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체신부장관)]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충청북도 청원군수)] }}} ||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8대 체신부 장관}}}]][br]{{{+1 곽의영}}}[br]郭義榮 | Kwak Eui-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곽의영.jpg|width=100%]]}}} || ||<|2> '''출생''' ||[[1911년]] [[5월 28일]]||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 서강외이상면 금계리[br](現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청주)|옥산면]] 금계리)|| ||<|2> '''사망''' ||[[1992년]] [[8월 15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묘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청주)|옥산면]] 금계리|| || '''본관''' ||[[곽(성씨)|청주 곽씨]]|| || '''호''' ||청암(淸巖)|| ||<|2> '''재임기간''' ||제8대 체신부 장관|| ||[[1958년]] [[9월 9일]] ~ [[1960년]] [[5월 1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청주고등학교|청주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 {{{-2 (졸업)}}}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제3대 국회의원|'''3''']], [[제4대 국회의원|'''4''']] || || '''약력''' ||괴산군수[br]청원군수[br]충북도청 광공국 사무국장[br]제2대 국회의원 (충북 청원군)[br]제3대 국회의원 (충북 청원군)[br]제3대 국회 부흥위원회 위원장[br]제4대 국회의원 (충북 청원군)[br]자유당 원내부총무[br]제8대 체신부 장관[br]새마을금고 연합회 부회장[br]대성공업 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 == 생애 == 1911년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 서강외이상면(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청주)|옥산면]]) 금계리[* 인근의 동림리와 함께 [[곽(성씨)|청주 곽씨]] 집성촌이다.][[http://cheong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ju&dataType=01&contents_id=GC00200035|#]]에서 태어났다. [[청주고등학교|청주고등보통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말기에 [[조선총독부]]의 공무원이 되어, 1945년 [[괴산군|괴산군수]] 등을 지냈다. [[8.15 광복]] 후에는 [[청원군|청원군수]], [[충청북도청]] 광공국 상무과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2년 무소속구락부에 속하였으나 이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55년 [[대한민국 국회]] 부흥위원회(현재의 [[국토교통위원회]]와 유사)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 후 자유당에서 정책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가 다시 같은 해 8월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이후 1958년 9월부터 1960년 5월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체신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4.19 혁명]]에 따른 민심 수습으로 경질되었다. [[1960년]] [[3.15 부정선거]] 연루에 따른 반민주행위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이때 [[변호사]]로 자유당 동료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었던 [[박세경]]을 선임하였다. 1961년 반민주행위자로 분류되어 공민권이 제한되고 피선거권이 상실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5.16 군사정변]]으로 정치정화법에 묶여 정치규제를 당했고, [[1963년]] 말경 [[제6대 국회의원 선거]] 후에야 해금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기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를 떠나 주정협회 회장, [[새마을금고]]연합회 부회장, 임광토건 [[회장]], 대성공업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2년]] 8월 서울대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으며 사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금계리에 안장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충청북도)]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충청북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충청북도)] [[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1911년 출생]][[분류:청주 곽씨]][[분류:1992년 사망]][[분류:흥덕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청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법학전문대학원]][[분류:체신부 장관]][[분류:청원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