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소속 [[대학]]이 제공하는 수업을 듣고 학위를 받는 전통적인 형태를 넘어, 2개 이상의 대학이 모여 공동으로 강의를 개설하고 [[학위]]를 발급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A대학과 B대학이 함께 공유대학을 운영한다면 A대학 소속 학생이 공유대학을 통해 A와 B 대학 총장 명의가 모두 기록된 공동학위(Joint Degree)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원 소속 대학의 학위와 공유대학의 학위 둘을 받으므로 [[복수전공]]보다는 [[복수학위]]에 좀 더 유사하나, A대학 학생이 B대학의 학위를 받는 것은 아니다. A대학 학위와 A+B 공유대학 학위를 받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다른 학교의 강의는 물론이고 나아가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수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다전공 이수 방식뿐 아니라 적은 학점으로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를 수여받을 수 있게 된 곳이 많다는 것도 특징이다. == 목록 ==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 iU-GJ 공유대학(광주·전남) * [[USG공유대학]](울산·경남) * [[Bio-PRIDE 공유대학]](충북) * [[DSC공유대학]](대전·세종·충남) * LRS 공유대학(강원) * DGM 공유대학(대구·경북) * [[혁신공유대학|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 인공지능 * 빅데이터 * [[:틀:차세대반도체혁신공유대학|차세대반도체]] * 미래자동차 * 바이오헬스 * 실감미디어 * 지능형 로봇 * 에너지신산업 == 관련 문서 == * [[KOCW]] / [[K-MOOC]] - 각 대학의 강의 내용을 ‘공유’하자는 취지로 제작된 것이므로 공유대학과 유사점이 있다.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공동학위'를 수여하려 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분류:공유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