온의동]] ([[춘천고속버스터미널]])||<-2><:>종점||<:>[[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대구)|신천동]]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2><:>종점행||<:>첫차||<:>07:00||<|2><:>기점행||<:>첫차||<:>07:00|| ||<:>막차||<:>17:30[*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17:30]||<:>막차||<:>17:30[*A]|| ||<-3><:>배차간격||<-3><:>일 5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일 9회]|| ||<-2><:>운수사명||<:> [[대원고속]], [[한일고속]]||<-2><:>인가대수|| 4대[* [[대원고속]] 3 : [[한일고속]] 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대원고속 3 : 한일고속 2] || ||<-2><:>경로||<-4><:>[[춘천고속버스터미널]] ↔ {{{#bbb 영서로}}} ↔ [[춘천IC|{{{#bbb 춘천IC}}}]] ↔ [[중앙고속도로|{{{#bbb 중앙고속도로}}}]] ↔ [[칠곡IC|{{{#bbb 칠곡IC}}}]] ↔ [[칠곡중앙대로|{{{#bbb 칠곡중앙대로}}}]]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평역]] ↔ [[신천대로(대구)|{{{#bbb 신천대로}}}]]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와 [[대구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의 노선으로 [[대원고속]] 및 [[한일고속]]이 [[공동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 1989년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의 개장과 함께 신설된 노선으로, 당시에는 동부고속, 중앙고속, 한일고속의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중앙고속도로]] 개통 이전에는 춘천 - 원주간은 [[5번 국도]], [[원주IC|원주 나들목]]에서 [[호법JC|호법 분기점]]까지는 [[영동고속도로]], [[남이JC|남이 분기점]]까지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하다가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 당시에는 [[팔달교]]에 위치해 있었으며, 현재의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인 당시 이현 나들목이 아닌 현재의 [[북대구IC|북대구 나들목]]이다.]까지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시기 미상. 심야우등의 시간도 존재했으나(23시), 현재는 폐지되었다. * 2007년 7월부터 춘천 측은 현재의 위치 → 2016년 12월부터 대구 측은 현재의 위치로 양쪽 기착 터미널이 이동했다. * 2010년 7월부터 [[동부고속]]이 [[고속버스 춘천-광주|광주 ↔ 춘천]], ~~[[고속버스 원주-강릉|원주 ↔ 강릉]]~~[*결행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2021년 11월부터 동일 노선인 옆동네의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시외]] ↔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시외]]에서 승하차하는 방법밖에 없다. 단, 출발 시간에 때른 직통 외 직행 및 완행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시간표 확인 후 탑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시외버스 철산-속초|속초(강릉 경유)(양양 미경유) ↔ 광명의 KTX 및 철산동]]~~[*폐선 2021년 01월부터 수요의 적자로 추측된다.], [[고속버스 강릉-대전복합|대전 ↔ 강릉]] 노선과 동시에 자사 운행분을 대원고속에 노선을 매각하면서 현재와 같은 공동 배차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 2022년 4월부터 [[중앙고속]]이 철수했다. 이 여파로 1일 5회로 감회됐다. == 특징 ==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되었으나 2022년 4월 기준 코로나19로 인해 전회우등으로 조정되었다. * [[환승휴게소]]가 없기 때문에 기사님의 재량에 따라 1. [[안동휴게소]] / 2. [[영주주차장]](임시) / 3. [[단양팔경휴게소]] / 4. [[치악휴게소]] 중으로 정차한다. * [[중앙고속도로]]의 거의 대부분 구간[* [[칠곡IC|칠곡 나들목]] ↔ [[춘천IC|춘천 나들목]]]을 경유하는 유일한 [[고속버스]] 노선이다. → 단, 대구행 한정으로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의 [[만평역]]'''으로 발권하는 승객이 없으면 기사님의 재량에 따라 [[칠곡IC]] 다음 '''마지막 구간의 [[금호JC]]([[중앙고속도로]]의 기종점(춘천 ↔ 대구 기준)) → [[경부고속도로]] → [[북대구IC]]'''의 경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중앙고속도로의 전 구간을 완벽하게 루트로 가능하다.''' * 바로 옆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 있는 대구 [[북부정류장]] 경유 [[서부정류장]] 노선은 [[홍천터미널|홍천]], [[횡성시외버스터미널|횡성]],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를 경유해서 가는 반면[* [[시외버스 대구서부-춘천|대구서부 ↔️ 춘천]] 참조. 2018년 4월 30일까지는 무정차 노선과 홍천, 횡성, 원주 - 대구북부 노선이 따로 있었다.], 이 노선은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춘천IC로 진입한 후 중앙고속도로 직통으로 대구까지 가는지라 더 유리하며, 수요도 더 많다. 또한 철도 연계도 이쪽이 더 유리한 편이다.[* 서부정류장은 [[서부정류장역]]이 있지만, 북부정류장은 [[만평역]] 바로 앞에 있는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달리 만평역과 거리가 있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과 인접한 [[동대구역]]은 대구 도시철도역과 일반 철도역 모두 있다.]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신천대로 쪽으로 P턴하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다. 이 노선은 칠곡중앙대로를 따라 [[칠곡IC|칠곡 나들목]]까지 가기 때문이다. * [[시외버스 인천-속초|인천 ↔ 속초]]와 더불어 [[한일고속]]의 단 둘 뿐인 [[강원특별자치도]]행 노선이다. * 요즘에는 차돌리기가 자주 이뤄지고 있고, 일반은 주말 및 공휴일에 종종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 막차도 이르고 운행횟수가 적으니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동서울행 시외버스를 타고 [[동서울터미널]]로 가서 [[고속버스 동서울-동대구|동대구행 고속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낫다. == 주의사항 ==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만평역]]에서 탑승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의 출발 시간을 기준이며, '''정체시 15~30분 이상 소요된다.'''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 성인 || 20,400원 || 30,100원 || || 아동 || 10,200원 || 15,100원 || == 연계 철도역 ==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 [[남춘천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만평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남춘천역]](ITX-청춘) [[분류:고속버스 동대구]][[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분류:춘천시의 교통]][[분류:198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