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공휴일)]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벨라루스]]의 공휴일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다. 대체적으로 러시아와 비슷하거나 아예 같으나, 러시아에 비해 [[소련]]의 잔재가 더 강하게 남아있다. == 국가 공휴일 == * 1월 1일 - [[새해 첫날]](Новый год/Новы год).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 * 1월 2일 - 연휴 * 1월 7일 - [[정교회]] [[크리스마스]](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юлианский календарь)/Божае Нараджэнне(юліанскі каляндар)).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정교회]]에서 사용하는 [[율리우스력]]의 12월 25일이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월 7일인 까닭에 이날 쉰다. 단, 러시아와 달리 벨라루스는 [[12월 25일]]도 공휴일이다. * 3월 8일 - [[국제 여성의 날]](Международный женский день/Міжнародны жаночы дзень). 세계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하여 정한 날. 모든 남성이 가사일을 도맡으며, 이 날에 남성이 여성에게 꽃을 주는 문화가 있다. * 4/5월 중 - 라두니짜(Радуница/Радаўніца). 부활제 후 제 1주에 죽은자들을 추모하는 날. * 5월 1일 - [[노동절]](Праздник труда/Свята працы). 노동자의 인권 향상을 위하여 정한 날. * 5월 9일 - [[승리의 날|승전기념일]](День Победы/Дзень Перамогі). 승리의 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을 침공한 [[나치 독일|독일]]의 항복을 기념하는 날. 이날 하루만큼은 농담이 아니라 [[벨라루스 SSR]]로 회귀한다. 심지어 소련을 주도하던 나라인 러시아조차도 게양하지 않는 소련 국기를 벨라루스의 모든 관공서와 민간에서는 벨라루스 국기 대신 [[낫과 망치|소련 국기]]를 게양하며, 열병식이 진행된다. * 6월 3일 - 벨라루스공화국 독립기념일(День Независимости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Дзень Незалежнасці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줄여서 공화국의 날(День Республики)이라고도 한다] 타 소련에서 독립한 공화국들과 달리, 벨라루스는 '''[[대조국전쟁]] 당시 [[나치 독일]]로부터 벨라루스가 해방된 날'''을 독립기념일로 기념한다. [[1996년]]까지는 벨라루스가 소련으로부터 주권 선언을 한 6월 27일을 기념했다. 소련 계승 의식을 내세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사회주의 정권]]이 집권한 1994년 이후 헌법을 개정하면서 이렇게 된 것. * 11월 7일 - [[10월 혁명]] 기념일(День Октябрьской Революции/Дзень Кастрычніцкай рэвалюцыі). 마찬가지로 1991년 이후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으나 [[루카셴코]] 집권 이후인 1995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돌아갔다. 현재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10월 혁명 기념일이 공휴일인 둘뿐인 나라. * 12월 25일 - [[가톨릭]] [[크리스마스]](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григорианский календарь)/Божае Нараджэнне (грыгарыянскі каляндар)). [[가톨릭]] 신자들을 위한 크리스마스이다. [[분류:벨라루스의 문화]][[분류:공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