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분증)] ---- ||<-2> '''{{{+2 공무원증}}}[br]公務員證 | public official ID card'''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현 공무원증.jpg|width=100%]]}}}|| ||<-2> {{{-2 2013년 이후부터 제작․배포되는 새 전자공무원증}}} || || '''발급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발급 기관''' ||[[행정안전부]] (소관)[br] 해당 소속기관 및 해당 지자체 || || '''제작 기관''' ||[[한국조폐공사|[[파일:한국조폐공사 CI_좌우.svg|width=150]]]] || || '''발급 대상''' ||국가/지방공무원법에 의거 대한민국 공무원인 자 || || '''유효 국가''' ||[[대한민국]] {{{-2 (국내 신분증으로서)}}}[* 제한적 사용 가능.]|| ||<-2> '''사양 및 제원'''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사진 || 성별 || 생년월일 || 주소 || || {{{-2 〇[br]30mm×40mm}}} || {{{-2 ×[br][br]}}} || {{{-2 〇[br]생년월일}}} || {{{-2 ×[br][br]}}} || ||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 문서 번호 || 발행일 || 만료일 || || {{{-2 △[br]국방부 한해 군번 기재}}} || {{{-2 〇[br]No. 1234567-1234}}} || {{{-2 〇[br]YYYY.MM.DD.}}} || {{{-2 ×[br][br]}}} || || 생체정보 보호 || 서명 || 발행국 코드 || 소지자 국적 || || {{{-2 〇[br]지문 미출력}}} || {{{-2 ×[br][br]}}} || {{{-2 ×[br][br]}}} || {{{-2 ×[br][br]}}} || || {{{-3 ICAO Doc 9303-5[br]기계가독부 (MRZ)}}} || {{{-2 ICAO Doc 9303[br][[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Passport_logoWhite.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14443[br][[파일:컨택리스 표시.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7816-2[br][[파일:SmartCardPinout.svg|height=17.23]]}}} || || {{{-2 ×[br][br]}}} || {{{-2 ×[br][br]}}} || {{{-2 〇[br]Type A}}} || {{{-2 〇[br]IC칩}}} || || 비고 ||<-3>모바일 공무원증 도입중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신분증]]의 하나로써, 대한민국 공무원임을 증명하는 [[사원증]]이다. == 상세 == 공무원증은 대한민국 공무원이라면 항상 가지고 다녀야하는 신분증으로 1969년[* 총리령 제69호 공무원증규칙]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규정 == * 한글 이름 기재가 원칙이지만「국가공무원법」에 따라 임용된 외국인인 공무원은 영어로 성명을 기재할 수 있다. * 공무원은 늘 공무원증을 지녀야 하며 공무집행 시 공무원증의 제시를 요구받으면 공무원증을 제시하여야 한다. * 공무원은 행정기관 내에서 공무원증을 왼쪽 가슴에 항상 패용(목에 거는 것을 포함한다)해야 한다. [* 단 제복을 입는 공무원이 소속 행정기관 내에서 공무원증을 달아야 하는지는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따로 정할 수 있다] == 역사 == === 1990년대 === || [[파일:구형 신분증.jpg|width=100%]] || 1998년 이전 부터 2008년까지 사용되던 공무원증이다. [[전역증]]처럼 가로로 코딩된 종이에 성명, 사진, 소속, 직급, [[주민번호]], 혈액형 등이 기본적으로 들어 있었지만 지자체마다 정부기관마다 약간씩 다르게 제작되어 통일성이 없었던 과거의 공무원증이다. 당연히 위조나 변조가 쉬웠고 이로 인해 사원증을 따로 제작하여 운영하는 기관들이 많았다. === 2000년대 === 2006년 경 가로로 된 종이 공무원증에서 IC칩이 내장된 전자공무원증이 이용되기 전 잠시 사용되던 공무원증이다. 세로형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었으며 색상을 주로 파란색 계열이었다. 모든 기관에서 이용하던 것은 아니고 일부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했다. === 2010년대 === 2008년 부터 2013년 까지 사용된 전자공무원증으로 대한민국 모든 정부기관과 지자체의 공무원증을 통합하고 위변조 예방 및 전산화를 위해 [[스마트카드|IC칩]]이 내장된 공무원증이다. 세로로 된 플라스틱 카드에 성명, 사진, 소속, 직급, 주민번호, 혈액형 등이 기본적으로 들어있었다. 큰 특징으로는 파란색 배경에 ISO 7810 신용카드 규격(54 X 85.6mm)과 [[금융IC카드]]및 [[RFID]] 기능이 있어 기관이나 청사사출입관리 등을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현금카드 기능도 제공하여 교통카드나 은행카드처럼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2013년 이후 === || [[파일:신형 신분증.jpg|width=100%]] || 2013년부터 현재에도 이용되고 있는 現공무원증은 기존 전자공무원증에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성을 증대시키고 증명사진이 확대했고 파란색 배경에서 흰색 배경으로 깔끔하게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새로운 전자공무원증이다. 특징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번호가 삭제되었다. 이로 인해 주민번호로 개인 신원을 확인해야 하는 일부 장소에서 신분증으로의 이용이 어렵게 되었다는 단점이 생겼지만, 지금까지 지적받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단점이 사라졌다. 2020년대 부터는 스마트폰의 신분증 어플을 이용하여 모바일 공무원증으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기타 == 공무원들의 경우 근무시간 동안 공무원증을 패용하고 다녀야 하는데, 특히 정부청사 및 광역시/도 본청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공무원증 찍고 들어가야 된다. 따라서 신원미상의 외부인들 출입은 통제된다.[* 일례로 서울특별시청의 경우 1층과 하늘공원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되지 않은 구역은 신분증을 제시하여 출입증과 맞바꾸면 출입할 수 있다.] 다만 우체국 공무원 직원의 경우 공무원증 대신 주로 직원 명찰을 패용한다. 또한, 공립학교 [[교사]]들 역시 착용하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원증, version=46)] [[분류:신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