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 나라의 영공방위를 책임지는 '''[[공군]]'''을 상징하는 [[군가]]로, 공군에 소속된 장병들의 동질감을 고취시키고 사기를 고양하기 위하여 부른다. 여기서는 대한민국의 공군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가 == [include(틀:국군 대표군가)] [[http://www.kafi.net/media/remake/remake_08.mp3|트로트 버전]] [[6.25 전쟁]]이 한참이던 1951년, 대한민국 공군의 정신적 지주라고 불리는 [[최용덕]] 장군[* 광복군 참모처장, 초대 [[국방부 차관]], 이후 제2대 [[공군참모총장]]직을 역임한다.]이 작사하고, 김성태 교수[*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였으며, 이후 학장 및 명예교수직을 역임한다.]가 작곡하였다. 공군 내에서의 위상은 '''애국가에 필적하며''', 공군의 모든 공식 행사는 시작할 때 국민의례와 함께 애국가를 부르고 끝날 때는 공군가를 제창한다. 공군은 기본군사훈련을 수료하고 나면 군가를 부를 일이 거의 없지만, 이 '''공군가만큼은 예외'''이다.[* 다만 대개 1절만 부르기 때문에 2절을 부를 일은 좀처럼 없으며, 공군 장병들도 대부분이 1절은 부르라고 하면 조건반사처럼 튀어나올만큼 숙지하고 있지만, 2절은 모르는 장병들이 더 많다.] 다만 고등비행 수료식 때만은 예외로, 빨간 마후라를 받는 행사인지라 공군가 대신 [[빨간 마후라]]를 [[https://youtu.be/FXPXxoMSEnE|부른다]]고 한다. 해군가는 뜀걸음할 때 부르지 않는 반면, 공군가는 육군가와 동일하게 뜀걸음 시 부르기도 한다. 애초에 전 세계적으로 공군은 육군 항공대에 뿌리를 둔 경우가 많아 육군의 문화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youtube(VQ9Gjr9dP8c)][* 영상의 악보는 사장조이나 영상 속의 음원은 내림 나장조이다.] [youtube(xTZiLOfKsDc)] ||(1절) 하늘을 달리는 우리 꿈을 보아라 하늘을 지키는 우리 힘을 믿으라 죽어도 또 죽어도 겨레와 나라[* 굉장히 톤이 높은 부분으로 삑사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아예 톤보다 발음을 세게 부르는 편이 좋다.][*해 해군가와 겹치는 가사이다.] 가슴 속 끓는 피를[*해 해군가와 겹치는 가사이다.] 저 하늘에 뿌린다 (2절) 하늘은 우리의 일터요 싸움터 하늘은 우리의 고향이요 또 무덤 살아도 되살아도 정의와 자유[*해] 넋이야 있고 없고 저 하늘을 지킨다|| == 여담 == [youtube(CivqNhCp0EM)] 과거 돌았던 비디오에는 적기 격추 장면이 있는데, 탑건의 [[MiG-28]]을 요격하는 장면이다. == 해외의 공군가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 공군]] - [[The Air Force Song]]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러시아 공군]] - [[항공행진곡]]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 공군]] - [[공군군가]] [[분류:대한민국의 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