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QteK-VvInjo)] 문대현[* 문대현은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82학번으로 이 곡을 만들 때 22세였다. 그에게 큰 영향을 준 형 문승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78학번으로 노찾사 결성의 중요 멤버였고, [[그 날이 오면]], [[사계(민중가요)|사계]] 등의 곡을 썼다.] 작사, 작곡의 [[민중가요]].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은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노래를 찾는 사람들 2|2집]]에 수록된 [[안치환]]이 부른 곡과 [[김광석]]의 앨범 '[[다시 부르기 1]]'에 수록된 곡이다. 처음 불린 것은 [[1984년]] [[성균관대학교]] 음악동아리인 노래패 '소리사랑'에 의해서였고, 80년대 당시 학생운동에서 많이 불리며 86년을 기점으로 입에서 입으로 널리 전해진다. 처음 레코드로 취입된 것은 [[1988년]] 노래패 '노동자 노래단'의 1집에서였으며, 이후 위의 노찾사와 김광석의 앨범에 의해 널리 불리게 된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되는 것처럼 [[6.10 민주 항쟁]] 기념식에서는 이 노래를 마지막에 제창한다. 2017년 6월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 민주 항쟁 30주년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자들과 이 노래를 불렀다. == 김광석 버전 == ||<-2> '''{{{#373d2f {{{+3 광야에서}}}}}}[br]{{{#000 In the Wilderness}}}[br]{{{#373d2f 다시 부르기 1}}}'''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광석 다시부르기 1.jpg|width=100%]]}}}|| || '''발매''' || [[1993년]] [[3월 2일]] || || '''수록 음반''' || [[다시 부르기 1]] || || '''작사''' ||<|2> 문대현 || || '''작곡''' || || '''편곡''' || [[조동익]] || || '''길이''' || 3분 13초 || [clearfix] == 영상 == || [youtube(38aOImEIJ7s)] || [youtube(ckeWEfWQnzc)] || || [[김광석]]이 부른 버전 || [[안치환]]이 부른 버전 || || [youtube(bXIzrDVj9pQ)] || [youtube(ZqjY5PiLLSo)] || || [[노래를 찾는 사람들|노찾사]]가 부른 버전 || [[6.10 민주 항쟁]] 30주년 기념식 버전([[2017년]]) || == 가사 == || {{{#007f97 '''광야에서'''}}} || || {{{#000000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이 땅에 피 울음 있다 부둥킨 두 팔에 솟아나는 하얀 옷에 핏줄기 있다 해 뜨는 동해에서 해 지는 서해까지 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 벌판 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 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켜쥔 뜨거운 흙이여 해 뜨는 동해에서 해 지는 서해까지 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 벌판 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 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켜쥔 뜨거운 흙이여 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켜쥔 뜨거운 흙이여 }}} || 만주 벌판이라는 가사에서 [[민족주의]]적 색채가 있다. 음악 면에서는 단순하면서도 대중에게 쉽게 어필할 수 있는 다장조 멜로디의 음악으로, 80년대 노찾사, [[김민기(가수)|김민기]]로 대표되는 민중가요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분류:민중가요]][[분류:김광석의 노래]][[분류:1988년 노래]][[분류:노래를 찾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