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고한승}}}[br]高漢承''' || ||<-2> [[파일:L79_1.jpg]] || || '''호''' ||포빙[br]包氷|| || '''예명''' ||고마부, 고사리, 고한용 등|| ||<|2> '''출생''' ||1902년 8월 27일[*A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2992|두 작가를 동일인물로 혼동한 문학사적 오류 - 아동문학가 고한승과 다다이스트 고한용의 생애 고찰 중심으로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대한제국]] [[경기도]] [[개성시]]|| ||<|2> '''사망''' ||1949년 10월 29일 (향년 47세)[*A][*B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ㄱ~ㅂ'' (2009), 고한승 부분.]|| ||[[대한민국]] [[부산]]|| || '''학력'''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 {{{-2 (졸업)}}}[br][[니혼대학]] {{{-2 (법문학과 [예술과] / 졸업)}}}||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시기의 인물. == 생애 == 1902년 8월 27일, 경기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1920년에 극예술협회에서 창립자이자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21년 7월에 송경학우회 연극단의 일원으로 있었다. 1922년 7월엔 강연당으로 옮겨 활동했고, 1923년 4월 개성 문인들과 녹파회를 조직했다. 같은 해 5월에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했고, 6월엔 형설회의 국내 순회 연극단에 참여해 경성, 평양, 함흥 등지를 순회했다.[*B][*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036|고한승(高漢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24년 2월엔 심대섭과 잡지 "신문예"를 발행했고, 같은 해 5월 개성에서 [[어린이날]]을 기념해 강연했다. 1925년 5월엔 소년단체 지도자연합회이던 오월회 조직에 참여했다. 이후 귀국했다.[*B] 귀국하고선 문필가로 일하기 시작했고, 경성일보사에서 기자로 일하기도 했다. 1928년 개성에서 주식회사 개성상사의 설립에 참여하고 전무이사로 일하였다. 1929년엔 개성인삼판매조합 이사, 같은 해 7월엔 개성체육회 이사, 9월엔 개성 고려청년회 조직부 이사, 1932년 11월엔 학예부 이사를 맡았다.[*B] 1931년 개성부 부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돼 1945년까지 부회의원 직위로 일제에 협력했다. 1933년 2월, 고려시보사 창립을 주도하고 서무주임으로 있다가 다음 해 3월에 탈퇴했다. 1933년부터 39년까지 개성인삼등업조합에서 평의원 겸 이사로 있었으며, 1935년 4월 송도금융조합 평의원, 1939년 10월 개성부 방호단 서분단으로 있다가 [[장고봉 사건]]으로 일하던 곳이 개성경방단으로 바뀌자 그곳에서 고문 및 부단장으로 일했다.[*B] 1941년 12월에 개성 지역 유지들이 일본 육군과 해군에 비행기를 헌납하려하자 실행위원으로 참여했고, 1945년 1월에 일제에 전투를 위한 비행기를 제공하던 송도항공기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대표이사로 지냈다. 해방 후 1948년 5월 월간 "어린이" 편집인으로 있다가, 1949년 2월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6월에 공민권 정지 5년을 언도받았다.[*B] 1949년 10월 29일에 부산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는 고따따를 가명으로 썼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A] [[분류:1902년 출생]][[분류:194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