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DSC09650.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width=25]] 고양시 좌석버스 10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108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일산터미널) ||<-2>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역]]) || ||<|2> 종점행 || 첫차 || 05:2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40 || 막차 || 23:40 || ||<-2> 평일배차 || 100분 ||<-2> 주말배차 || 190분 || ||<-2> 운수사명 || [[명성(버스회사)|명성운수]] ||<-2> 인가대수 || 2대[* 차량 자체는 4대 있었다.] || ||<-2> 노선 ||<-4> 일산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이 아닌 [[명성운수]] 북일산영업소를 말한다. 낚이지 말자.] - 장성중, 대진고교 - 유화프라자 - 강선마을 - [[일산동구|일산동구청]] - 강촌마을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대곡역 - 화정역, 롯데마트 - 능곡고등학교 - [[행주산성]]입구 - {{{#aaa 자유로 - 강변북로}}}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역]] → 진주아파트 → [[시범아파트]] → [[여의도중학교]]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고속도로이후 역순 || == 개요 == [[명성운수]]에서 운행했던 일반좌석버스로, 일산과 능곡, 능곡과 여의도를 잇던 노선이다. == 역사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8.jpg]]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3212|출처]] 공동배차 시절.[* 엄밀히 따지면 명성운수 108번의 전신은 아니지만 공동배차에 참여했던 [[선진운수|타사]] 차량이다.] * 구 노선번호는 1008번으로, 일산신도시와 여의도를 잇는 [[직행좌석버스]]로 신설되었던 노선이다. 당시 노선 경로는 지금과 달랐다. 대화동 교통연수원(서울 소속)/송포동(명성운수) - 대화중 - 장성중.대진고 - 강선마을 - 일산구청 - 강촌마을 - 백석동 - 대곡역 - 화정지구 - 능곡중고교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강변북로 - 서강대교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종합상가 → KBS별관 → 시범아파트 → 여의도중.고교 → 여의나루 → 마포대교 → 자유로/강변북로 → 이후 역순 * 아무래도 노선번호가 번호였던 만큼, [[명성운수]] 뿐만이 아니라 [[동해운수]], [[선진운수]], [[신성교통]], [[신촌교통]], [[선진여객(서울)|범양여객]] 등 당시 고양시에서 영업하던 거의 모든 서울시 버스 업체가 공동배차에 참여했다. [[고급좌석버스]]의 전성기 가운데에 일산신도시를 대표하던 버스로써 손색이 없었고, [[김포 버스 1002|1002번(김포공항-광화문)]], [[경기광주 버스 1005|1005번(분당-광화문)]], [[경기광주 버스 9301|1007번(하남-광화문)]] 등 쟁쟁한 노선과 같이 운행하던 시기였다. * 하지만 당시 자금이 많이 후달리던 편이었던 신촌교통이 2대만 남기고 감차되었고, 이후에도 신성교통과 동해운수가 공동배차를 포기하여 운행 차량이 선진운수 소속으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2001년]] 5월 1일자로 선진운수와 신촌교통이 명성운수의 엄청난 견제로 인하여 운행을 완전히 포기함으로써 결국 [[명성운수]]만 남게 되었다. 비단 견제가 없었다고 하여도, [[https://imnews.imbc.com/replay/1996/nwdesk/article/2002037_30711.html|노선 자체가 상당한 굴곡 노선]]이기도 하거니와 당산역이나 영등포에서 타 교통수단으로 환승해서 가는 것이 시간적으로 절약되다보니 하향세를 탈 수 밖에 없는 노선이기에 계속 운영해야 할 메리트가 있는 노선도 아니었다. * 2001년 5월 1일부로 명성운수에서 단독 운행하게 되었고, 이후 일반좌석버스로 전환한다. 2003년경에는 대화동 본사에서 지금의 차고지로 이전 및 여의도 구간 변경을 실시하였고, 2009년 11월 1일에는 고양시 시내버스 번호 개편[* 입석버스는 두 자리, 일반좌석버스는 세 자리, 직행좌석버스는 네 자리.]에 따라 108번으로 바뀌었다. * 일자 미상으로, 서강대교/마포대교를 경유하여 바로 여의도로 갔던 것이 동사 영등포행 노선들과 똑같이 성산대교/양화대교 및 노들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켜 버스들이 정차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는데, 이렇게 되면서 주변 교통이 더 혼잡해지는 경우가 잦았다. 때문에 2017년 7월 1일부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승객을 받는 걸로 바뀌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11140|관련 기사]] ([[:파일:20170705_104056.jpg|관련 사진]]) * 2018년 7월 1일부로 일산터미널이 폐쇄되어 관리통합 차원으로 차량 주박을 [[고양공영차고지]]로 이동하였다. * 코로나19로 파행운행을 하다 수요 저조로 인해 2020년 5월 1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그 다음날 [[고양 버스 77|77번]]과 함께 1대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그러다가 2020년 5월 16일부로 [[고양 버스 77|77번]]과 함께 다시 무기한 운행 중단되었다. 말이 운행 중단이지 이후 일자 미상으로 끝내 카카오버스, GBIS에서도 삭제되었고, 여전히 인가상으로는 휴업이지만, 사실상 폐선이나 다름없다. == 특징 == * 전체적으로 노선 성격이 애매했다. 일산 구간은 일산터미널에서 바로 강선마을로 가지 않고 대산로로 돌아가는것도 모자라, 일산동구청까지 잘 가다가 갑자기 마두역을 앞두고 좌회전을 해서 강촌마을로 돌아갔다.[* 사실 이건 1993년 노선 개통 당시까지만 해도 일산신도시의 교통 중심이 중앙로가 아니었고, 당시 가장 먼저 입주했던 강촌마을이 가장 큰 수요처였기 때문에 이런 선형으로 개통된 것이다.] 그것도 모자라 일산에서 바로 서울에 가지 않고 화정과 능곡으로 돌아가서 일산에서의 수요가 없었다. 그럼 덕양구에서는 수요가 많았냐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알다시피 구일산이나 덕양구 구간에서 여의도로 가는 건 버스보다 전철이 더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여기서도 수요가 없었다. 더군다나 이 노선은 [[고양 버스 1500|영등포]]나 [[고양 버스 871|여의도]]로 가는 노선들이라면 꼭 거치는 핵심 수요처 당산역을 경유하지 않았기에 더더욱 수요가 없었다(). 그렇다고 배차간격이 좋냐고 하면 그것도 아니었기에 타는 것 자체가 힘들었다. 그렇기에 [[고양 버스 77|770번]]의 파행운행이 가장 심했던 2018년을 제외하고는 항상 [[명성운수]]의 노선들 중 가장 승하차량이 적었다. 그렇게 두 노선은 마지막까지 명성운수의 승하차량 뒤에서 1,2위를 찍다가 사이좋게 폐지되었다().[* 770번은 그래도 강선마을 이후부터는 선형이 올곧은 편이지만, 같은 구간에 빗자루질을 하고 다니는 [[고양 버스 1000|경기도 승차량 2위 광역 노선]]으로 인해 수요를 다 뺏겼다().] * 영등포를 거쳐 여의도로 가는 [[고양 버스 871|871번]]과는 여의도 경유 구간이 다르니 이용 시 주의해야 했다. 871번은 여의도환승센터, 전경련회관만 거친 후 다시 영등포로 간다. * 여의도역에서 환승할 시 3번 출구는 871번, 6번 출구는 108번이 정차하므로 BIS 도착 정보를 참고해서 움직였어야 했다. * 이 노선은 여의도환승센터를 가지 않아 이용에 주의해야 했다. 또한 [[김포 버스 1002|1002번]]과 더불어 유이하게 '''국회의사당'''(19129)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이'''었'''으나 현재는 해당 정류장에서 철수하였기에 1002번 버스가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대곡역~화정지구~능곡 구간은 [[고양 버스 921|921번]]과 마찬가지로 9자 모양으로 돌아서 운행했다. * [[명성운수]] 일반좌석노선 중 가장 인가대수가 적었다.[* 2018년엔 770번이 제일 적었으나 770번이 2019년 2월 1일부로 77번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타이틀을 다시 얻었다.] * 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겨울이 시작되는 11월까지는 여의나루역에서 평일과 주말 정류장이 서로 다르니 주의해야 했다. 평일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정차하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 정차했다. [[:파일:20170708_135749.jpg|해당 정류장 사진]] * 출퇴근시간대가 아니면 수요가 별로인 노선이지만, 여의도에서 봄철 벚꽃축제나 가을철 불꽃축제처럼 행사가 열리는 날이면 앞문까지 낑겨 탈 정도로 승객이 많았다. * 2018년 들어서 주 52시간 법제화로 인해서 급여가 확 줄어버린 관계로 운행사원 부족으로 인해[* 이때 퇴사한 기사들 대다수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서울 시내버스]]로 이직했다.] 배차 간격이 조정되었다. 특히 일산터미널 폐쇄 이후 주말 아침에는 가끔 1대도 운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 노선이 없어진 현재는 [[고양 버스 1082|1082번]] 또는 [[고양 버스 1500|1500번]]을 타고 [[당산역]]으로 이동하여 목적지에 따라 [[서울 버스 6623|6623번]]이나 [[부천 버스 70-2|70-2번]] 및 [[부천 버스 700|좌석버스 700번]],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 * [[정발산역]][*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화정역(고양)|화정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산역]][* 차고지에서 일산초등학교 앞까지 직진 후 우회전해서 골목길 쪽으로 쭉 걸어가면 세 갈래 길이 나오는데, 거기서 왼쪽으로 빠져서 조금만 걸어가면 일산역이 나온다. 차고지에서 도보 700m. 10분 거리.], 대곡역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199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0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