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제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59471 0%, #3EB489 20%, #3EB489 80%, #359471); color: #ece5b6" '''북제 추존 황제[br]{{{+1 초공애제 | 楚恭哀帝}}}'''}}} || ||<|2> '''출생''' ||[[557년]] || ||[[북제]] [[허베이성|발해군]] [[헝수이시|수현]][br](現 [[허베이성]] [[헝수이시]] 징현) || ||<|2> '''사망''' ||[[571년]] 9월 (향년 14세) || ||[[북제]] [[허베이성|발해군]] [[헝수이시|수현]][br](現 [[허베이성]] [[헝수이시]] 징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고(성씨)|발해 고씨]] || || '''휘''' ||엄(儼) || || '''부모''' ||부황 [[고담(북제)|무성제]][br]모후 [[무성황후 호씨]] || || '''형제자매''' ||[[고위]] || || '''배우자''' ||[[초제후]] || || '''자녀''' ||1남 || || '''작호''' ||낭야왕(瑯邪王) || || '''시호''' ||초공애제(楚恭哀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북조시대]] [[북제]]의 [[추존]] 황제이다. 무성제 [[고담(북제)|고담]]과 [[무성황후 호씨]]의 아들로, 후주 [[고위]]의 친동생이었다. 형 고위에 의해 초공애제(楚恭哀帝)로 추존되었다. == 생애 == 557년, 고담과 호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고담의 후계자로 고려되었기에 형인 고위의 질투를 받았다. 무성제의 치세에 동평왕(東平王)으로 봉해졌으며 [[시중]], 중서감(中書監), 경기대도독(京畿大都督), [[대장군]], [[사마|대사마]]를 역임하고 568년 12월, 부황이 붕어하자 낭야왕(瑯邪王)에 봉해졌다. 형인 후주 고위는 고엄을 매우 경계했으며 화사개(和士開), 목제파(穆提婆)[* 아버지는 목초(穆超)였으며, 어머니는 후주 고위의 유모이자 태희(太姬)에 임명된 육령훤(陸令萱)이었다.]의 참언으로 기회를 봐 고엄을 죽이려고 했다. 571년 4월 고엄을 한직에 보내 경기의 병권을 회수하려 하자 고엄은 호태후의 매부인 풍자종(馮子琮)과 연합해 화사개를 죽이고 육령훤(陸令萱), 목제파 모자도 죽이려 했으나 명장 [[곡률광]]에게 세력이 진압당하여 실패했다. 이후 고엄은 모친인 호태후의 궁에 머무르며 보호받았으나, 동년 9월 유도지(劉桃枝)에게 살해되었고 시간이 흐른 후 초공애제(楚恭哀帝)로 추존되었다. 고엄에겐 아들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태어나자마자 유폐되어 죽었다. == 기타 == 고엄의 시호는 초공애제(楚恭哀帝)로 '황제'(皇帝)가 아닌 '제'(帝)로만 끝나는데 이는 완전한 '皇帝'에서 일부러 '황'을 빠뜨려 그 위상에 차이를 둔 것이다. 보통 '황'보다 '제'가 더 높은 위상을 가지기에 초공애제는 '황제'보다 낮고, '황'보다는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으나, 영어로는 황제, 황과 똑같이 'Emperor'로 번역된다. [[분류:남북조시대의 추존 황제]][[분류:557년 출생]][[분류:57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