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 소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629에 위치한 공용[[버스 터미널]]이다. [[1973년]]에 인가를 받아서 [[1974년]]부터 개장하여 영업을 시작하였다. [[1985년]]에는 시설을 한 차례 증축하며, 이 때 승/하차장 위치가 터미널 뒷쪽에서 지금 위치인 중앙로 쪽으로 변경된다. [* 과거에는 이 항목이 시외버스터미널로 되어있었지만, 정식 명칭도 그렇고 엄연히 공용버스터미널이다. 서울발/서울착 고속버스, 농어촌버스의 기종착점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 현재는 개업 40년이 넘었기에 상당히 노후화되었다. [[정읍고속버스터미널]]이 개축되어 더욱 낡아보인다.지금은 문화터미널고창으로 리모델링되긴 했다만 낡아보이는 면이 있다. == 노선 == === [[전환시외]]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시외버스 서울호남-고창|{{{#ffffff 정안알밤휴게소[br]서울}}}]]''' || 일 16회 || [[대한고속]][br][[전북고속]][br][[호남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고창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ffffff 흥덕}}}''' ||<-2> 발권불가 || ||<#002147> '''[[정안알밤 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2:00 || ₩ 9,900[br]₩ 12,900({{{#0000ff 우등}}}) || ||<#002147> '''[[센트럴시티|{{{#ffffff 서울(호남)}}}]]''' || 3:20 || ₩ 17,200[br]₩ 22,4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30}}}, 07:30, {{{#0000ff 08:20, 09:20}}}, 10:00, 10:50, 11:40, {{{#0000ff 12:25, 13:10, 13:55, 14:40}}}, 15:30, 16:20, 17:10, {{{#0000ff 18:00}}}, 19:00|| ||<-3><(>06:30 ~ 18:00 시간대에 [[정안알밤 휴게소]]를 경유하며, 시외버스 업체에서 운행하므로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어 수동으로 검표한다. 2020년 1월 8일부터 시외우등을 투입하였으며, 1월 22일부터 우등할증이 적용되었다. 인천공항선을 제외하면 [[호남고속]] 노선 중 유일하게 우등이 투입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전주행 버스를 타고가서 환승해야 한다.|| }}} || === [[시외버스]] === 호남권 방면뿐이'''었'''다. 지리적으로 호남의 중서부인 탓에 비 호남 지방으로 나가기가 좀 애매하다. 광주나 전주를 통해서 오가거나 정읍 주변에서 한정된 비호남 노선으로 들어오는 길 외에는 전무했다. 그러다 2014년 12월 21일부터 김제를 경유하여 인천으로 가는 노선이 신설되었다.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34565]] [[유스퀘어|광주]][[시외버스 광주-장성사거리·고창·선운사|광역시]], [[정읍종합버스터미널|정읍]], [[영광종합터미널|영광]],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군산시외버스터미널|군산]],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 [[함평시외버스터미널|함평]], [[목포종합버스터미널|목포]], [[인천종합터미널|인천광역시]] 등의 행선지가 있다. 이 중 북행 노선의 경우 '''인천 노선을 제외하고는''' 항상 흥덕공용버스터미널에서 중간 정차한다. == 시외버스 중간정류소 == * 흥덕공용버스터미널 * 무장 정류소 * 해리공용터미널 * 상하 정류소 * 구시포 정류소 * [[선운산]] 정류소 == 일평균 이용객 == === 고속버스 === 고창공용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고속버스 이용인원 일일 승객 수이다. ||<:><-10>{{{#FFFFFF '''고창공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이용인원'''}}}||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454명||<:>'''180명'''||<:>누락됨||<:>206명||<:>||<:>||<:>||<:>||<:>||<:>|| * 2017년 자료는 누락되었다. * 출처: [[https://www.kotsa.or.kr/ptc/app/#/cross/use|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지역간 대중교통 이용지표]] === 시외버스 === == 농어촌버스 == [[고창군 농어촌버스]] 문서 참조 각 면 지역이나 '''멀리는 영광, 정읍까지 나가는 노선도 있다.''' 농어촌버스 전량이 대한여객(대한고속) 소유지만 공영제이다. [[분류:전라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고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