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1.jpg]] [[파일: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2.jpg]] [목차] == 개요 == 公州 東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腹藏典籍. [[충청남도]] [[공주시]] [[동학사]]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고려]]말, 조선초의 불경들. 현재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1720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 중 문화재적으로 가치가 큰 전적 7종 8책을 별도로 국가지정 보물로 지정한 것이다. 2010년 8월 11일에서 8월 13일까지 3일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의 복장을 확인해본 결과 석가여래 복장유물 15종 15점, 약사여래 복장유물 27종 31점, 아미타여래 복장유물 25종 31점 등, 총 78종 136점의 고전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이 중에 문화재적으로 가치가 큰 7종 8책의 전적들을 별도로 보물로 지정하였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4, 권6(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四, 卷六) : [[조선]] [[세조(조선)|세조]]의 명으로 간경도감에서 찍어낸 [[을해자]]본 금속활자 불경이다. * [[능엄경언해|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6(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諺解 卷六) : 1462년(세조 8)에 세조의 명으로 간경도감에서 찍어낸 한글 언해경이다. * [[육경합부]](六經合部) : [[조선]] [[세종(조선)|세종]] 6년, 1424년에 전라도 안심사에서 찍어낸 불경이다. * [[법화경언해|묘법연화경(언해)]] 권2 (妙法蓮華經(諺解) 卷二) : 1463년에 조선 세조의 명으로 간경도감에서 찍어낸 한글 불경이다. 훈민정음 연구에 귀중한 국역자료이다.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陁羅尼經) : [[고려]]말 1378년에 간행한 목판본 불경이다. * 불조삼경(佛祖三經) : 고려말인 1384년에 간행한 중국 [[원나라]]의 불경이다. *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地藏菩薩本願經卷下) : 조선 세조의 명으로 간경도감에서 찍어낸 불경이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A3%BC_%EB%8F%99%ED%95%99%EC%82%AC_%EB%AA%A9%EC%A1%B0%EC%84%9D%EA%B0%80%EC%97%AC%EB%9E%98%EC%82%BC%EB%B6%88%EC%A2%8C%EC%83%81_%EB%B3%B5%EC%9E%A5%EC%A0%84%EC%A0%81|한국어 위키백과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60222&cid=46659&categoryId=4665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7297&cid=40942&categoryId=37404|두산백과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 보물 제1720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7200000,34|문화재청 홈페이지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公州 東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腹藏典籍)]]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보물 제1719호의 공주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불서들로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간사본이다. 이 중에서 희귀본, 귀중본, 완전본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중요도가 높은 7종 8책을 별도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 ><복장전적 세부목록> > >1.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4,권6 > >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6 > >3. 육경합부 > >4. 묘법연화경(언해) 권2 > >5.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 >6. 불조삼경 > >7.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고려의 불경]][[분류:조선의 불경]][[분류:공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