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3> {{{+2 '''과천정보타운역'''}}} || ||<-3>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 || [[당고개역|{{{#!html
당고개 방면}}}]][[정부과천청사역|정부과천청사]][br]← 1.9 km ||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440)
}}}]] ||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인덕원역|인덕원]][br]1.1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37.414119 126.979910,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wacheon Information Town || || [[한자]] ||<-2> 果川情報타운 || || [[중국어]] ||<-2> 果川信息园区 || || [[일본어]] ||<-2> [ruby(果川情報, ruby=クァチョンチョンボ)]タウン || ||<-3> '''주소''' || ||<-3>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과천)|갈현동]] 333-3 일대 || ||<-3> '''관리역 등급''' || ||<-3> 미상[br]([[안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과천선]] ||<-2><|2> '''[[1994년]] [[4월 1일]]'''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 ||<-3> '''역사 구조''' || ||<-3> 미정 || ||<-3> '''승강장 구조''' || ||<-3> 미정 || ||<-3> '''노선거리표''' || || [[금정역|{{{#!html
금정 방면}}}]]--[[인덕원역|인덕원]]--[br]← 1.1 km || --'''[[과천선]]'''[br]과천정보타운--[br]{{{#red (미개통)}}} || [[남태령역|{{{#!html
남태령 방면}}}]]--[[정부과천청사역|정부과천청사]]--[br]1.9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4호선]]에 신설될 역으로,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과천)|갈현동]] 333-3 ([[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 일대 소재의 역이다. 지하 1층, 지상 1층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850억 원이 소요될 예정이며 과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분담하여 건설한다.[*A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985570|「'과천지식정보단지역' 신설 확정」]], 경기일보, 2015-06-24] == 역 정보 == [[과천시]]가 인덕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 사이에 과천지식정보단지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현재의 역 주변은 [[그린벨트]]이지만 그린벨트가 해제되고 세워질 지식정보타운(보금자리주택지구)의 교통대책으로 건설될 계획이다. 선로 기울기 문제로 건설비가 과다 소요되어 어려움을 겪었고, [[2012년]] [[12월 16일]]에 국토부에서 발표한 과천 보금자리주택지구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3LY&fldid=ANj&datanum=39456|관련게시물]], 다음카페, 2012-12-17] 그 이후 과천시에서는 철도 건설 기준을 고칠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철도역의 기울기에 대한 기준이 [[2014년 10월]]에 개정되면서 갈현역 건설비가 1800억에서 809억 원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LH가 비용을 부담하여 당장 역 신설 사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었다. LH가 809억 원을 조성원가에 모두 반영하면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원인 제공자인 과천시에서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절반인 400억 정도) 한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신설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는데[*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885892|「“과천시, 행정 실수로 400억 혈세 날릴 판”」]], 경기일보, 2014-12-21], 협의가 잘 되어 [[2015년]] 신설이 확정되었다.[*A] 철도 동호인들은 이 역에 대피선을 신설해 [[과천선]]에서도 급행을 굴릴 수 있게 한 것을 원한 듯하다. 이 역에 대피선이 만들어질지는 미지수이지만 [[문재인 정부]]의 급행 증설 계획에 의해 급행 자체는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2021년]] 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에서는 갈현역(예정역)이란 이름으로 대피선 설치 자체는 가능하지만 2.5m 저토피 구간과 도로 교량과 인접하단 제약조건이 있으며 대피선 설치 효과가 미미하다면서 최초사업계획이던 [[정부과천청사역]]에 설치한 것으로 추진한 것으로 결정했다. 이 역은 구배가 10퍼밀을 초과한 곳에 신설될 예정이다. 과천시청 홈페이지에서 역명 공모를 거쳐 1안 과천지식정보타운역, 2안 지식정보타운역, 3안 갈현역, 4안 찬우물역, 5안 정보타운역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1위인 과천지식정보타운을 [[2022년 1월]] 중으로 지명위원회에 상정할 계획이었으나 국가철도공단 측으로부터 '철도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제8조'에 따라 역명이 6글자를 넘어갈 수 없단 입장을 전달받으면서 역사 명 선정에 제동이 걸렸다. 이후 재공모를 통해 다시 역명을 선정하였고 [[2022년]] [[8월 5일]] 과천시지명위원회는 '''과천정보타운역'''으로 의결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348183?sid=102|「지하철 4호선 새 역 이름…‘과천정보타운’ 유력」]], 뉴시스, 2022-08-06] 철도공단과 국토부 심의를 거친 뒤에 확정될 예정이며 최종 의결 기관인 국토교통부지명심의위원회에서도 이대로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 고시에서는 과천지식정보단지역으로 고시되었으나, '가칭'임을 병기했다.[* [[http://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64937418448000&tocId=I0000000000000001664511007730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2-567%25ED%2598%25B8(%25EA%25B3%25BC%25EC%25B2%259C%25EC%25A7%2580%25EC%258B%259D%25EC%25A0%2595%25EB%25B3%25B4%25ED%2583%2580%25EC%259A%25B4%25EC%2597%25AD(%25EA%25B0%2580%25EC%25B9%25AD)%25EC%258B%25A0%25EC%2584%25A4%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8B%25A4%25EC%258B%259C%25EA%25B3%2584%25ED%259A%258D%25EC%258A%25B9%25EC%259D%25B8)|국토교통부고시 제2022-567호]], 2022년 10월 7일] == 역 주변 정보 == 아직은 그린벨트로 묶여 있으며, 과천지식정보타운이 들어설 예정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삼막IC]] ~ 성남 [[여수대로IC]] 구간이 개통하면서 인근에 고가가 생겼다. [[분류:2027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과천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include(틀:포크됨2, title=과천정보타운역, d=2022-12-11 01:2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