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3> {{{+2 '''고천'''}}}'''(의왕시청)'''{{{+2 '''역'''}}} || ||<-3><#ffffff,#191919> [[동탄인덕원선|[[파일:DILine_icon.svg|width=30]]]] || || --[[인덕원역|{{{#!html
인덕원 방면}}}]][[오전역|오 전]]--[br]← 1.5 ㎞ || [[동탄인덕원선|{{{#!html
동탄인덕원선}}}{{{#white (미개통)}}}]] || --[[동탄역|{{{#!html
동탄 방면}}}]][[파장역|파 장]]--[br] 4.4 ㎞ → || ||<-3> {{{#!wiki style="margin: -9px -8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경수대로 고천사거리,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ocheon {{{-2 (Uiwang City Hall)}}} || || [[한자]] ||<-2> 古川(義王市廳) || || [[간체자]] ||<-2> 古川(义王市厅) || || [[가나(문자)|가나]] ||<-2> [ruby(古川, ruby=コチョン)][ruby((義王市庁, ruby=ウィワンシチョン)]) || ||<-3> '''주소''' || ||<-3>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284-2 일대 || ||<-3> '''운영 기관''' || ||<-3> 미정 || ||<-3> '''관리역 등급''' || ||<-3> 미정 || ||<-3> '''개업일''' || || [[동탄인덕원선|{{{#ffffff 동탄인덕원선}}}]] ||<-2> 2027년 12월 || ||<-3> '''역사 구조''' || ||<-3> 지하 n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 ||<-3> '''열차거리표''' || || [[인덕원역|{{{#!html
인덕원 방면}}}]]~~[[오전역|오 전]]~~[br]← 1.5 ㎞ || '''[[동탄인덕원선]]'''[br]고 천[br]{{{#red (착공 예정)}}} || [[동탄역|{{{#!html
동탄 방면}}}]]~~[[파장역|파 장]]~~[br] 4.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동탄인덕원선]] 105정거장. [[경기도]] [[의왕시]] 경수대로 239에 신설될 예정이다. 역사 승강장은 지하 4층에 들어 올 예정이다. 역 남쪽으로 고천사거리를 지하차도로 통과하게 되는 [[1번 국도]]의 고천지하차도가 있어서 고심도로 건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역 정보 == 의왕시청, 고천동주민센터, 의왕경찰서, 의왕소방서, 의왕보건소가 인근에 있으며, 특히나 의왕시청 별관과는 거의 딱 붙어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역과 [[파장역]] 사이로는 [[지지대고개]]를 통과하는데, 여기는 수원과 의왕의 접경지역으로 그린벨트로 묶여있어 별다른 수요처가 없다. 따라서 역도 지어지지 않기 때문에 노선의 역간 최장 길이인 4.4km가 탄생하게 된다. 2023년 5월 13일, [[의왕시]] 고천체육공원에서 열린 두발로 Day 행사에서 [[이소영(정치인)]] 의원이 [[동탄인덕원선]]에 대한 언급을 했다. 고천역의 위치를 고천육교 옆 '쌍용대리점' 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의왕시]] 경수대로 239 일대에 역이 생길 것으로 추정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탄인덕원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의왕시의 교통)] [[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2027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동탄인덕원선]][[분류:미개통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의왕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