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기술특성화대학 총장협의회 회원교)] [목차] == 개요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총장협의회는 구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대학 특성화ㆍ육성 방안' 대상 학교인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의 5개 대학이 결성한 총장협의회를 말한다. == 특징 == 본 총장협의회의 회원교들은 과학기술 연구에 중점을 둔 대학들로 이공계 교육과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종합대학에 비하여 입학 정원이 적은 편이지만, 장학금이 매우 풍부하고, 학생 1인당 지원도 많은 편이다. [[KAIST]], [[GIST]], [[DGIST]], [[UNIST]]는 [[과학기술원]]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관리감독을 받으며, [[POSTECH]]은 [[POSCO]]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포스코 계열의 연구중심 대학이다. 이 덕분에 5개 대학 모두 재정이 튼튼하고, 국가의 지원이 풍부하다. 5개교 모두 1인당 학부생 지원도 국내 최상위권이며, 이공계 역량과 연구기반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상호 교류 확대 및 협력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5%90%EA%B3%BC%EB%B6%80-%EA%B3%BC%ED%95%99%EA%B8%B0%EC%88%A0%ED%8A%B9%EC%84%B1%ED%99%94%EB%8C%80%ED%95%99%EA%B3%BC-mou/|#]] 이를 통해 대학간의 협력체제를 구축해 공동 프로그램과 인적 교류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다. 같은 해, 5개 대학의 총학생회장단이 모여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석회의도 발족했다. 이공계 위기의식을 타파하고 각 대학별로 공통된 문제 해결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대학입시]]에서 특징으로는 대학 모집인원이 적은 편이다. 학부모집 정원이 [[KAIST]] 800여 명, [[GIST]]와 [[DGIST]] 200여 명, [[UNIST]] 400여 명, [[POSTECH]] 300여 명이다. 또한, 5개교 모두 [[수시]]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을 위주로 운영을 하고 있다. [[POSTECH]]은 아예 [[정시]] 모집을 하지 않으며, [[KAIST]], [[GIST]], [[DGIST]], [[UNIST]]의 [[정시]] 모집인원을 모두 합쳐서 100명이 안된다. [[수시]]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전형이 있는 것도 [[POSTECH]] 밖에 없고, 기준도 낮은 편이다. 소수정예를 지향하는 과기특성화대학에서 [[수시]] 전형의 장점이 잘 발휘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STadiu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Tadium)] 교류전인 [[STadium]]을 2017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5개 대학 총학생회장단의 모임인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석회의가 주관한다.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공동 AP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dvanced Placement, 문단=3)]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대학수준의 과목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입학 후 이수학점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분류:대학 협회/연맹]][[분류:과학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