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관악산'''}}}'''(서울대)'''{{{+2 '''역'''}}} || ||<-3> [[서울 경전철 신림선|[[파일:SillimLine_icon.svg|width=30]]]] || || [[동여의도역|{{{#!html
동여의도 방면}}}]][[서울대벤처타운역|{{{-1 서울대벤처타운}}}]][br]← 1.1 ㎞ || [[서울 경전철 신림선|{{{#!html
신림선
(S411)
}}}]] || {{{#!html
시종착}}} || ||<-3>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원릉역|{{{#!html
고양시청 방면}}}]][[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br]← 2.2 ㎞ || [[서울 경전철 서부선|{{{#!html
서부선
}}}]]{{{#white (미개통)}}} || --{{{#!html
시종착}}}--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include(틀:지도, 장소=37.469536 126.945007,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영어]]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Gwanaksan {{{-2 (Seoul National Univ.)}}}}}} || || [[한자]] ||<-2> 冠岳山(서울大) || || [[중국어]] ||<-2> 冠岳山(首尔大学) || || [[일본어]] ||<-2> [ruby(冠岳山, ruby=クァナクサン)](ソウル[ruby(大, ruby=デ)])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211 || ||<-3> '''운영 기관''' || || [[서울 경전철 신림선|{{{#ffffff 신림선}}}]] ||<-2> [[로템SRS|[[파일:로템SRS 로고.png|width=110]]]] || || [[서울 경전철 서부선|{{{#ffffff 서부선}}}]] ||<-2> 서부도시철도주식회사(가칭) || ||<-3> '''개업일''' || || [[서울 경전철 신림선|{{{#ffffff 신림선}}}]] ||<-2> 2022년 5월 28일 || || [[서울 경전철 서부선|{{{#ffffff 서부선}}}]] ||<-2> 2028년 예정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경전철 신림선]] S411번.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210번지 소재. == 역 정보 == [[파일:170411149186631228837.jpg|width=100%]]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림선_관악산역 안내도.jpg|width=100%]]}}} || || '''{{{#fff 역 안내도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악산역출구.jpg|width=100%]]}}}|| || '''{{{#fff 1번 출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악산대합실.jpg|width=100%]]}}}|| || '''{{{#fff 대합실 }}}''' ||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 형태로 당초 계획은 [[섬식 승강장]]이었다. 관악산공원관리사무소 앞 주차장 아래에 위치한다. 출입구 1개, 엘리베이터 1개[* 승강장으로 한 번에 이어주는 엘레베이터는 아니지만, 15-20초 후 닫히는 기존 대부분 역들의 엘레베이터들과 달리 __닫힘 버튼이 작동__하기에 대합실로 내려가 승강장으로 이어주는 다른 엘레베이터로 갈아타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가 설치된다. 기존 설계에서는 [[강남순환로]]에 막혀 연장 또는 서부선과의 연계가 불가능했다. 서부선 연장안이 나온 뒤 설계 변경을 실시했는데, 신림선 종점부 깊이를 3.3m 더 낮추어 강남순환로 하부 통과로 서부선과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https://dcc.hcn.co.kr/user/news/BD_newsView.do?news_category=02&story_id=232510&story_seq=0&soCode=114&socttSn=232510|신림선·서부선 잇도록 설계변경]], 2016-10-28, HCN] 이 역에 열차가 들어올때 [[오리카에시]] 방식으로 회차한다. 그래서 열차 도착 시마다 매우 혼잡하며, 진행방향의 왼쪽 출입문이 열린다. === [[서울 경전철 서부선]] === [[서부선]] 관악산역은 신림선 관악산역보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더 가까운 역이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의 사업 계획에 따르면, 서부선 관악산역의 경우 서울대학교 정문 바로 앞에 역이 신설될 예정이며 두 역은 환승통로로 이어질 예정이다. === 역명 관련 === [[관악구]]에서 구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명 선호도 조사에서 서울대역과 관악산입구역 두가지 후보가 제시되었고,[* [[https://blog.naver.com/hcnnewswide/222120052359|[뉴음때] 2022년 개통 신림선 경전철, '역명 제정 중']], 2020-10-19, HCN] 시 지명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거쳐 최종적으로 2021년 2월 7일 역명이 '''관악산역'''으로 확정되었다. 주변 지역 주민 의견 수렴 과정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관악산이 53%, 서울대가 47%의 지지를 얻었다고 한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846503|[민원답변]신림선 관악산역 이름을 서울대역으로 바꿔주세요!]], 2021-04-30, 서울정보소통광장] 관악구청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관악산(서울대)역'을 제안했으나, [[서울특별시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과의 [[이수역/역명 논란|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서울대 명칭의 병기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4495948|신림선 역명 정했다…'서울대역' 대신 '관악산역']], 2021-02-07, 한국경제] 그러나 110역의 역명을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확정하는 과정에서, 110역에 '서울대'를 넣으려면 서울대학교 측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는 지명위 의견이 나왔고, 이에 대해 서울대 측은 이 역(111역)에 서울대를 병기하는 조건으로 동의를 했다. 결국 2021년 8월 12일, 역명을 '''관악산(서울대학교)역'''으로 변경하는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503155|안건]]이 지명위에 상정되었고 서울대벤처타운역과 함께 '''관악산(서울대)역'''으로 확정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688307|고시계획]] [[https://event.seoul.go.kr/seoulsibo/list.do|고시공고 (제2021-520호, 9월 16일 시보 60페이지)]] == 역 주변 정보 == || {{{#ffffff 1}}} ||'''[[관악산]]공원''', '''[[서울대학교]]''', 관악아트홀·관악중앙도서관, [[삼성중학교]], [[삼성고등학교]], [[신림중학교(서울)|신림중학교]], 서울산업정보학교 방면|| [[강남순환로]] [[관악IC]]가 근처에 있으며, 역 건너편 신림중학교 옆에 신림공영차고지가 건설 중에 있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350m 정도 떨어진 [[관악산]]입구에 위치한다. [[서울대입구역]]은 정문에서 '''1.8km''' 떨어져 있어서, 서울대입구역보다 이 역이 서울대에서 더 가깝다. 그렇다고는 해도 서울대학교가 넓다보니 관악산역에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경영대]]나 법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사회대입구]]까지는 850m 정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사범대]], 기숙사삼거리는 1.7km 떨어져 있고, 신공학관(윗공대)은 '''2.5km'''가 넘어간다. 따라서 관악산역에서 [[서울 버스 5511|버]][[서울 버스 5516|스]]로 갈아타는 것이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역의 접근성도 낮고, 이 역에서의 버스 환승 여건도 나쁘기 때문에 신림선 연선에 거주하는 학생이나, 신림역 서쪽에서 통학하는 학생 외에는 이쪽으로 올 일이 잘 없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경전철 신림선|[[파일:Sillim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22년 || 6,230명 || [* 개통일인 5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1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3> {{{#ffffff '''출처'''}}} || ||<-3>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252&srvType=S&serviceKind=1¤tPageNo=1|서울열린데이터광장]] ||}}} == 승강장 ==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악산승강장.jpg|width=100%]]}}}|| || '''{{{#fff 신림선 승강장 }}}''' || ||<-4> [[서울대벤처타운역|서울대벤처타운]]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시종착 || || {{{#ffffff 상}}} ||<|2>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신림]]·[[보라매역|보라매]]·[[대방역|대방]]·[[샛강역|샛강]] 방면, 당역 종착|| || {{{#ffffff --하--}}} ||당역 종착(막차 한정)|| 열차가 [[오리카에시]] 방식으로 진입하여, 샛강 방면 승강장에서 승하차를 모두 취급한다. 역 정차 시간이 짧아 서둘러 하차하고 승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행 승강장은 막차한정 당역종착 승강장의 용도로 사용되며, 평상시에는 들어갈 수 없다.[[http://www.sillimlrt.com/kr/html/sub02/020103.html?mode=V&no=cae2e4290ea8615ce4aeabf91b971265|#]] 따라서 평상시에는 단선 승강장처럼 운영된다. === [[서울 경전철 서부선]](예정) === || {{{#ffffff 상}}} ||<|2> [[서울 경전철 서부선]] ||[[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노량진역|노량진]]·[[신촌역(도시철도)|신촌]]·[[원릉역|고양시청]] 방면|| || {{{#ffffff 하}}} ||시종착||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경전철 신림선]][[분류:202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 관악구의 교통]][[분류: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