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박람회]] == 개요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에서 매년마다 개최하는 꽃박람회이며, 국내 최대 규모의 꽃박람회이다. 재단법인 고양국제꽃박람회에서 운영한다. == 역사 == '''1991'''년 제 1회 한국고양꽃전시회를 개최한 이후, 고양시에서는 3년마다 국제 꽃박람회를 개최하기로 확정했다. 1996년까지 제 6회 고양꽃전시회를 개최하고 나서, 1997년에 드디어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꽃박람회인 고양세계꽃박람회가 열리게 되었다. 그리고 효율적인 준비와 경영개념을 도입한 행사로 발전해 나가고자 1998년에 꽃박람회조직위원회 창립 총회를 한 후 재단법인 설립인가를 거쳐서 1999년에 재단법인 고양국제꽃박람회가 만들어지게 된다. 1997년부터, 3년 간격으로 고양국제꽃박람회를 개최하면서 3년의 공백기간 동안에는 한국고양꽃전시회를 매년 개최하다가, 2013년부터는 꽃전시회와 꽃박람회를 통합하면서 고양국제꽃박람회를 매년 개최하게 된다.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꽃박람회를 개최하지 못했고, 2022년에는 3년 만에 화훼산업대전이라는 소규모 축제로 개최했다가[* [[코로나 19]]로 인해 축제 기간이 짧았고, 저 당시는 방역 완화 전이라 관람객 수 제한도 있었다.] 2023년에 다시 4년 만에 고양국제꽃박람회를 개최했으며, 올해인 2024년에는 4월 26일부터 5월 12일까지 17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 상세 ==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꽃박람회로 개최 시 매년 30만여 명이 다녀간다.[* 고양시민들은 사전예매 시 할인요금 적용.] [[일산호수공원]] 일대에서 매년마다 개최되며 공원 북서쪽에 있는 음악분수대인 [[노래하는 분수대]]의 가동도 동시에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5월에 공식 가동이라 적혀 있지만, 꽃박람회 개장일에 맞춰서 가동이 시작되며 꽃박람회 기간에는 매일 음악분수 공연을 하고 있다.] 매해 다른 주제와 테마를 잡아서 개최되며, 국제꽃박람회인 만큼 다양한 국가의 협회, 기관, 단체가 참여한다.[* 2024년의 주제는 '''지구환경과 꽃'''이다.] 2013년부터 매년 개최로 바뀌면서 규모가 작아지긴 했지만, 2024년에는 호수공원의 북서쪽인 [[노래하는 분수대]]와 호수공원 내 장미원, 전통정원도 꽃박람회 구역에 포함되어서 규모가 커지게 되었다.[* 그동안 한울광장, 주제광장 쪽을 많이 썼는데 이번엔 규모를 넓힌 것. 이로 인해 교통체증이 심했는데, 교통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박람회 개최, 혁신적인 공간 활용이 기대된다.] 2024년은 [[노래하는 분수대]]에 웰컴정원과 공연무대를 조성하며, 장미원은 장미정원으로, 생태정원/전통정원도 주제정원, 이상한 계절의 아이들, 한국정원, 에코키친가든, 고양로컬가든, 글로벌 세계 작가 정원, 플라워 익스플로전, 스마트가든의 다양한 테마 정원으로 꾸몄다.[* 이로 인해, 현재 장미원은 장미들을 심고 정비하는 등 공사가 진행 중이라 2024년 4월 25일까지는 출입이 불가능하다.] 고양꽃전시관, 야외정원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꽃들과 전 세계 희귀식물, 국내외 이색식물들을 전시하며, 동시에 플라워 마켓을 운영하면서 꽃을 팔기도 한다. 그리고 매년마다 국제꽃어워드를 개최하는데, 화훼작가들이 장식디자인/기술수준, 창의성 등등을 겨루기도 하며 2024년에는 플라워그랑프리로[* 4월 25일~27일 진행.] 플라워 디자인 경기대회를 대한민국 최초로 개최한다. 여담으로, 박람회에 사용된 조형물이나 꽃들은 박람회가 끝난 후에도 철거하지 않고, 5월 말~ 6월 초까지 조형물을 연장 전시한다. 시민들의 자유로운 관람을 위해서인 듯. == 기타 == 재단법인 고양국제꽃박람회는 꽃박람회뿐 아니라, 매년마다 가을철이 되면 고양가을꽃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가을 꽃을 주제로 개최하며 고양국제꽃박람회보다는 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볼거리는 많은 편이라 사진 찍기 딱 좋다. 역시, 고양시민은 할인요금이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