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공과대학]][[분류:대학원]] [목차] == 개요 == 공학대학원은 [[공학]] 관련 학과들을 가르치는 [[특수대학원]](야간제/계절제)이다. 경우에 따라서 산업대학원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고 IT 전공만 특화시켜서 정보통신대학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공학을 다루는 전문대학원에 대한 내용은 [[전문대학원]] 문서 참조. 대부분 [[전문석사]]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의 석사과정이 4학기제인 데 비해 [* 물론 개인 사정으로 졸업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4학기만에 다 수료하고, 졸업논문을 제출함으로서 본격적으로 졸업이 가능하다.], 보통 5학기제인 경우가 많다. 공학대학원에 개설된 학과들은 보통 해당 대학교의 [[공과대학]]과 사실상 같다. 수업은 일반적으로 평일 저녁, 금요일 저녁~토요일 아침[* 물론 [[불금|밤을 샌다는 이야기]]가 아니고 (...) 금요일 저녁에 한 타임, 토요일 오전에 한 타임 이런 식이다.], 혹은 토요일~일요일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애초에 직장인들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곳이니만큼, 직장인들이 퇴근 후에 수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원생들은 보통 직장인들이고 [* 학업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여러 사정으로 일반대학원에 진학하기 어려운 일반인이나, 자영업자도 극소수 존재한다.] 일반대학원보다 직장인들이 많다 보니까 [[만학도|수학하는 학생들의 나이가 많은 편이다.]] 게다가 직장인 만학도들은 생업으로 인해 학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어려운 것이 실정이므로, 교수들도 이들을 배려하여 일반대학원에 비해 공부 난이도나 성적 부여 방식에서 확실히 널럴한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반대학원에서 배오는 교과과정은 전문성의 차이는 날지언정 일단 다 배우고,[* 애초에 공학대학원은 일반대학원 공과대학과 교수진을 대부분 공유한다.] 시험도 치르며, 논문도 경우에 따라 써야 한다.[* 논문이 선택인 공학대학원도 많다.] 다만 학비가 일반대학원보다 비싼 데 비해 장학금은 거의 없다. 그래서 경제적으로 여유가 좀 있는 직장인들이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 개설 대학 == === 수도권 === *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 [[국민대학교]] 자동차산업대학원 *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 [[아주대학교]] 공학대학원 *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한국공학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융합산업대학원 === 관동권 === *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 호서권 === * [[공주대학교]] 테크노융합대학원 *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 영남권 === *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 [[창원대학교]] 산업대학원 === 호남권 === * [[군산대학교]] 산업대학원 *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 온라인 === * [[한양사이버대학교]] 미래융합공학대학원 *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 해외 대학(온라인) === 해외는 특수대학원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국내 특수대학원도 외국에서는 일반대학원으로 보고 있다. 미국 온라인 대학원은 GRE를 요구 하느냐와 요구 안 하느냐에 따라서 갈린다고 할수 있다. 코로나 이후 많은 대학교가 온라인 대학/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였다. * 퍼듀대학교 온라인 석사 과정(edx에도 일부 있고 학교 홈페이지에는 더 많은 과정이 있음) * Georgia Tech 온라인 석사 과정 * 콜로라도 보울더 석사 과정(coursera) 그외 많은 미국 대학들에서 온라인 석사과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