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공휴일)]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중국]]의 공휴일은 크게 국경절, [[노동절]] 등 정치적 의미의 공휴일과 [[춘절]], [[청명]], [[단오|단오절]], [[중추절]] 등 전통 명절로 나뉜다. 이 가운데 춘절과 국경절은 2대 명절로 지정되어 7일 연휴를 보장하고 있으며, 다른 휴일도 [[수요일]]에 걸리지 않는 한 주말과 연계시켜 3일 연휴를 만든다. 그 외, 부녀절, 아동절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공휴일도 있으며 소수민족 지역에서는 소수민족의 명절 등을 지방정부가 별도의 공휴일로 지정한다. == 역사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이래, [[일요일]]을 제외한 중국의 공휴일은 전국적으로 원단(1월 1일), [[춘절]](음력 1월 1일~3일), 노동절(5월 1일), [[국경절]](10월 1일~2일)등 7일뿐이었고, 이외에는 지역별로 공휴일이 좀 있는 정도로, 연차제도도 법적으로 마련되어있지 않았다. 다만 지역간 이동에 시간이 많이 걸렸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이동시간을 감안하여 관용적으로 휴가를 며칠씩 추가로 주기는 했다.[* 물론 이 당시에 노동시간이 길었던 반대급부로 서비스가 불친절하거나 근무태도가 엉망인 경우가 많았으니 균형을 이룬편(?)이기는 했다. [[하이얼]]도 불량제품으로 말 많았던 회사였다가, [[장루이민]]이 사장직에 오르고 나서 함마질을 시전하고 나서야 고품질의 가전제품을 내놓기 시작했다는 일화는 유명하고, [[만만디]]라는 말이 한국에서도 유명해진것도 한중수교가 막 이루어진 1980년대 말 ~ 90년대에 이 당시의 관행을 간직하던 기업과 공무원들이 많아 업무를 보기 불편하거나 불친절함을 몸소 느낄일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 하지만 1980년대 이후로 국영기업 개혁으로 인해 고도경제성장에도 고용불안이 만연하고 실업률이 높아지는것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과잉노동에도 노동생산성이 높지 않던것도 고민거리였다.[* 이 당시에 기술담당하던 관료인 후핑이 외국에 출장을 다녀오면서 서방국가들이 주5일제도를 시행했음에도 높은 노동생산성을 보여준것은 물론이고 사람들이 여유있는 생활을 하는것을 보고서 감명을 깊게 받았고 이것이 주5일제 시행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이에 쉬는날을 늘려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 식으로 실업률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늘려서 삶의 만족도를 늘리자는 취지에서 1994년 3월 기존의 근로시간 기준이 주 6일 근무제도에서 [[놀토|격주 토요일 휴무]]로 개정되었고, 1995년 5월부터 [[주 5일 근무 제도]]가 전면 도입되었다. 1999년 건국 50주년을 맞아 경축 분위기 조성 및 내수 진작을 위해 중국 정부가 춘절, 노동절, 국경절 기간 7일 연휴를 지정하면서 3대 명절이 확립되었다. 2008년, 중국 정부는 민족정신 계승과 휴일 분산의 목적으로 전통 명절인 청명(4월 4일 또는 5일), 단오절(음력 5월 5일), 중추절(음력 8월 15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노동절은 공식 휴일이 3일에서 1일로 축소되었다. 또한 춘절 휴무도 음력 12월 말일부터 1월 6일까지로 변경되었는데, 2014년에 음력 1월 1일~7일로 환원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12월 말일~1월 6일로 돌아왔다.[* 법으로 정해진 공식적인 휴일은 여전히 음력 1월 1일부터 3일 간이다.] == 연휴 제도 == 연휴가 굉장히 많은 것 같지만, 연휴의 노동일수를 보충하기 위해 토요일과 일요일에 일해야 한다.(...) 연휴기간에 놀기 위해 앞선 주나 다음 주의 토요일-일요일에 쉬지않고 보충일수로 일해야한다는 의미. ~~대체휴일제가 아니라 대체평일제~~ 그래서 최악의 경우 9일간 계속 쉬지 않고 직장이나 학교에 나와야 한다. 최근에는 대체근무일을 연휴 앞뒤에 하루씩 배치하면서 8일 이상 일해야 하는 상황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휴일만큼 모두 주말로 때우는 것이 아니고 주말 보충 노동은 대부분 1주만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휴일이 주말을 덜어서 2일 줄어드는 형식이다. 중국은 국토가 위낙에 넓고 대중적인 교통수단이라고 해봐야 철도와 자전거, 오토바이, 버스 정도가 고작이던 2000년대 이전에는 이동시간이 위낙 길어져서 연휴를 짧게 하면 여행이나 고향방문 등을 제대로 할 여유가 없으므로, 연휴기간은 길게 잡는 대신 주말 근무로 때우는 형식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이는 자가용 자동차와 비행기편이 대중화되고 고속철도가 개통된 작금에 와서도 이동에 며칠이 걸리는 경우는 여전히 흔하기 때문에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가령 7일 쉰다는 춘절이나 국경절은 본래 3일만 법정 공휴일로 인정되며, 나머지 4일은 원래 주말이었거나 주중과 주말을 맞바꾸어 쉬는 것이다. 중국의 당해년도 공휴일은 전해 연말에 [[중국 국무원]]에서 제정되어 공표되는데, 이 때 연휴 기간과 연휴로 인한 대체근무일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7일을 쉬는 춘절(음력 섣달 그믐~음력 1월 6일)과 국경절(10월 1일~7일)은 연휴 기간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공휴일은 요일에 따라 연휴와 대체근무일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면 그 다음 월요일이 대체 휴일로 지정되며, 화요일이나 목요일에 있을 땐 해당 휴일과 가까운 주말과 연계해 3일 연휴를 만든다.[* 화요일에 걸리면 직전 토요일 휴무를 월요일로 옮겨 일월화 3일 연휴, 목요일에 걸리면 직후 일요일 휴무를 금요일로 옮겨 목금토 3일 연휴가 된다.] 수요일에 걸리면 얄짤 없이 하루만 쉬는 게 일반적이었는데, 2019년 노동절의 경우, 전후 일요일(4월 28일, 5월 5일)을 대체근무일로 조정해 수목금토 4일 연휴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중추절의 경우는 다소 복잡한데, 만약 중추절이 국경절 연휴 기간에 포함될 경우, 국경절 연휴와 중추절 휴일이 합쳐져 8일 연휴가 만들어 진다.[* 2023년의 경우, 중추절이 9월 29일(금)인데, 국경절 대체근무일이 10월 7일(토)과 10월 8일(일)로 정해지면서 9월 29일(금)~10월 6일(금)로 이어지는 8일 연휴가 되었다.] 반면 중추절이 국경절 직전인 9월 27일 일요일이었던 2015년에는 대체 휴무를 하지 않는 대신, 국경절 연휴 대체 근무를 하루 줄이는 것으로 정해졌다. 이 같은 주말 대체 근무 제도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은 당연히 부정적이다. 원래 쉬어야 하는 주말에 출근과 등교를 해야 하니 업무 능률이 오를리 만무하고, 이러다 보니 얼마 되지 않는 연차를 대체근무일에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중국 국무원에서 제정한 <직장인 유급휴가조례>에 따르면, 중국 직장인들이 1년에 사용할 수 있는 연차는 10년차 미만이 '''{{{#red 5일}}}''', 10~19년차가 10일, 20년차 이상이 15일에 불과하다. 당장 한국의 '''2년차''' 직장인 유급휴가 일수가 15일이다.] 2023년 10월 25일에 발표된 2024년 휴일 일정 중 춘절 연휴에 음력 섣달 그믐(2월 9일(금))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 당국은 대신 연휴를 2월 10일(토)부터 2월 17일(토)까지 8일로 정하고, 2월 9일(금)은 기업에서 직원들의 연차 사용을 권장하는 방식으로 휴식을 보장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애초에 근속 10년 미만 직원에게 주어지는 연차가 5일 밖에 없는 상황에서 연차 사용이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가 크다. == 중국의 공휴일 목록 == 7일 연휴에 해당되는 것은 ★로, 2008년에 새로 지정된 공휴일은 ●로 표시한다. * [[새해 첫날|원단]](元旦, Yuándàn, 위안단): 1월 1일. [[한국]]처럼 한 해를 시작하는 날로써의 의미가 크다. * [[춘절]](春节, Chūnjié, 춘제)★: 음력 1월 1일.[* 중국 현지에서는 한 해의 첫 날이라는 뜻인 '大年初一(다녠 추이)'라고 한다.] 항목 참조. 공식적인 휴일은 음력 1월 1일부터 3일간이지만 섣달 그믐(除夕, 추시)[* 중국 현지에서는 '大年三十(다녠 산스, 한 해의 마지막 날)'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섣달 그믐이 대체로 음력 12월 30일이기 때문. 다만, 음력 12월에 윤달이 낄 경우 윤12월 마지막 날.]부터 음력 1월 6일까지 7일간 연휴가 되도록 한다.--완후이는 봐야하니까--[* 사실 중국에서는 많은 노동자(주로 농민공)들이 연휴 시작 1~2주 전부터 휴가를 내고 귀성에 나선다.] * [[청명]](清明节, Qīngmíngjié, 칭밍제)●: 4월 4일 또는 5일. 성묘하는 날이라는 의미의 扫墓节(사오무지에)라고 불리며, 사회주의 영향 때문인지 혁명열사릉에 참배객이 몰린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한국도 [[식목일]]이 휴일이던 시절 이 무렵에 [[성묘]]를 하는 사람이 많았다. 청명-한식-식목일이 사실상 겹치기 때문. 북한도 청명에 열사릉을 참배하게 되어있다.] 중국 신화 속 최초의 천자인 [[황제(중국 신화)|황제(黄帝) 헌원씨]]를 기리는 행사도 이 날 거행된다.[* 원래는 중요한 행사가 아니었지만 [[시진핑]] 시대 들어 민족주의를 넘은 국수주의 정서가 강해지면서 무려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를 통해 매년 생중계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의식을 가졌는데, 일체 오락활동이 금지되었고, 특히 인터넷 게임 등은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중지되었다. * [[노동절]]((国际)劳动节, (Guójì)láodòngjié, 궈지라오둥지에): 5월 1일. 2000년~2007년까지 7일 연휴[* 5월 1일~7일.]로 제정되는 등 중요한 명절이었으나 전통명절들이 새로운 공휴일로 지정되면서 3일 연휴로 줄어들었다. 2019년에 4일 연휴, 2020년 이후로는 5일 연휴로 지정되면서 다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데, 정치적 측면에서는 시진핑 주석 집권 2기 이래의 사회주의 노선 강화 조치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고,[* 과거 공산권 국가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날이기도 했고, [[중국 공산당]]에서 비교적 중요하게 여기는 청년절([[5.4 운동]] 기념일)이 연휴 기간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연중 날씨가 가장 좋은 5월 장기 연휴를 통해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고 [[대한민국|이웃]] [[일본|나라]]들의 공휴일에 맞추면서 한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보충 노동일이 그만큼 추가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휴식일 수는 변화가 없다는 분석도 있다. * [[단오|단오절]](端午节, Duānwǔjié, 돤우제)●: 음력 5월 5일. 멱 감기와 쑥떡, 씨름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단오와는 다른, [[쭝쯔]](粽子)와 용선 경주 풍습을 갖고 있다. 윤달은 휴일이 아니다. * [[중추절]](中秋节, Zhōngqiūjié, 중치우제)●: 음력 8월 15일. 한국의 [[추석]]과 같은 날이지만 한국에서의 추석의 위상보단 많이 떨어진다. 춘절이 멀리 떨어진 일가친척과 대가족이 모이는 날이라면 중추절은 한 집에 사는 가족 내지는 이웃끼리 오손도손 모이는 날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인들은 한국의 [[송편]]과 비슷한 [[월병(과자)|월병]](月饼)을 먹으며 보름달을 보는 풍습(赏月)이 있다. 윤달은 휴일이 아니다. * [[궈칭제]](国庆节, Guóqìngjié, 중국 국경절)★: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수립 기념일. 춘절과 함께 7일을 쉬는 둘뿐인 휴일이다. 이동인구 대부분이 귀성객인 춘절 기간과 달리, 국경절 연휴에는 장거리 여행객([[유커]])들로 인해 중국 내 주요 관광지가 인산인해를 이루며, 인접한 한국, 일본, 동남아는 물론 유럽에도 중국인 여행객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시즌이다. 가끔씩은 가까운 중추절과도 이어져서 8일 연휴가 될 때도 있다.[* 2009년, 2012년, 2017년, 2020년, 2023년, 2025년이 이에 해당되는 해이다. 2017년에는 한국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두 나라의 연휴가 거의 겹쳤다. 2020년에는 국경절과 중추절이 정확히 겹친다.] 이와 별도로, 국경절 당일 새벽에는 베이징 [[천안문 광장]]의 오성홍기 게양식을 보기 위해 평상시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몰리며, 이 날엔 평소보다 많은 병력이 이 행사에 투입된다. 10월 3일까지가 휴일이고 대체휴일, 대체평일제로 7일간 연휴이다. 참고로 열병식이 있는 년도에는 국경절 오성홍기 게양식이 없다.[* 끝자리수가 9로 끝나는 연도 즉, 10주년 단위로 열병식이 거행된다.] 동시에, 창안대로는 양방향 통제되어 열병식 거행 위치의 지하철이 무정차 통과하고, 버스는 중간 종착한다. == 여담 == 중국은 7월, 8월, 11월, 12월에 공휴일이 아예 없다.[* 7월과 8월 두 달 간은 중국에 공휴일이 없어 중국 정부기관들의 민원 처리가 가장 신속해지는 기간이기도 하다. 1월과 2월은 춘절과 겹치면서 중국 전역이 춘절 준비에 여념이 없고, 3월 초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열리기 때문에 정부기관들이 모두 두 행사에 집중하느라 다른 기능들은 상대적으로 매우 느려진다. 그리고 4월부터 6월까지 청명, 노동절, 단오가 이어진다.] 7월과 8월은 방학기간이라 학생들은 노는 기간이며. ~~물론 사교육이나 보충수업 때문에 못 노는 학생들도 있다.~~, 자녀가 있는 직장인들도 연차를 쓰는 기간이지만 국경절 끝나고 원단까지는 그냥 쭈욱 일하는 편이다. --그래서 국경절이 지나면 지옥 같은 2개월이 기다린다 카더라.-- 전통 명절은 태음력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2월(춘절), 6월(단오), 9월(중추절)은 해에 따라 공휴일이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한국처럼 요일제 공휴일이 없고, 양력 공휴일은 특정 요일에 몰려 있다.[* 원단과 국경절은 [[평년]]에는 같은 요일이다.] 특히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에는 원단과 국경절이 토요일, 노동절이 일요일이어서 평일 공휴일이 3일 줄어든다. ~~물론 대체 휴일 적용으로 별 의미는 없다.~~ --그리고 찾아오는 대체근무일[* 대체휴일로 손실된 근무일은 휴일 종료 후 가장 빠른 토/일요일에 대체 근무를 한다.]-- 특정 계층에게 반일 휴무가 주어지는 날도 있다. 세계 여성의 날인 3월 8일은 부녀절이라고 해서 여성 노동자에게, 6월 1일은 세계 어린이날(국제아동절)이라 해서 어린이들에게, 9월 10일은 스승의 날(교사절)이라 해서 각급 학교 교사들에게 반일 휴무가 주어진다. 다만 강제가 아니기 때문에 곳에 따라 상황이 다를 수 있다. 이 공휴일은 [[중국 대륙]]에만 적용되고 [[특별행정구]]인 [[홍콩]]이나 [[마카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두 지역은 [[중화권]]의 관습으로서 공유하는 휴일(춘절, 청명, 단오 등)을 빼면 공휴일 체계가 완전히 다르다. 중화권 공통의 관습이 아니면서 공유하는 기념일은 노동절과 국경절뿐이며, 그나마도 홍콩과 마카오는 노동절 당일 5월 1일만 쉬고, 국경절도 홍콩은 당일인 10월 1일만, 마카오는 10월 1일과 10월 2일에만 쉰다. 물론 홍콩과 마카오는 명절대이동이라고 해봐야 공항에 사람이 넘치는 수준이기 때문에 굳이 연휴를 길게 잡지 않는 이유도 있다. 홍콩의 공휴일은 [[홍콩의 명절]]을 참조. 2015년에는 [[중일전쟁]][* 중국 측 공식 명칭은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을 기념해 [[전승절(중국)|전승절]]인 9월 3일(목)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연휴 제도에 따라 9월 5일(토)까지를 연휴로, 9월 6일(일)을 대체근무일로 지정했다. 질병 등 국가비상사태로 인해 연휴가 조정된 적도 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가 창궐하던 2003년 노동절에는 법정휴일인 3일만 쉬는 것으로 정해졌고[* 당시 노동절은 7일 연휴였다.], 2020년 춘절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1월 30일(목)까지였던 연휴가 2월 2일(일)까지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대체근무일이었던 2월 1일(토)은 다시 휴무일이 되었고, 연장된 연휴는 대체근무를 시행하지 않았다.] [[분류:중국의 문화]][[분류:공휴일]][[분류:중국의 기념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