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와 연산)] [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목차] == 개요 ==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notation)이란 [[큰 수]][* 물론 상식적인 범위에서의 큰 수이다. [[그레이엄 수]]같은 건 당연히 불가능.]나 [[작은 수]]를 쉽게 표현하기 위한 기수법이다. == 표기법 == 어떠한 수를 [math(X \times 10^Y)]와 같이 표현한다. 중간의 곱셈과 거듭제곱을 생략해 [math(X\textnormal{e}Y)]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 경우 'e 표기법'이라고 한다. e가 대문자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math(2^{1024})][* 64비트 [[IEEE 754]]의 최대값. 간단히 말해서 컴퓨터에서 64비트에 저장할 수 있는 가장 큰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과 같이 어마무시하게 큰 수도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면 [math(1.797693 \times 10^{308})]으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물론 어림값이다.] === 엔지니어 표기법 === 엔지니어 표기법(engineering notation)은 과학적 표기법의 변종으로, [math(X \times 10^{Y})] 꼴 대신 [math(X \times 10^{3Y})] 꼴로 표현한다. 굳이 3인 이유는 [[SI 접두어]]가 3의 배수마다 존재하기 때문이다. 엔지니어 표기법을 사용하면 별도로 자리수를 맞출 필요 없이 SI 접두어만 붙이면 된다. 그러나, 유효숫자가 직관적이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해 과학적 표기법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 표기 예시 === || [[10진법]] || 과학적 표기법 || e 표기법 || 엔지니어 표기법 || || [math(2)] || [math(2 \times 10^{0})] || [math(2\textrm{e}0)] || [math(2 \times 10^{0})] || || [math(100)] || [math(1 \times 10^{2})] || [math(1\textrm{e}2)] || [math(100 \times 10^{0})] || || [math(235\,000\,000\,000)] || [math(2.35 \times 10^{11})] || [math(2.35\textrm{e}11)] || [math(235 \times 10^{9})] || || [math(0.04)] || [math(4 \times 10^{-2})] || [math(4\textrm{e-}2)] || [math(40 \times 10^{-3})] || || [math(0.000\,000\,011\,37)] || [math(1.137 \times 10^{-8})] || [math(1.137\textrm{e-}8)] || [math(11.37 \times 10^{-9})] || || [math(299\,792\,458)] || [math(2.997\,924\,58\times10^{8})] || [math(2.997\,924\,58\textrm{e-}8)] || [math(299.792\,458 \times 10^{6})] || == 사용 예시 == 과학적 표기법은 유효숫자를 다룰 때 굉장히 편리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수를 표기할 때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 인크레멘탈 게임 === 장르 특성상 극단적인 수가 굉장히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과학적 표기법이 사실상 필수이다. * [[Antimatter Dimensions]] * [[Exponential Idle]] * [[NGU Idle]] * [[Distance Incremental]] * [[The Prestige Tree]] * [[Button Simulator: Excavation Discoveries]] == 관련 항목 == * [[E 표기법]] [[분류:기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