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공무원)] [목차] == 개요 == ||<:> '''공무원보수규정''' || ||<(>'''제1조(목적)''' 이 영은 「국가공무원법」, 「헌법재판소법」, 「외무공무원법」, 「[[경찰공무원법]]」, 「의무경찰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소방공무원법]]」, 「의무소방대설치법」, 「교육공무원법」, 「군인보수법」, 「군무원인사법」, 「국가정보원직원법」 및 「군법무관 임용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공무원의 보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국가공무원(이하 "공무원"이라 한다)의 보수는 다른 법령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이 영에 따른다.||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5%EB%AC%B4%EC%9B%90%EB%B3%B4%EC%88%98%EA%B7%9C%EC%A0%95|공무원보수규정-국가법령정보센터]] [[2023년]] 대한민국 공무원의 봉급이다 단, '''기본급이며 아래에 언급한 월간수당과 공제금이 포함된 금액이 아니므로 실수령액과는 다르다.''' 다만, 판사와 검사는 각각 [[https://www.law.go.kr/%EB%B2%95%EB%A0%B9/%EB%B2%95%EA%B4%80%EC%9D%98%EB%B3%B4%EC%88%98%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법관의보수에관한법률]]과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2%80%EC%82%AC%EC%9D%98%EB%B3%B4%EC%88%98%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검사의보수에관한법률]]을 적용받으며, 2022년 기준이다. ##공무원 보수 규정이 갱신될 때마다 사진 갱신 바람 == 연봉 == ||[[파일:9출_일반직_연봉표_2023_20.png|width=100%]]|| || 9출 호봉별 총연봉 정리표 (2023년)[* 기준은 [[미필]]이자 [[독신]]인 [[국가공무원]] 9급 [[일반행정직 공무원|일반행정직]]으로, 성과상여금은 중위값인 A로 가정하었다. 따라서 실제 연봉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교대근무]], 특정직 여부, 대민업무 유무, 근무성적평정, 초과근무, 출장, [[자격증]], 부양가족, 기관의 특성(복지포인트와 연간 성과상여금 지급 횟수) 등에 따라 이보다 더 많이 받을 수도 있고, 반대로 적게 받을 수도 있다. 가령, 칼퇴로 유명한 [[교육행정직 공무원|교육행정직]]의 초과근무수당은 위 표에 나온대로 10시간 정액분이 전부라고 보면 된다. 더불어 기본급이 매년 인상되므로, 단순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좋다.][*요약 기본수당만 받는 '''9급 출신 [[일반행정직 공무원]]을 기준'''으로 '''대략 10년차에 5,100만원, 20년차에 6,700만원, 30년차에 7,800만원 상당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해당 이미지는 국가직 기준이라 지방직보다 승진이 다소 느리다는 점을 감안하자.] || == 기본급 == === 일반직 공무원 및 이에 준하는 [[특정직공무원]], [[별정직공무원]] 등 === [[파일:일반공무원_2023.gif]] === 전문 경력관 등[* [[재판연구원]]은 여기에 준용한다.] === [[파일:전문경력관_2023.gif]] === 공안업무 등에 종사하는 공무원 등[* 참고로 [[법원공무원]]도 여기에 속한다.] === [[파일:공안업무종사공무원_2023.gif]] === [[연구직 공무원]] 및 [[국가정보원]] 전문관 === [[파일:연구직공무원_2023.gif]] === [[지도직 공무원]] === [[파일:지도직공무원_2023.gif]] === 일반직 [[우정직 공무원]] 등 === [[파일:우정직공무원_2023.gif]] === [[경찰공무원]] 및 [[소방공무원]] 등 === [[파일:경찰소방공무원_2023.gif]]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원]] 등 === [[파일:국공립유초중고교사_2023.gif]] === [[국립대학교]]의 교원 등 === [[파일:국립대학교교수_2023.gif]] === [[직업군인]] === [[파일:직업군인_2023.gif]] === [[헌법연구관]], 헌법연구관보 === [[파일:헌법연구관_2023.gif]] === [[판사]][* [[재판연구관]]은 여기에 준용한다.] === [[파일:판사_2022.gif]] === [[검사(법조인)|검사]] === [[파일:검사_2022.gif]] == 월간수당 == === 직급보조비 === [[파일:직급보조비_2023.jpg]] === 정액급식비 === 직급에 상관없이 140,000원 일괄 지급한다. === 정근수당 === [[파일:정근수당_2023.gif]] === 대우공무원수당 === 일정 기간[* 발령일 기준 일반직 공무원 9~6급 5년, 4-5급 7년, 연구사·지도사 10년, 전문관 7년, 우정직 공무원 5년] 이상 동일 직급 근무시 본봉의 4.1%를 지급한다. === 복지포인트 === [[국가공무원]]은 40만원부터 시작하며, [[지방공무원]]은 60만원~200만원이다. 군경력 2만원, 근속연수당 1만원, 배우자 10만원, 직계존비속 5만원, 둘째 10만원, 셋째부터 20만원씩 가산한다. 2019년 [[경기도]] 기준 평균 지급액은 130만 8천원이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371258|#]] === 초과근무수당 === [[파일:공무원_초과근무수당_2023년.png]] 15일 이상 근무한 '''모든''' 공무원은 시간외근무 10시간을 가산한다.[* 다시 말해, 초과근무를 하나도 안 해도 10시간 상당 정액분을 지급받는다. 이는 평일 초과근로를 일괄적으로 1시간 감해서 계산하는 것에 대한 보완규정이라고 한다. 서울고법 2020누68822 판례 참고.] === 대민활동비 === 6급 이하 [[지방공무원]]은 50,000원을 지급한다. === 기술정보수당 === ||직급||지급금||자격증||가산금|| ||8~9급||2만원||[[산업기사]]||2만원|| ||6~7급||3만원|| [[기사(자격증)|기사]]·[[기능장]]||3만원|| ||4~5급||5만원||[[기술사]]||5만원|| [[기술직 공무원]]에 한해 지급되며, 복수 자격증 소지시 최상위 자격증 하나만 적용한다. === 복지업무수당 === [[사회복지직 공무원|복지공무원]]은 70,000원을 지급받는다. [[사회복지사]] 자격 소지시 30,000원 가산한다. === [[도서산간지역|특수지]]근무수당 === [[파일:공무원_특수지근무수당_2023년.gif]] === 위험근무수당 === [[파일:공무원_위험근무수당_2023년.gif]] == 정기수당 == === 명절휴가비 === 설날과 추석에 위 봉급표상 월봉급액의 60%를 지급한다. 다만, 징계로 감봉 처분을 받아 봉급이 감액 지급된 경우에는 감액되기 전의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 성과상여금 === [[파일:일반직공무원_성과상여금_지급기준액_2023.jpg]] [[파일:공무원_성과상여금.jpg]] 연 1회(12월 31일) 지급하는 기관이 대부분이나 연 2회(6월 30일, 12월 31일) 지급하는 기관도 있다. === 연가보상비 === 6월 30일, 12월 31일에 본봉×연가보상일수÷30×0.86을 지급한다. == 퇴직수당 == [[파일:공무원퇴직수당.jpg]] === [[명예퇴직]]수당 === [[파일:공무원명예퇴직수당.jpg]] == 연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무원연금)] == 공제금액 == === 기여금 === [[국민연금]]과 비슷한 것으로 일반 노동자의 2배인 9%를 떼간다. 다만 [[공무원연금]]의 수익률도 [[국민연금]]의 1.7배이기에(국민연금:1%, 공무원연금:1.7%) 어찌보면 2배 떼가고 1.7배 더 받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 [[국민건강보험]] === [[4대 보험]] 중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같이 일반 노동자와 같이 내는 유일한 공제금이다. === [[소득세]] === 이 문단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 위의 국민건강보험과 같이 공무원과 일반 노동자와 같이 신청하는 유이한 보험이다. === 기타 공제금 === 직렬마다 다르지만 특정 직렬은 다른 공제금을 떼가기도 한다. == 호봉 경력 인정 환산 방법 == === 일반직 공무원 === [[파일:호봉환산일반직_2023.gif]] === 지도직 공무원 === [[파일:호봉환산지도직_2023.gif]] === 연구직 공무원 === [[파일:호봉환산연구직_2023.gif]] === 교육공무원 === [[파일:호봉환산교육_2023.gif]] === 직업군인 === [[파일:호봉환산직업군인_2023.gif]] == 관련 문서 == * [[호봉]] [[분류: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