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순우리말]] [목차] [clearfix] == 개요 == 지리적 공간이나 지역의 어느 [[위치]]를 가리키는 말. 장소와 비교하여 막연한 위치를 의미한다. [각주] == 역사 == >施納寶城郡任內南陽 鹽田七'''庫''' (修禪社寺院現況記, 1221~1226) [[http://kostma.aks.ac.kr/dic/dicMain.aspx?lang=ko&mT=C&searchid=IDU_A1_000041&groupTitle=%EA%B3%B3&searchGroupID=IDU_A1_000041&searchGroupTitle=%EA%B3%B3&clsCode=BA|#]] >---- >金銀銅錫鐵冶等 __'''庫'''乙__ 奪占__爲在乙良__ 杖 一百 流 三千里__齋__ (대명률직해 5.4)[[https://dl.ndl.go.jp/info:ndljp/pid/1462946/114|#]] [* 밑줄은 [[조선총독부]] 편찬 [[대명률]]직해에 있는 윗줄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이두식 조사/어미 부분에는 줄이 그어져있다. [[띄어쓰기]]는 여기에서 내용의 흐름에 따라 추가한 것이다. 이두를 인용할 때에는 이와 같이 새로운 명사가 나올 때 / 동사 어미 결합이 끝날 때 띄어쓰기를 해서 인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금·은·동·주석 제련소 등의 '''곳'''을 빼앗아 점유하거든 장 100대, 유배 3000리이다. 매우 기초적인 의존명사로 [[한글 전 한국어 표기]]로도 종종 발견된다. 주로 [[庫]]([[고]])를 빌려 표기했다. 말음 [[ㅅ]]을 [[말음 첨기]]자 [[叱]]로 적어 庫叱이라고도 하였으며,[* 아래에서 보듯 15세기에 ㄷ말음과 ㅅ말음은 표기상으로 엄격히 분리되었지만, [[이두]]나 [[구결]]에는 ㄷ말음(그리고 ㅇ, ㅂ)의 표기가 매우 드물다(문현수 2020:92).][* 문현수 (2020)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 국어사연구, 30, 71-98[[https://www.earticle.net/Article/A373733|#]]] 두 글자를 합친 [[국자(한자)|국자]]로 廤이라고도 했다. >東,,도ᇰ,,都애 보내어시ᄂᆞᆯ 하리로 말이ᅀᆞᄫᆞᆫᄃᆞᆯ 이 '''곧''' 뎌 고대 後ㅿ 날 다ᄅᆞ리ᅌᅵᆺ가[* 원문에는 한자음이 안 들어가있고 알맞는 한자음을 찾아 넣음] >---- >용비어천가 26장 中 한글 표기로서의 '곳'의 첫 등장은 [[용비어천가]]로, 이 시기에는 ㅅ말음과 ㄷ말음이 아직 분화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곳'이 아닌 늘 '곧'으로만 등장한다. 이후 ㅅ 말음과 ㄷ 말음이 합류하면서 '자음 앞: [곧], 모음 앞: [고ㅅ]'으로 ㄷ말음의 표현형이 재구조화되었다. 표기 경향은 여타 ㄷ말음 어휘와 마찬가지로 근대 한국어로 갈수록 'ㅅ'의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위시한 현대 맞춤법에서 ㄷ종성 표기를 활용 및 파생에서 /ㄷ/이 표면에 드러나는 것(과 [[ㄷ 불규칙 활용|ㄷ 불규칙 용언]])으로 한정하면서[* 때문에 '곧이어'[고디어\]에서 'ㄷ'이 표현되는 부사 '곧'은 ㄷ종성 표기로 정해졌다. ㄷ종성 체언들(싣다, 얻다)도 이 시기에 ㄷ종성 표기로 정해졌다. 그 전까지 근대 한국어 시기에 이들 단어들은 대체로 'ㅅ'으로 적었다.] '곳'으로 정해졌다. 즉 '곧>곳'의 변화는 ㄷ말음과 ㅅ말음의 합류 양상, ㄷ종성 표기의 재정립 등으로 인한 표기상의 문제일 뿐 '곳'이라는 형태소는 줄곧 ㄷ말음을 유지해왔다. == 관련 표현 == 현대 국어에서 '[[데]]' 역시 장소를 가리키는 의존명사로 활발히 쓰인다. 단, '데'는 '이, 그, 저'에 바로 붙을 순 없고(*이 데) '이런 데'와 같이 관형형 뒤에서만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