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attachment/고양 버스 73/73.jpg]] 신촌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20]] {{{#ffffff 고양시 일반시내버스 73번}}} || ||<-2> 기점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신성교하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강선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40 || 막차 || 23:15 || ||<-2> 평일배차 || 출퇴근 30분/평시 40분 ||<-2> 주말배차 || 40분 || ||<-2> 운수사명 || [[서울여객(고양)|신성운수]]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4> 신성교하차고지 - 오도리 - 다락골 - 산내마을6.8단지 - 운정광역보건지소 - 지산중 - 한빛마을1~2단지 - 야당역 - 덕이하이파크시티 - 송산동주민센터 - 대화역 - 주엽역 - 강선마을 || == 개요 == '''전철에 밀려 사라진 역사적인 노선.''' 총 운행거리는 31km였다. == 역사 == === 舊 773번 === [[파일:신성773.jpg]] ||<-6><:> [[파일:파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파주시 일반좌석버스 773번}}}|| ||<-2><:>기점||<:>경기도 파주시 맥금동(맥금동차고지)||<-2><:>종점||<:>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신촌기차역)||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6:10|| ||<:>막차||<:>21:50||<:>막차||<:>23:15|| ||<-2><:>배차간격||<-4><:>10~15분(2009년 기준)/60분~120분(2013년 기준)|| ||<-2><:>운수사명||<:>[[신성교통]]||<-2><:>인가대수||<:>22대(2007년 기준)/2대~3대(2013년 기준) || ||<-2><:>노선||<-4><:>맥금동차고지 - 금촌역 - 장안아파트 - 새꽃마을1단지 - 금화초교 - 금릉초교 - 우체국 - 산내마을6.8단지 - 운정광역보건지소 - 지산중 - 한빛마을1.2단지 - 탄현역 - 동해운수 - 신촌초교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마두1동주민센터 - 이마트일산점(백신중/금계초교) - 백석역 - 고양경찰서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 - 연희104고지 → 서대문우체국 → 연대앞 → 신촌기차역 → 신촌오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 → 이후 역순|| * 서부여객이 1990년대 말부터 운행했던 77-3번 좌석버스(금촌 - 신촌)가 전신이다. 이 때는 명성운수 소속 [[고양 버스 76|76번]]과 함께 피 튀기는 경쟁을 했다. 2001년에 [[선진버스]]에서 [[고양 버스 88|88번]]을 개통하기 전까지 76번과 함께 [[리즈시절]]을 맞았으며, 단거리 수요와 장거리 수요 모두 많았다. 88번 개통 이후에는 단거리 수요가 점차 줄어들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6765|관련 게시물]] * 2002년 3월 1일에 서부여객이 신성교통에게 흡수되면서 신성교통이 운행하게 되었다. * 2002년에 맥금동 차고지가 완공된 후 기점이 금촌에서 맥금동으로 연장되었다. * 2003년 11월 9일에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어 번호가 77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11월 5일부터 금촌택지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04년 12월 10일에 일반좌석버스로 환원되었다. * 2006년 10월 30일에 교하읍사무소 대신 금촌택지지구가 있는 금촌도서관 경유로 바뀌었다. * 2007년 10월 1일에 770번 좌석버스(교하차고지 - 신촌역)를 흡수하면서 교하지구(현대.월드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 경의선 전철이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신차가 들어갈 정도[* 당시 일산/운정신도시를 통틀어 최초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좌석버스가 투입되었다.]로 신성교통이 신경 썼던 노선 중 하나였는데, 전철이 개통하면서 몰락하기 시작했다. 거기에 88번도 꾸준히 증차하면서 몰락을 가속시켰고, 2010년 3월 16일에 9706번이 [[서울 버스 700|700번]]으로 전환되면서 저렴한 700번으로 승객들이 많이 빠져나갔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196516|2011년 1월 4일]], 773번, [[서울 버스 7727|7727번]], [[서울 버스 9701|9701번]]과 3중 추돌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 형간전환 이후 === * 2013년 8월 10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73번으로 변경되었고, '맥금동 - 신성교하차고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http://lover8909.tistory.com/1418|관련 게시물]] 하지만 같이 몰락하던 76번이 평시 2~3대, 많으면 4~5대가 운행할 때 73번은 달랑 2대로 운행할 정도로 운행 의지가 없었다. 하지만 76번이 감차되면서 73번보다 배차간격이 나빠지더니 2014년 10월에 아예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그대로 폐선되었다. * 2013년 11월 1일에 노선이 신성운수로 이관되면서 면허도 파주시 면허에서 고양시 면허로 바뀌었다. * 2014년 1월 10일에 다율동차고지가 교하로 이전하면서, 노선이 5km 정도 연장되었다. * 2014년 3월 3일에 '탄현역 - 후곡마을 - 국립암센터 - 백석고교 - 백석역' 구간이 '탄현역 - 덕이하이파크시티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호수공원 - 백신고교 - 백석역'으로 변경되었다. [[http://lover8909.tistory.com/m/1757|관련 게시물]] * 2015년 4월 12일에 '강선마을 - 일산호수공원 - 백신고교 - 백석역 - 행신동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세대 - 신촌기차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수요 저조로 추정된다.] 덕분에 배차간격은 많이 좋아졌다(20분 간격).[* 그러나 주말에는 여전히 '''80분'''이었다(...).] * 2016년 1월 16일에 폐선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77806|관련 게시물]] == 특징 == * 덕이하이파크시티를 경유하는 세 노선([[파주 버스 10|10번]], 73번, [[고양 버스 830|830번]]) 중 하나였다. [[마을버스]]도 3개([[고양 버스 058|058번]], [[고양 버스 071|071번]], [[고양 버스 074|074번]])밖에 없었다. * [[운정신도시]]와 [[덕이동|덕이지구]]를 경유해 [[주엽역]]에서 회차하는 폐선 직전의 선형에서의 연선 주민들에게는 [[파주 버스 92|92번]](운정 및 주엽 구간), [[파주 버스 10|10번]](덕이지구 구간)이 이 노선의 좋은 대체 노선이 된다. * 공교롭게도 [[신성교통]] 교하차고지에서 [[서울 버스 773|서울간선 773번 버스]]가 출발하여 [[운정신도시]]와 [[일산신도시]]를 경유하여 [[고양어울림누리]]를 거쳐서 [[은평뉴타운]] 방면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다만 덕이지구와 [[주엽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대화동 농수산물센터에서 대산로에 들어가기 때문에 [[주엽역]]으로 가지 못한다.] 그리고 이쪽은 노선 단축으로 번호를 바꾼 케이스라...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야당역]][* 한빛마을4.5단지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20m]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16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