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의 == {{{+1 古典小說}}} 근대 이전, 즉 1910년대 [[신소설]] 출현 이전[* 이 서술에 약간의 예외가 있는데, 1910년대 이후에도 신작 구소설이라는 이름의 고전소설이 찍어나왔기 때문에 논쟁이 있다.]까지 출현한 소설들을 통칭하는 단어. 고대소설, 고소설이라고도 한다. 다만 고대소설은 역사의 시기 구분에 맞지 않아서 잘 쓰이지 않는다. '소설'이라는 개념에서 전통적인 전(傳)과 한문단편, 실기류 등 여러 종류의 산문들과 영향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에, 몇 마디의 문장으로 그 범위를 확정짓기는 어렵다. '픽션의 가미' 정도로 판단하는 것이 일단은 가장 간단한 기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목록 == 이 문단에는 [[소설]] 중에서도 역대 [[동양]]의 고전소설의 목록을 나열한다. [[가나다순]]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한국의 고전소설 이본 목록들은 이미 책으로 나와 있는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이본 현황까지 보려면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를 참조 바람. 이본의 종류 및 상태와 소장처까지 기술해 놓았다.] === 한국 === [include(틀:한국의 고전문학)] 2018년 출판된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을 기준으로 했다. ([[http://commbooks.com/%EB%8F%84%EC%84%9C/%ed%95%9c%ea%b5%ad-%ea%b3%a0%ec%a0%84%ec%86%8c%ec%84%a4%ec%82%ac-%ed%81%b0%ec%82%ac%ec%a0%84-1-%ea%b0%80%eb%a3%a8%ec%a7%80%ea%b8%b0%ed%83%80%eb%a0%b9%ea%b0%9c%eb%98%a5%ec%b6%94%ec%9e%84%eb%a1%9d/|링크]] 에서 내용 참고) 이 책에 실린 한국 고전소설 작품 수는 3090편이며, 이 중 내용 유실로 이름만 남은 경우가 1965편이다. 다만, 추후 추가 조사와 발굴로 변동할 여지가 있다. 해당 책에서도 지난 10년간 많은 고전소설이 새로 발견되었음을 언급하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고전소설이 1125편이며, 이 중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1028편이라 한다. 아래 나열된 고전소설 목록은 이 중 일부에 해당한다. [[판소리]]계 [[소설]]은 판소리명을 적은 후 소설명을 기술함. * [[가전체]] 문학들 * [[강도몽유록]] * 강로전 * [[까치전]] * [[검녀]] * [[곽장양문록]] - [[1773년]](영조 49년), [[정조(조선)|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 정조의 두 여동생 청연공주, 청선공주, 궁녀 영희, 경희, 복연이 필사. 곽씨와 장씨 두 가문의 이야기를 그린 가문소설. 전 10권 10책.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곽해룡전 * 광문자전([[박지원(실학자)|박지원]]) - 주인공이 실존 인물인 점 등, 내용이 수필에 가깝다. * [[구운몽]]([[김만중]]) * [[구토지설]] * [[금방울전]] - 이거는 조금 애매하다.. * [[규중칠우쟁론기]] * [[금오신화]]([[김시습]]) - 한국 최초의 [[한문]] 소설집. * [[금우태자전]] * 기재기이(신광한) - 한국 최초의 상업 소설집. * 김원전 * [[김현감호]] - 대표적인 [[이물교구설화]]. * 남궁 선생전([[허균]]) * 매화전 * 민옹전(박지원) * [[박씨전]] * 박태보전 * 방한림전 - 여성 영웅 소설의 하나이나 동류의 다른 소설들과 다르게 여성동성애와 '매우 비슷한' 전개가 특이한 부분. 남장하고 이름을 널리 알린 주인공 방관주가 영씨가문의 강압으로 결혼하게 된 히로인 영혜빙에게 첫날밤에게 여자임을 들킨다, 결국 관주가 그냥 이렇게 된 이상 미안하다며 형제의 의로서 남자고 제안하지만 영혜빙이 나는 남자랑 혼인하는게 마음에 안든다면서 부부로 남자고 해버린것. 소설 결말도 백합냄새가 진하게 나는데 방관주가 죽자 영혜빙도 그 뒤를 따라 같이 죽는다. 방관주는 자신이 여성이라는것을 감추기 위해서, 영혜빙은 당대 부부 관계의 억압 구조에 대한 거부감으로 서로의 필요에 의해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이런 소설을 썼다는게 알려지면 어떻게 될지 뻔하므로 당연히 작자미상이다. * 배비장타령 - [[배비장전]] * [[백학선전]] * 부용전 * 사수몽유록 * [[사씨남정기]]([[김만중]]) * 삼선기 * [[삼한습유]] * [[서동지전]] * [[설공찬전]] * [[소대성전]] * [[소현성록]] * [[수궁가]] - 토끼전, 별주부전 * [[숙영낭자전]] * [[숙향전]] * [[숙녀지기]] * [[심생전]](이옥) * [[심청가]] - [[심청전]] * [[양반전]]([[박지원(실학자)|박지원]]) * [[영영전]] * [[예덕 선생전]] - (박지원) . 한국의 고전소설 이본 목록들은 이미 책으로 나와 있는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이본 현황까지 보려면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를 참조 바람. 이본의 종류 및 상태와 소장처까지 기술해 놓았다. * [[오유란전]] * [[옥단춘전]] - 춘향전의 아류 * [[옥란기연]] - 창란호연록의 속편 * [[옥루몽]] * [[옥소선]] * [[옥주호연]] * [[옹고집타령]] - [[옹고집전]] * [[용문전]] * [[운영전]] * [[위경천전]] * [[유씨삼대록]] - 유효공선행록의 속편. * [[유효공선행록]] * [[윤지경전]] * [[유충렬전]] * [[은애전]] - 실제 사건을 다룬 논픽션 * [[임경업전]] * [[임진록]] * [[이춘풍전]] * [[인현왕후전]] * [[원생몽유록]] * [[장경전]] * [[장국진전]] * [[장끼타령]] - [[장끼전]] * [[장풍운전]] * [[장화홍련전]] * [[적성의전]] * [[전우치]]전 * 정수정전 - [[홍계월전]]의 아류. * 종옥전 * [[조웅전]] * 주생전 * 창란호연록 * [[창선감의록]](조성기) * [[채봉감별곡]] * 천수석 * [[최고운전]] * 최랑전 * [[최척전]](조위한) *최치원전 * [[춘향가]] - [[춘향전]] * [[콩쥐팥쥐]]전 * 하진양문록 * [[허생전]]([[박지원(실학자)|박지원]]) * 현씨양웅쌍린기 * [[호질(소설)|호질]](박지원) * 홍백화전 * [[화사]](임제) * [[화산중봉기]] * [[화왕계]] * [[황새결송]] * [[홍계월전]] * [[홍길동전]]([[허균]]) * [[흥보가]] - 흥부전 === 중국 === * [[중국사대기서]] * [[금병매]] * [[삼국지]] - [[삼국지평화]] - [[삼국지연의]] * [[서유기]] * [[수호전]] - [[대송선화유사]] * [[홍루몽]] * [[연의]] * [[봉신연의]] * [[수당연의]] * [[양가장연의]] * [[열국지]] * [[초한지]] * 남유기 * [[북유기]] * [[삼협오의]] ([[칠협오의]]) * 상동팔선전 ([[동유기]]) * [[요재지이]] * [[유림외사]] * [[평요전]] === 일본 === * [[겐지모노가타리]] * 난소 사토미 팔견전 * [[마쿠라노소시]] * 삼랑전 (三郞傳) - 일본에서는 언급이 없고, 오직 조선에서만 언급되는 일본의 소설. 조선에서의 인기가 너무 좋아서 조선통신사들이 성지순례까지 했다고 한다. * 오토기보코 (가비자, 伽婢子) * 요시츠네기 (의경기)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콘자쿠모노가타리슈 (금석물어집) * [[팔견전]] * [[헤이케모노가타리]] * 호색일대남 (好色一代男) === 유럽 === * [[기사문학]] * 고대 로마 * [[사티리콘]] * [[황금 당나귀]] == 관련 문서 == * [[고전소설/클리셰]] * [[이물교구설화]] * [[전기물]] * [[문예 관련 정보]] [[분류:고전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