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스라엘의 정당]][[분류:정당연합]][[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좌익대중주의 정당]][[분류:공산주의 정당]][[분류:빅 텐트 정당]][[분류:2015년 정당]][[분류:2022년 해체]] ||<:><-2> [[파일:공동 명단 로고.svg|width=200]]|| ||<-2> {{{#fff '''הרשימה המשותפת[br]االقائمة المشتركة'''}}} || || {{{#fff '''한국명'''}}} ||공동 명단||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cb5b5; border: #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청록색}}}}}}|| || {{{#fff '''결성'''}}} ||[[2015년]] [[1월 23일]]|| || {{{#fff '''해체'''}}} ||[[2022년]] [[9월 15일]]|| || {{{#fff '''이념'''}}} ||이스라엘 아랍계 권익[br][[반시오니즘]][br][[탈시오니즘]][br][[아랍 내셔널리즘]][br][[좌익 내셔널리즘]][br][[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부터 공산주의까지 다양하다.][br][[세속주의]]||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좌익]]|| || {{{#fff '''연합 대표'''}}} ||아이만 오데 || || {{{#fff '''정당 목록'''}}} ||[[하다쉬]][br][[발라도]][br]아랍 재건 운동(Ta'al)[br]아랍 민주당(Mada)|| || {{{#fff '''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cb5b5 calc(0*100%/120), #ddd 0%)" {{{#000 '''0석 / 120석'''}}}}}} || || {{{#fff '''웹사이트'''}}} ||[[http://www.moshtrk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px]]]] [[https://www.instagram.com/moshtraka|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px]]]] [[https://www.youtube.com/channel/UCa0lib1WwExwJvZdbNQwBU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px]]]][br][[https://www.facebook.com/JointListHebrew|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히브리어)]] [[https://www.facebook.com/moshtraka/|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아랍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의 [[좌익]]~[[극좌]] 정당 연합이다. [[하다쉬]], [[발라도]], 아랍재건운동 등이 소속되어있다. == 성향 == 내부적으로는 [[아랍 민족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등 현 이스라엘 정치에서 비주류인 성향의 정치세력이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있어서 [[양국 방안]]을 지지하고 비유대인 및 아랍인에 대한 차별에 반대하며 공통적으로 [[반시오니즘]] 성향을 강하게 띈다. 이런 입장 덕에 [[청백동맹]], [[예쉬 아티드]] 등 중도 성향 정당들에게는 연정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지만 [[리쿠드]]를 비롯한 이스라엘 내 정당들에겐 아랍 극단주의자 취급을 받으며 정당 취급조차 못받고 있다. == 역사 == [[연합 아랍 명단]]의 이탈 탓인지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2021년 총선]]에서 6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제2당이 된 [[예쉬 아티드]]가 연정 수립을 위해 우파 성향 [[야미나]]에 손을 내밀면서 반[[베냐민 네타냐후|네타냐후]] 연정 협상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결국 2021년 6월 13일, [[나프탈리 베네트|베네트]]-[[야이르 라피드|라피드]] 내각이 신임 투표를 통과하면서 반네타냐후 성향의 정당 중에는 유일하게 야당으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