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만화, rd1=골든보이(만화))]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dt6666.jpg|width=600]] '''Golden Boy''' 이탈리아 스포츠 언론인 [[투토스포르트]]가 2003년에 만든 상이다. == 상세 == 유럽에서 뛰는 젊은 선수들 중에서 1년 동안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유망주를 기자단의 투표로 뽑는다. 여기서 한 해란 1월 1일~12월 31일로 유럽 축구의 두 시즌의 절반씩을 포함한다. 사실상의 꼬마 발롱도르라고는 하지만 아직 역사가 일천해 예전 프랑스 풋볼 시절 발롱도르만큼의 권위를 갖고 있지는 않다.[* 사실 [[투토스포르트]]가 이탈리아 언론 중에서 살짝 급이 떨어지는 언론 취급 받는 것도 좀 문제라면 문제. 레푸블리카급 정론지는 아니더라도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 정도급의 언론이었으면 좀 더 나았을지도.] 다만 [[투토스포르트]] 외에도 독일의 [[빌트]], 스위스의 블리크, 포르투갈의 아 볼라, 프랑스의 레퀴프,[* [[FIFA]]에 흡수되기 전 발롱도르를 수여하던 프랑스 풋볼지의 모회사다.] 스페인의 마르카와 엘 문도 데포르티보, 그리스의 타 네아, 러시아의 스포르트 익스프레스, 네덜란드의 더 텔레그라프, 영국의 [[더 타임스]] 등 유럽의 유력 언론사들을 투표에 포함시키면서 공신력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 계속 잘 이어나간다면 권위와 공신력을 인정 받는 시상식이 될 듯. 수상 후보자들은 유럽 리그에서 뛰고 있는 만 20세 이하의 재능이 뛰어난 선수들에게 한정되며, 각 심사 위원은 5명의 선수를 지명 할 수 있고 각각 1위에게 10점, 2위에게 7점, 3위에게 5점, 4위에게 3점, 5위에게 1점을 부여할 수 있다. 전년도 수상자도 다음 해 수상 후보자에는 들어갈 수 있으나 연속 수상은 지금까지의 관례상 없었다. 과거와는 달리 최근 추세는 어렸을 때부터 포텐이 만개하는 선수들이 많기 때문에 이 상에 대한 주목도나 관심 역시 계속 늘어가고 있는 추세. 그래서 그런지 트로피 모양새도 [[발롱도르]]와 비슷하다. == 수상자 특징 == [[아르연 로번]],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하필 루니와 메시라는 당대 최고의 유망주들과 비슷한 또래라서 수상하지 못했다. 유망주 시절 평가는 루니가 호날두보다 훨씬 높았다.], [[루이스 수아레스]] 등 골든보이를 받지 못했지만 [[월드클래스]]를 넘어 한 시대를 대표할 만한 거물로 성장한 선수도 있다. 수상자 중 최고로 성장한 선수는 '''[[리오넬 메시]]'''고 [[웨인 루니]], [[세르히오 아구에로]]처럼 월드클래스로 성장한 선수들도 있다. 2008년~2011년 수상자는 폭망했다. [[안데르송]], [[알레샨드리 파투]], [[마리오 발로텔리]], [[마리오 괴체]]... 사실 이들도 수상할 당시에는 빅리그, 빅클럽에서 꽤나 활약하며 실력만으로 자신의 이름을 알린 선수들이었고 나이를 제외하고 봐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선수들이었지만 이 시기가 이들의 최전성기였다. 2012년 수상자 [[이스코]]는 [[레알 마드리드]]의 챔피언스 리그 3연패에 큰 공을 세웠다. 2013년 수상자 [[폴 포그바]]는 유벤투스에서 기대에 걸맞게 성장했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복귀하고 기대 이하의 활약을 하였다. [[앙토니 마샬]]은 2021년까지도 극심한 기복을 겪고 있다. [[헤나투 산체스]]는 소속팀 바이에른 뮌헨에서 부진하고 임대생활마저 실패했다. 2017년 골든보이 수상자 후보로 각자 리그 최상급의 활약을 펼쳤던 [[우스만 뎀벨레]], [[잔루이지 돈나룸마]]와 더불어 [[마커스 래시포드]], [[헤수스 바예호]], 알반 라퐁 등의 쟁쟁한 선수들이 있었지만, AS 모나코의 [[리그앙]] 우승과 함께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센세이셔널한 활약을 보인 음바페가 압도적으로 유력해보였고 세간의 예상대로 수상자는 음바페로 결정됐다. 2018년 골든보이 또한 '''[[월드컵]] 우승, 프랑스 3관왕, 월드컵 신인상, 월드컵 베스트 11, 2018 월드 XI 수상'''으로 전 연령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해도 되는 [[킬리안 음바페]]가 있었지만 2년 연속 같은 선수를 수상자로 뽑지 않는 골든보이 상의 관례 때문에 음바페는 수상 후보 50인 리스트에만 포함되고 최종 후보 5인엔 포함되지 못했다. 이에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 및 러시아 월드컵 잉글랜드의 4강 멤버인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와 [[마테이스 더리흐트]]가 경쟁에 나섰다. 결국 골든보이 수상자는 아약스의 더리흐트가 받게 되었다. 아놀드에 비해 더리흐트는 월드컵에는 나서지도 못했으며 챔스도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조기탈락 했으며 별 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에 다소 논란이 일었다. 수상의 근거를 해석해보자면 성과를 제외하고 선수의 잠재 능력만을 봤을 때 18년 기준 수비적인 불안요소가 드러나면서 약간의 아쉬움을 남기고 있는 아놀드보다 아약스와 네덜란드의 부활을 이끌고 있는 더리흐트가 좀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최고의 어린 선수가 아닌 최고의 '''유망주'''를 선발하는 골든보이의 취지에는 더리흐트가 더 적합하다고 평가한 듯. 2022년에도 이러한 이유로 퍼포먼스가 훨씬 좋았던 [[주드 벨링엄]]이나 [[자말 무시알라]]가 아닌 [[가비(2004)|가비]]가 수상했다. 한국 선수 중에는 [[이강인]]이 3년 연속 각각 20인, 100인, 60인에 포함되었으나 수상하지는 못했다. 이외 골든보이 100인 후보에 들어간 한국인 선수는 없다. == 역대 수상자 명단 == || '''연도''' || '''수상자''' || '''소속 클럽''' || '''국적''' || || 2003 || [[라파엘 판데르파르트]]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30]][br][[AFC 아약스]] || [[파일:UEFA NED.png|height=30]][br][[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 2004 || [[웨인 루니]] ||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30]][br][[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파일:UEFA ENG.png|height=30]][br][[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 2005 || [[리오넬 메시]] ||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height=30]][br][[FC 바르셀로나]] || [[파일:UEFA ARG.png|height=30]][br][[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 2006 || [[세스크 파브레가스]] || [[파일:아스날 FC 로고.svg|height=30]][br][[아스날 FC]] || [[파일:UEFA ESP.png|height=30]][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 2007 || [[세르히오 아구에로]] ||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height=30]][br][[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파일:UEFA ARG.png|height=30]][br][[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 2008 || [[안데르송]] ||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30]][br][[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파일:UEFA BRA.png|height=30]][br][[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 2009 || [[알레샨드리 파투]] || [[파일:AC 밀란 로고.svg|width=20]][br][[AC 밀란]] || [[파일:UEFA BRA.png|height=30]][br][[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 2010 || [[마리오 발로텔리]] ||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height=30]][br][[맨체스터 시티 FC]] || [[파일:UEFA ITA.png|height=30]][br][[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 2011 || [[마리오 괴체]]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30]][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파일:UEFA GER.png|height=30]][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 2012 || [[이스코]] || [[파일:말라가 CF 로고.svg|height=30]][br][[말라가 CF]] || [[파일:UEFA ESP.png|height=30]][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 2013 || [[폴 포그바]] ||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30]][br][[유벤투스 FC]] || [[파일:UEFA FRA.png|height=30]][br][[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 2014 || [[라힘 스털링]] || [[파일:리버풀 FC 로고.svg|height=30]][br][[리버풀 FC]] || [[파일:UEFA ENG.png|height=30]][br][[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 2015 || [[앙토니 마르시알]] ||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30]][br][[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파일:UEFA FRA.png|height=30]][br][[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 2016 || [[헤나투 산체스]] ||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30]][br][[FC 바이에른 뮌헨]] || [[파일:UEFA POR.png|height=30]][br][[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 2017 || [[킬리안 음바페]]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height=30]][br][[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UEFA FRA.png|height=30]][br][[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 2018 || [[마테이스 더리흐트]] ||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30]][br][[AFC 아약스]] || [[파일:UEFA NED.png|height=30]][br][[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 2019 || [[주앙 펠릭스]] ||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height=30]][br][[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파일:UEFA POR.png|height=30]][br][[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 2020 || [[엘링 홀란드]] ||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30]][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파일:UEFA NOR.png|height=30]][br][[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 2021 || [[페드리]] || [[파일: FC 바르셀로나 로고.svg|height=30]][br][[FC 바르셀로나]] || [[파일:UEFA ESP.png|height=30]][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 2022 || [[가비(2004)|가비]] || [[파일: FC 바르셀로나 로고.svg|height=30]][br][[FC 바르셀로나]] || [[파일:UEFA ESP.png|height=30]][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분류:축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