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역명이 광명역이었던 역, rd1=광명역] {{{+1 光明사거리驛 / Gwangmyeongsageori Station}}} ||<-3> {{{+2 '''광명사거리역'''}}}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철산역|철 산]][br]← 1.3 km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48)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천왕역|천 왕]][br]1.7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광명사거리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wangmyeongsageori || || [[한자]] ||<-2> 光明사거리 || || [[중국어]] ||<-2> 光明十字路口 || || [[일본어]] ||<-2> クァンミョンサゴリ || ||<-3> '''주소''' || ||<-3>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지하 980 ([[광명동]] 158-211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00년 2월 29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3선 (횡단 가능) || [목차]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48.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지하 980 ([[광명동]] 158-211번지) 소재. == 역 정보 == * 2020년 3월 현재 에스컬레이터 공사로 인해 9번 출구는 사용할 수 없다. 목적지가 9번 출구 근처에 있을 경우 2번[*길건너]이나 8번[*모퉁이돌아서], 10번[*도보100m]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 * [[상대식 승강장]]과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s-3.1.1|단선 승강장]]이 함께 존재하는 구조이다. 다만 실제로는 선로 하나는 거의 출고용으로만 쓰이고 평소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개통 초기에는 출근시간대의 이용객을 위해서 광명사거리역에서 출발하는 전철이 있었기 때문에 [[천왕차량사업소]]에서의 출고선이 존재하며, 2009년 3월 6일부터 오전 7시 51분에 광명사거리역에서 출발하는 차편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동년 7월부터는 오전 8시 정각 출발로 변경. 이 편성은 원래 광명시에 7호선이 개통되면서 운행하였으나, 몇 차례의 시간표 개정 끝에 결국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 역명의 유래는 역사가 위치한 사거리의 이름이다. 개통 당시에는 광명동의 중심에 있어서 '''광명역'''이었으나 2004년 4월 1일 일직동에 [[경부고속선]] [[광명역]]이 생기면서 광명사거리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사실 광명사거리역 개통 당시만 해도 지금의 KTX 광명역은 가칭이 '남서울역'이었다가 광명시에서 딴지를 걸어 가칭을 '광명역'으로 바꿔버린 바람에 이와 같이 겹치게 된 것. * 7호선 건설계획 원안에는 시종착역으로 되어 있었으나 [[경인선]] 전철과의 연계를 위해 계획이 [[온수역]]까지 확장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41600289113001&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4-16&officeId=00028&pageNo=13&printNo=900&publishType=00010|「광명·온수역 연결전철 건설」, 1991-04-16, 한겨레]]] 그래서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광명시에 들어갔다가 다시 [[서울특별시]] [[구로구]]로 들어오는 특이한 형태가 되었다. [[철산역]]과 더불어 경기도 광명시 소재 역이지만 정기권 서울전용요금제 이용이 가능하다.[* 이건 [[서울 지하철 8호선]]의 [[8호선 추가역|구]][[산성역|성]][[남한산성입구역|남]] [[단대오거리역|지]][[신흥역(성남)|역]] [[수진역|관]][[모란역|할]]역과 고양시 소재의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도 마찬가지다.] * 사실상 [[광명시]]의 중심 역할을 하는 역은 KTX의 [[광명역]]이 아닌 바로 [[광명사거리역]]이다. 그만큼 [[광명시]]의 심장 역할을 하는 샘이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의 주요 시설은 [[광명전통시장]], [[롯데시네마]](구 광명[[CGV]])정도이지만,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천왕차량사업소]]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천왕차량사업소의 행정구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 특이하게 기지 남쪽으로 같은 동명의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과 [[부천시]] 옥길동이 있다. 이는 원래 같은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였다가, 1983년 옥길리를 반으로 찢어 [[부천시]]와 [[광명시]]에 분할 편입했기 때문. 얼핏 보기엔 역 주변이 썰렁하다고도 느낄 수도 있다. 광명4동의 한진아파트와 몇몇 건물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키 높은 건물이 그다지 보이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사거리 한 귀퉁이를 [[광명시장]]이 차지하고 있어서 발생하는 훼이크. 물론 신시가지인 [[철산동]]이나 [[하안동]]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오래된 건물들 위주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 부족분을 광명시장 하나가 다 보정해 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하동에 크고 아름다운 [[이마트]]가 들어서면서 잠시 타격을 받나 싶었지만 가까운 천왕동에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여전히 성업 중. 광명시가 총력을 기울여서 유치한 경륜장인 [[광명스피돔]]이 주변 시설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도보로 20분 이상을 언덕도 넘어서 걸어가야 한다. [[화영운수]](광명)의 [[광명 버스 11|11]]번 버스(차고행이 존재하니 주의), [[범일운수]](서울)의 [[서울 버스 6637|6637]]을 타면 경륜장 바로 앞에서 하차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한편 [[시흥교통]](시흥)의 [[시흥 버스 530|530]]번 버스도 지나가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여담으로, 광명[[새마을금고]]와 맥도날드 '''광명역지점'''은 [[광명역]]이 아니라 이 역 인근에 있다. 광명역 인근에는 '''새마을금고 KTX광명역지점'''이 또 있다. 7호선 광명역이 광명사거리역으로 바뀌었음에도 이름을 고치지 않은 [[귀차니즘]]이 돋보인다. == 일평균 이용객 == 광명사거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7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8,326명 || 39,271명 || 44,489명 || 46,500명 || 47,174명 || 48,259명 || 49,149명 || 49,358명 || 49,650명 || 50,524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52,869명 || 55,147명 || 56,605명 || 57,148명 || 56,373명 || 55,404명 || 54,776명 || 53,436명 || 52,917명 || 52,082명 || || 2020년 || || '''38,754명''' ||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이용객이 53,000여 명에 다달아 '''7호선 전체 2위'''의 승하차객을 기록하는 역이다. 7호선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과 함께 5만 명을 넘는 단 둘 뿐인 역이며, 2기 지하철(구 [[서울도시철도공사]] 소속)을 통틀어도 5위이다[* 다만 2기 지하철끼리의 환승역을 포함하면 [[천호역]], [[공덕역]]에 밀려 7위이다.][* 7호선 2위 - (구)도철 5위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광명사거리 승하차객 수는 수많은 [[부도심]] 거점지들을 추월한다. 당장 [[광명시]]의 상업/교통 중심지인 [[철산역]]보다도 많고, [[이수역]], [[논현역]], [[청담역]], [[건대입구역]], [[노원역]]과 같은 서울의 주요 부도심(7호선 단일 노선 한정)보다도 승하차객이 많다! 추가로 7호선 전체 3위는 같은 광명시의 철산역으로서, 광명시가 전반적으로 7호선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퇴근 시간 하행 열차(인천, 부천행)는 이전 역(철산역)까지는 사람이 꽉꽉 채워 타야 하나, 이 역을 지나면 의자에 빈자리가 생기기도 한다. 이곳은 개통 첫해부터 떡잎이 예사롭지 않았다. 2000년에는 중간에 개통되어 1년 치 통계가 온전히 들어있지 않음에도 28,000명으로 순조롭게 시작하였고, 2002년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4만 명대 중반으로 올라서더니, 그 뒤로도 한 해에 1,000명씩 야금야금 승객 숫자가 올라가다 2009년에는 5만 명을 돌파했고, 2013년에 57,000명으로 최대치를 찍었다. 이렇게 승객이 많은 이유를 정리해 보자면, * 첫째, 광명시 내에서 인구가 많은 지역에 있다. 광명동 총 인구만 10만명으로, 약 8만명인 철산동보다 훨씬 많다. * 둘째, 대체수단이 없다. 광명시 동부의 경우 가까운 안양천 교량 바로 건너편에 독산역(하안동), 금천구청·석수역(소하동)이 있어 철산역 이용권역에서 상당한 인구가 이탈하는데 반해 광명동 지역에서는 뭘 하든 일단 광명사거리를 거치고 봐야 한다. * 셋째, 도로 교통 사정이 좋지 않다. 도로가 좁아 매우 막힌다. * 전철로는 두 정거장인 가산디지털단지역(舊 가리봉역) 근방까지 차로 1시간이 걸릴 때도 있다. 그나마도 철산동의 경우 귀차니즘이나 여러 요인[* 구로-가산디지털단지 내에서 전철역 연계가 별로인 지역이 상당히 많다. 디지털1단지는 전철 타느니 밀려도 [[서울 버스 5536]] 이용이 나은 수준.] 때문에 그 극악의 정체를 자랑하는 철산대교-수출의다리를 건너는 서울 시내버스 노선들을 상당히 많이 이용하지만 광명사거리 일대에서는 [[광명 버스 21]] 말고는 여길 건너는 버스노선도 거의 없다. * 넷째, 타 지역(시흥, 안산, 부천 일부)에서 전철을 타러 오는 사람도 많다. * 시흥에서는 [[광명 버스 1|1번]], [[광명 버스 39|39번]], 안산에서는 [[안산 버스 301|301번]], [[안산 버스 320|320번]], 부천 옥길지구에서는 [[광명 버스 2|2번]] 등을 타고 광명사거리역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처럼 타 지역에서의 수요도 많아 오로지 광명시민들만 이용하는 철산역에 비해 실질적인 역세권은 훨씬 넓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안산 방면 승객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곳도 아니고 그 악명높은 '''[[경원여객|경제학네]]'''가 기존의 301, 320을 놔둘 리가 없다는 것이 중론.] 이 정도가 되겠다. ## 승객이 많은 이유(이렇게 승객이 많은 이유를~이 정도가 되겠다.)에 대한 내용이 구 버전에서는 '역 주변 정보' 문단과 '일평균 이용객' 문단에 조금씩 서술되어 있었는데, 이를 현위치로 통합하였다. 그러나 통합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누락 혹은 생략되었으니 보고 추가 바란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51511.jpg|width=500]] [br]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https://attachment.namu.wiki/51511.jpg|크게보기]][br](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 승강장은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파일:역명판광명사거리역7.jpg]] 역명판. [[파일:광명사거리.png|width=500]] [br] 역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EA%B4%91%EB%AA%85%EC%82%AC%EA%B1%B0%EB%A6%AC.png|크게보기]] ||<-5> [[철산역|철산]]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ㅣ || ||<-5> ↓ [[천왕역|천왕]]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이수역|이수]]·[[상봉역|상봉]]·[[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온수역|온수]]·[[부천시청역|부천시청]]·[[상동역(도시철도)|상동]]·[[부평구청역|부평구청]] 방면|| 역 계단 위치가 개판이다. 양쪽 승강장 끝에 계단이 있는데 사거리 쪽 계단이 주로 사용된다. 반대쪽은 1번과 10번 출구가 있으나 잘 쓰이지 않는다. 장암 방향은 8-4에 사거리쪽 계단, 부평구청 방향은 1-1에 사거리쪽 계단이 있으니 확인하고 탑승할 것. 잘못하면 꽤 걸어야 한다. 상행 승강장 옆에는 천왕차량사업소에서 오는 선로 하나가 있는데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승강장 모양 때문에 상행 승강장에서는 분명 섬식인데 반대편에 선로가 더 있는 이상한 장면을 볼 수 있다. == 기타 == 줄여서 '''광사'''라고 불리고 있다. 여담으로 광명사거리역에는 7호선 1차분 상부개폐창 시절의 사진이 있는데 10번 출구 이마트 쪽으로 가면 있다. 10번 출구는 크로앙스 지하와 연결되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광명시의 교통)]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광명시의 철도 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