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파일:남구714.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남구714번'''}}} || ||<-2>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지원동(소태역) ||<-2> 종점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매일시장입구)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30 || 막차 || 22:20 || ||<-2> 평일배차 || 20분 ||<-2> 주말배차 || 25분 || ||<-2> 운수사명 || [[나라교통]]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소태역]][* 시내버스 정류장이 아니라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앞에 있는 전용 정류장을 사용한다. 이용객들은 참고 바람.] - 지원2동행정복지센터 - 용산지구대성베르힐 - 남구문화예술회관 - 조봉초교 - 봉선삼익아파트(북) - 방림터널사거리 - 영진주택 - [[남광주역]] - [[조선대학교|조선대]] - 매일시장입구 || == 개요 == [[나라교통]]에서 운행중인 남구 마을버스 노선. 운행거리는 8.1km이다. == 역사 == *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때 나온 마을버스 노선으로, 당시엔 마을4번이었다.[[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12607|관련 게시물]] * 2018년 1월 말에 노선도가 부착되었고, 운영회사도 [[나라교통]]으로 결정되었다. * 본래 2018년 안에 개통하려했으나, 나라교통의 자금난으로 신차 출고가 늦어졌다고 한다. * 2020년 1월 18일에 개통한다는 안내문이 정류장에 붙었다. 계획된지 약 3년만이다. [[http://m.blog.naver.com/wnsk06/221765133907|관련 게시물]] 그리고 예정대로 개통되어 지금까지 운행하고 있다. * [[2020년]] [[3월 25일]] 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부족으로 운행이 3개월간 중단된다. * [[2020년]] [[6월 25일]] 부터 운행이 6개월간 추가 중단된다. [[https://www.namgu.gwangju.kr/board.es?mid=a10604010000&bid=0001&act=view&list_no=6248&tag=&nPage=1|관련 공지]] * 2021년 1월 25일부터 715번과 함께 재운행에 들어갔다. 이와 동시에 기종점 및 일부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다. 기점의 경우 용산지구 아파트단지(모아엘가, 대성베르힐)를 거쳐 소태역으로 연장되고 종점의 경우 남광주역과 조선대, 살레시오여고를 지나 매일시장입구로 변경되며 지산유원지 공영주차장을 회차지로 이용할 예정이다. * 운송사의 경영난으로 인해 [[2021년]] [[4월 19일]]부터 [[2021년]] [[7월 19일]]까지 3개월 간 이 노선의 운행이 중단 된다.[* 정류장에 붙여진 공지에는 잠정 운행 중단이라고 적혀있다.] [[https://www.namgu.gwangju.kr/board.es?mid=a10604010000&bid=0001&list_no=6500&act=view|남구청 공지]] * 운송사의 경영난으로 인해 이 노선의 운행 중단이 [[2021년]] [[7월 20일]]부터 [[2022년]] [[4월 18일]]까지 9개월 추가 연장된다. * 이 노선의 운행 중단이 [[2023년]] [[4월 18일]]까지 연장되고, 4월 18일 당일부터 재운행 될 것으로 보였으나 1년 연장되어 [[2024년]] [[4월]]까지 중단된다.--사실상 [[폐선]]이다.-- == 내용 == * 남구 면허 3번째 마을버스 노선인데 운행기간보다 운휴기간이 더 길다. * 처음 개통 당시의 노선은 [[광주 버스 봉선76|봉선76번]]과 80%가 겹쳤다. 차이점이라곤 [[광주 버스 봉선76|봉선76번]]이 남구문화예술회관으로 가지 않고, 명지아파트에서 라인효친 정류장으로 좌회전해 양림휴먼시아를 경유하는 점과 이 노선이 증심사 회차지로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광주 버스 봉선76|봉선76번]]의 배차간격이 1시간으로 매우 길어서 이용하기 힘들었던 천변좌로 연선의 학교 통학과 교통이 이 노선이 들어오면서 편리해질 전망이다.[* 76번과 중복구간이 많은 데다가 76번보다 배차가 우세하기 때문에 76번의 노선이 변경되거나 폐선될 가능성이 높다.] * 형제격 노선으로 [[광주 버스 남구713|남구713번]]이 있다. 봉선2동 구간이 겹친다.[* 이 노선 개통 전까지는 방림2동까지 713번과 노선이 겹쳤으나, 714번 개통과 동시에 713번이 방림2동에서 철수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소태역]], [[남광주역]]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마을]][[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