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 개요 == [[평라선]] [[둔전역(평라선)|둔전역]]에서 분기해서 [[장동역(고원탄광선)|장동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길이 17.6km. 1435mm [[표준궤]]로 건설되었다. 해당 노선에 소속되어 있는 역이 죄다 산지에 있는 역인데, 이 일대의 탄광 자원을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설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비전철화 구간이라서 운송이 쉽지만은 않을 듯. 부설 연도는 1950년. 이 지역에서 나오는 물자를 동해안에 있는 공장에 연료로 써먹는다고 한다. 이 고원 탄전에서 무연탄이 채굴되기 때문. 이름은 고원탄광선이지만 정작 2023년까지는 모든 역이 [[고원군]]이 아닌 [[수동군]]에 존재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북한에서 그냥 장난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지독하게 이리저리 바뀐 행정구역 덕분. 광복 직후 고원군 소속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 수동군 신설(이미 이 때부터 고원군 바깥에 있었다) ─ 1972년 수동군 폐지, 고원군 편입 ─ 1990년 다시 수동구 신설(다만 군 단위가 아닌 구 단위로써 시/군과 동격이며 도에 직속하는 형태) ─ 2020년 수동군으로 변경. 이로 인해 고원군이 뻔히 남아있으면서 고원군에 있지도 않은 주제에 고원탄광선이라는 이름이 붙어버린 것. 그나마 2023년 경 수동군이 다시 폐지되어 고원군으로 편입되면서 모든 역이 드디어 고원군에 속하게 되었다. 생산성이 있는 탄광에는 자의든 타의든 사람과 마을이 몰리게 마련이다 보니 해당 노선의 역이 소속된 행정구역이 모두 로동자구를 거쳐갔었다는 사실 또한 재미있다. [[둔전역(평라선)|둔전역]]은 팔흥로동자구, [[수동역]]은 수동로동자구, [[덕사역]]은 덕사로동자구, [[장동역(고원탄광선)|장동역]]은 장동로동자구.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고원탄광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둔전역(평라선)|둔 전]] || 屯 田 || 기점 || 0.0 || 17.6 || [[평라선]] || ||<|4><:> 함남 고원군 || || [[수동역|수 동]] || 水 洞 || 7.8 || 7.8 || 9.8 || || || || [[덕사역|덕 사]] || 德 寺 || 3.9 || 11.7 || 5.9 || || || || [[장동역(고원탄광선)|장 동]] || 長 洞 || 5.9 || 17.6 || 0.0 || || || [[분류:북한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