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엔젤링, other1=유희왕의 장착 마법 카드, rd1=엔제링)]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근육, rd1=광배근, other2=광배라는 별명을 가진 연예인, rd2=강혜원)] [목차] == 개요 == {{{+1 [[光]][[背]]}}} 각종 종교의 성자, 예를 들면 [[그리스도교]] 계열의 천사나 성인 또는 [[불교]]의 [[붓다|부처]] 머리 위에 있는 빛을 띄는 둥그런 빛. 혹은 등쪽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킨다. [[아우라]]와의 차이는, 아우라는 전반적으로 감도는 분위기나 위엄을 형상화한 것. [[후광]]이라고도 한다. 서양에서 묘사되는 쟁반 형태의 [[헤일로]]는, 그리스•로마 신상 조각상에 먼지가 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 위에 얹어둔 먼지받이에서 유래되었다. 당시 유럽인들은 그것을 신성의 의미로 착오했고, 이후 그림에서 헤일로는 머리 위에 있는 쟁반 형태로 고정되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4914&cid=40942&categoryId=33050|좀 더 자세한 설명]] == 종교별 광배 == === 그리스도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new.ofmkorea.org/7e3c8f85c723b1d053bbb1a60969b119.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saccio_chapelle_Brancacci.png|width=100%]]}}}|| 중세 초기에는 이러한 쟁반같은 모습의 헤일로를 많이 묘사했지만 미술 사조가 발전하며 사실주의와 원근법이 부각되자, 이러한 과장된 기법은 줄어들고 그림 속 헤일로가 단순해지거나 사라지게 되었다. [[파일:external/pds22.egloos.com/a0007296_4dcbe66ec4356.jpg|width=500]] 모자이크나 이콘에서 볼 수 있는 동그라미 헤일로. [[파일:external/pds18.egloos.com/a0007296_4dcbd68d9abc0.jpg|width=500]] [[파일:external/pds19.egloos.com/a0007296_4dcbe8ed82d50.jpg|width=500]] 머리 뒤를 둘러싼 동그란 테두리는 Gloriola(環光), 머리를 둘러싼 속이 꽉 찬 원은 Nimbus(輪光), 몸 전체를 비추면 Aureole(後光)로 세분하여 칭하기도 한다. Gloriola는 [[복자]]의 머리 뒤에, Nimbus는 [[성인(기독교)|성인]]의 머리 뒤에 그릴 수 있다고 하나,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헤로데 대왕]]의 유아대학살을 피해 [[이집트]]로 피난하는 장면을 그린 <이집트로의 피신(Flight into Egypt)>, [[성모 마리아]], [[나자렛의 요셉]], 아기 [[예수]]를 그린 성가정(The Holy Family) 성화들을 살펴보면, 같은 인물의 머리 위에 헤일로를 그리기도 하고 안 그리기도 하고, 헤일로를 그리더라도 Gloriola를 그린 그림이 있고 Nimbus를 그린 그림이 있는 등 일관성이 없다. === 불교 === [[파일:external/eachoneteachwon.files.wordpress.com/buddha-halo.jpg|width=500]] 불교미술에서는 머리 뒤의 후광을 '두광'(頭光), 머리 이하 몸을 감싸는 후광을 '신광'(身光)이라고 하며, 불교조각(불상이나 보살상)에서 이를 표현한 것을 '광배'(光背)라고 한다. 주로 머리 뒤에 둥그렇게 두광을 표현한 후 따로 신광을 표현하는데, 두광과 신광을 구분하지 않고 배〔舟〕모양의 큰 광배로 한꺼번에 표현한 것을 '주형 광배'(舟形光背)라 한다. [[파일:external/www.wildmind.org/vajrapani3.jpg|width=500]] 밀교의 분노존의 헤일로. 불꽃 모습을 하고 있다. 교리상 분노한 모습으로 중생들을 깨우치게 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파일: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jpg]] 한국의 [[석굴암]] 본존불. 천장 지붕 공간에 관람자의 시선 기준으로 광배를 조각했다. === 이슬람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edieval_Persian_manuscript_Muhammad_leads_Abraham_Moses_Jesus.jpg|width=500]] ~~[[초사이어인]]이 아니다~~ 오른쪽에 있는 사람은 [[무함마드]]고 쳐다보고 있는 사람은 [[아브라함]], [[모세]], [[예수]]다. 이슬람교의 성화에서는 헤일로 대신 성스러운 화염에 휩싸이는 식으로 묘사된다. === 힌두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6px-Shiva-nataraja.jpg]] [[시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Vishnu_Kumartuli_Park_Sarbojanin_Arnab_Dutta_2010.jpg|width=500]] [[비슈누]]. == 대중 매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히어로써클/럭키.png|width=100%]]}}}|| || [[히어로 써클]]의 [[럭키(히어로 써클)|럭키]] || 원래 광배는 동서를 막론하고 [[신]], [[성인#s-2]], [[천사]] 등 신격을 가진 존재를 표현할 때 사용했으나, 오늘날 대중 매체에서는 '''[[고인|망자]]의 상징'''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는 서양의 대중 매체에서 망자의 영혼을 천사같은 모습으로 표현하면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작 그리스도교 신학에서는 천사와 사람의 영혼은 별개의 존재로 보며 사람이 죽는다고 천사가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고증오류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마가 22, 30에서처럼 사후 부활한 인간이 천사와 같아진다는 언급은 존재한다. 물론 이 구절 역시 영혼이 아니라 부활한 '''육신'''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므로, 죽은 영혼을 천사처럼 표현하는 대중매체의 이미지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는 대중 매체에서 묘사하는 그리스도교식 [[지옥(기독교)|지옥]]과도 마찬가지다. 보통 대중 매체에서는 지옥에서 악마들이 망자를 고문하는 것처럼 묘사하지만, 정작 그리스도교에서 묘사하는 지옥은 악마와 망자들이 '''함께''' 고통받는 곳이다.] 어찌되었든 대중 매체에서 망자의 영혼을 천사같은 모습으로 묘사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광배 역시 망자의 상징이 되고 말았다. [[북미]], 특히 '''[[4Kids Entertainment]]'''가 배급 및 유통하는 작품은 가차 없이 해당 요소가 편집된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로는 [[유희왕]]이 있는데, 애니메이션은 물론 카드 삽화까지 검열되었다.[* 이를 관련 팬덤에서는 [[탄압]]이라고 표현한다.] [[에반게리온: 파]]에서 [[에반게리온 초호기]]가 [[제르엘(신세기 에반게리온)|제르엘]]한테서 [[아야나미 레이]]를 뽑아내기 위해 각성하면서 머리위에 생성되는 장면을 보여주기도 했다. 에반게리온 신극장판에서는 이 광륜이 사도들이 공중부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반중력 장치로써 작용한다. 이는 광륜을 생성할수 있는 [[에반게리온]]도 마찬가지. [[천사]]가 선하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여러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에반게리온 초호기]]만 해도 광륜이 불규칙한 그래프처럼 생겼고 타락천사의 경우 광륜이 푸른 불꽃이거나 검은색인 경우가 있다. [[명일방주]]에서 천사가 모티브인 [[명일방주/종족#산크타|산크타족]]의 광배와 날개는 외부로 노출된 뇌신경조직의 일부라는 설정이다. [[매드니스 컴뱃]]에서는 매우 중요한 물체로 등장한다. 염력, 에너지 막 생성, [[순간이동]], 좀비화 등의 능력을 가지게 되며 지금까지 이 헤일로를 착용한 자는 [[예수(매드니스 컴뱃)|예수]], [[오디터]]와 [[트리키 더 클라운]]이다. 자세한 내용은 [[헤일로(매드니스 컴뱃)]] 문서 참고. [[블루 아카이브]]의 등장하는 학생들은 전부 헤일로를 갖고 있다. 단순한 고리 모양부터 마법진처럼 복잡한 문양 등, 개인마다 모두 다른 다양한 헤일로를 가지고 있다. 학생들 전원이 신이나 악마, 요괴 등[* 게임 내에서 '신비'라고 표현한다.]의 신성한 존재들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기 때문. 일본판의 경우, 일본어에서 광배의 영음인 헤일로를 음독할 때 다양하게 표기되지만 블루 아카이브에선 ヘイロー로 표기법이 통일되어 있다. 블루 아카이브에서 헤일로는 학생들의 의식이 깨어 있을때는 항상 켜져있으며, 잠을 청하거나, [[우시마키 주리|기절]] 하거나, 심지어 [[유리조노 세이아|뇌사 상태]]에 빠지는 등 학생의 의식이 없을때는 꺼지는 식으로 묘사된다. 또한 작가들이 캐릭터들의 팬아트를 그리면서 실수로 자주 빼먹는 요소이기도 하다. 이 경우 유저들이 "머리 위에 '''헤일로''' 그리세요!"라고 하기도 한다.(...) [[쿠키런]]에서는 [[마들렌맛 쿠키]]가 [[천사맛 쿠키]]를 이용하여 인공후광을 만들었다. [[랜덤채팅의 그녀!]]의 주인공 [[최준우(랜덤채팅의 그녀!)|최준우]]는 자신이 휘둘려온 게 아니라는 [[깨달음]]을 얻고 광배를 빛낸다. [[분류:종교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