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사비교언어학)] Paleohispanic languages 古히스파니아諸語 [목차] == 개요 == [[고대 로마]]의 침공 이전에 [[이베리아 반도]]에서 쓰이던 여러 언어를 총칭하는 명칭이다. [[고유럽 제어]]와 비슷해 보이지만, 일부 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했기 때문에, 완전히 같지는 않다. == 상세 == [[역사비교언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로마 공화정]]의 침공 이전에 쓰였던 언어를 고히스파니아 제어로 지칭한다. 좀더 정확히는 [[포에니 전쟁]]의 일환으로 로마 공화정의 군대가 기원전 209년에 [[이베리아 반도]]를 침공하고 [[히스파니아 속주]]를 설치하면서 그때까지 존재했던 [[카르타고]]의 영향력을 일소했는데, 그 이전까지 이베리아 반도에서 쓰이던 언어들을 총칭하는 표현이다. 당시 이 지역에는 오늘날의 [[영국]] 일대에서 내려온 [[켈트족]]과 비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선주민인 [[이베리아인]], [[바스크|바스크족]], [[타르테소스|타르테소스인]]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들은 로마의 히스파니아 속주로 편입된 후에 로마의 문물을 급속도로 받아들였고, 그 결과로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바스크어]]를 제외한 모든 토착 언어들이 소멸했다. 다만, 고히스파니아 제어 계열 언어들의 흔적은 현대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지명이나 인명, [[스페인어]]나 [[포르투갈어]] 등의 현존 이베리아 제어[* [[바스크어]]를 제외하면, 전원이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의 [[로망스어군]]에 속한다.]의 일부 어휘와 문법 요소에 남아있다. == 분류 == * [[미분류 언어]] * [[이베리아어]]: 아래의 [[바스크어]]와 동계라는 설이 있다. * [[타르테소스|타르테소스어]]: 바스크어 및 [[이베리아어]]와 동계라는 설도 있고, [[인도유럽어족]]의 [[켈트어파]]에 속하거나, [[페니키아어]]의 방언이라는 설도 있다. * 바스크어족 * [[바스크어]]: 현존하는 유일한 고히스파니아 제어이며, 동시에 현대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고유럽 제어]] 계열 언어다. * [[인도유럽어족]] * [[켈트어파]] * 갈라이키아어 * 켈티베리아어 * [[미분류 언어|어파 미분류]] * 루시타니아어: [[켈트어파]]나 [[이탈리아어파]]에 속한다는 설이 있다. * 소로탑트어: 오늘날의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에서 사용된 언어로, [[켈트족]]보다 먼저 [[이베리아 반도]]에 유입된 [[인도유럽어족]] 계통 민족의 언어다. 소로탑트어의 화자들은 [[선사 시대]] [[중부유럽]]에 존재했던 [[철기 시대]] 문화인 언필드 [[문화]]의 분파로 추정되는데, 언어의 이름 자체는 [[고전 그리스어]]로 '장례용 단지'를 뜻하는 σορός와 '매장된'이라는 뜻의 θαπτός의 합성어다. [[분류:제어]][[분류:스페인의 역사]][[분류:포르투갈의 역사]][[분류:바스크]][[분류:고대 로마]][[분류:유럽의 언어]][[분류:고유럽 제어]][[분류:인도유럽어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