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BasicInsect-JP-Manga-DM-color.png|width=200]] || 한글판 명칭 ||<-4>'''곤충 인간'''|| || 일어판 명칭 ||<-4>'''[ruby(昆虫人間, ruby=ベーシック・インセクト)]'''|| || 영어판 명칭 ||<-4>'''Basic Insec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2.] || 땅 || 곤충족 || 500 || 700 || 원작 및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인섹터 하가]]의 초반 주력 카드로 등장. 당시에는 이 카드에 장착 마법 카드로 강화시키는 전법을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듀얼리스트 킹덤]] 개막 전에 개최된 전국 대회에서는 [[다이나소 류자키]]와 결승 듀얼에서 소환하여 [[화기부착 인섹트 아머]]를 장착, 공격력을 크게 상승시켜 류자키의 [[두 머리의 킹렉스]]를 쓰러뜨리며 [[원턴킬]]을 내버렸다[* 이 시합이 작중에서 최초로 묘사된 [[원턴킬]] 듀얼이다.]. 물론 현실에서 저런 짓을 해봤자 공격력 1200의 한주먹거리도 안되는 녀석이니 따라하지 말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도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소환하여 다른 곤충족 몬스터를 전개한 뒤 똑같은 수법으로 [[레이저 캐논 아머]]를 장착한 상태에서 총공격을 가했으나[* 곤충인간 몬스터 소환→필드 파워소스로 인해 공격력 30% 상승→레이저 캐논 아머로 인해 공격력 상승→파워 부스터 LV 2로 인해 공격력 상승→화기부착 인섹트 아머로 인해 무장강화로 4단 파워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4단 무장강화된 곤충인간의 공격력은 2150이고 수비력은 1410이다.][* 하지만 공격력은 계산 오류인 듯하다. 곤충 인간의 공격력은 500→필드 파워소스로 인해 공격력 30% 상승해서 650→레이저 캐논 아머(공격력과 수비력을 각각 300 상승하는 효과)로 인해 공격력 상승해서 950→파워 부스터 LV 2로 인해 공격력 상승하는데 장착 카드의 3배해서 900을 더해 1550→화기부착 인섹트 아머로 인해 공격력 상승해서 2250이 된다.], 유우기가 발동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에 의해 공격이 반사되어 다른 곤충 몬스터들과 함께 전멸해버렸다.[* 이때 하가의 라이프 포인트가 555가 되었는데 사실은 계산 오류다. 몬스터가 전투 이외의 방법으로 파괴될 경우, 파괴당한 몬스터들의 공격력의 합계의 절반의 수치만큼 컨트롤러가 데미지를 받는 룰로 인해 절반으로 데미지를 준다. 따라서 {(1500+1150+1200+1200+500)÷2}-2000=775가 된다. 따라서 라이프 포인트는 555가 아니라 775이다.][* 반사하는 공격이기 때문에 그 데미지가 라이프 포인트를 빼면 된다.][* 애초에 이 계산은 애니 4화의 후반에서 나온 건데 애니 5화부터는 계산이 잘 맞는다. 다만 이것보다 더 심각한 계산을 할 수 밖에 없는 캐릭터가 어둠의 플레이어 킬러인데...[[플레이어 킬러|자세한 건 항목 참조]]] 참고로 원작이나 토에이 극장판 때만 해도 이 카드는 '''레벨 5'''였다. 하지만 능력치는 그 당시부터 저 모양이었으니 그나마 레벨 2로 바뀐 게 다행. 원래 "곤충 인간"이라고 쓰고 "베이직 인섹트"라고 읽는 이름의 카드. 당시는 "블루 아이즈 화이트 드래곤"도 [[푸른 눈의 백룡]]으로 발매되던 시절이라 루비를 무시한 "곤충 인간"으로 직역해서 정발되었다. 곤충 인간이라고는 하지만 별로 인간같이 생기지는 않았다. 독음인 '베이직 인섹트'도 인간의 요소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이름이고 [[플레이버 텍스트]]에도 곤충 '인간'이라는 말은 안 나온다. 그냥 곤충이라고만 나오지. 그러니 사실상 이름에만 인간이 붙었지 [[사마귀]]이다. === 반다이판 === [[파일:BasicInsect-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곤충 인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昆虫人間, ruby=ベーシック・インセクト)]'''|| || 영어판 명칭 ||<-3>'''Basic Insec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곤충족 || 500 || 1000 || ||<-5>무력하지만, 여러가지 강화가 가능!|| ||<-5>'''~룰 ⑦~'''[br]전투 종료 후, 패에서 카드 1장을 뽑아, 패에 넣는다.|| ==== 화기부착 인섹트 아머 곤충 인간 ==== [[파일:ArmoredBasicInsectwithLaserCannon-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화기부착 인섹트 아머 곤충 인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火器, ruby=かき)][ruby(付, ruby=つき)][ruby(機甲鎧, ruby=インセクトアーマー)] [ruby(昆虫人間, ruby=ベーシック・インセクト)]'''|| || 영어판 명칭 ||<-3>'''Armored Basic Insect with Laser Cann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곤충족 || 2400 || 1300 || ||<-5>곤충 인간이 아이템으로 초강화!|| ||<-5>'''~룰 ⑧~'''[br]서로의 덱이 없어질 때까지, 매번 이것을 반복한다.|| [[화기부착 인섹트 아머]]를 장착한 버전을 구현한 카드.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BasicInsect-DM2-JP-VG.png|width=100%]] || [[파일:BasicInsect-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곤충 인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昆虫人間, ruby=ベーシック・インセクト)]'''|| || 영어판 명칭 ||<-4>'''Basic Insec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3.] || 숲마족 || 곤충족 || 500 || 700 || ||<-5>무리를 지어 사는 곤충. 숲 속은 그들의 지상 낙원.||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10199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곤충 인간, 일어판 명칭=昆虫人間(ベーシック・インセクト), 영어판 명칭=Basic Insect, 레벨=2,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500, 수비력=700, 효과외1=무리를 지어 사는 곤충. 숲 속은 그들의 지상 낙원.)] 1기 시절부터 있었던 전형적인 약소 [[일반 몬스터]]로 딱히 사용할 방법을 찾기가 힘들다. 레벨이 2밖에 안 되어 [[사우전드 에너지]] 등의 [[로우 레벨]] 서포트를 많이 받지만 보통 레벨 2의 일반 몬스터로 직접 싸운다고 하면 공격력 1400의 [[해황(유희왕)|해황의 장창병]]과 1350의 [[머더 서커스 좀비]]를 사용한다. 레벨 2, 땅 속성 곤충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 봐도 가장 약한 카드인지라 굳이 이 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공격력이 딱 500인 덕에 [[데브리 드래곤]]에 대응하긴 하지만 그런 몬스터를 쓰는 덱에도 이 카드보다 더 좋은 녀석은 널렸다. 하가가 같이 사용했던 [[바퀴볼]]이 [[소울 퓨전]]에서 리메이크되며 등장한 [[G 볼파크]] 일러스트에서는 3루수로 뛰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실제로도 G 볼 파크의 효과로 묘지로 보낸 뒤 한꺼번에 3장을 전개하여 [[링크 소환]]이나 랭크 2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타터 박스|STARTER BOX]]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青眼の白龍伝説-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 LB-07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 2 || DL2-008 || [[노멀]] || 일본 || 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3]] || TP19-JP006 || [[노멀]] || 일본 || 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Eyes White Dragon]] || LOB-00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peed Duel Starter Decks: Ultimate Predators || SS03-ENB04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Demo Deck 2020 || DEM6-EN011 || [[노멀]] || 미국 ||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 LOB-K00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012 Vol.12]] || TP12-KR006 || [[노멀]] || 한국 || 절판 || == 관련 카드 == === [[바이오인섹트아머]] === === [[소울 헌터(유희왕)#이차원에서 온 침략자|이차원에서 온 침략자]] === 곤충 인간의 [[팔레트 스왑]] 버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곤충 인간, version=66)] [[분류:유희왕/OCG/곤충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