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광역시의 문화재]][[분류:광주광역시의 공원]]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 월계동 장고분, 너비=100%)]}}}|| || '''주소''' ||<-2>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로 155([[월계동]] 765, 첨단 2동) || [목차] == 개요 == '''광주 월계동 장고분'''은 [[광주광역시]] [[월계동]]에 위치한 열쇠 모양 또는 장고의 모양을 닮은 [[전방후원분]](장고분)으로, 영산강유역의 10여기 중의 하나인 고분이다. 다량의 목기와 토기가 출토되었다. 1990년대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되고, 유적이 개발되지 않고 지금까지 보존되었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구 광주시립민속박물관)이 관리하고 있다. 이 유적의 출토유물을 볼려면 [[국립광주박물관]]이나 [[전남대학교 박물관]]을 가는 게 좋다. [[광주광역시|광주]]의 대표적인 [[마한]] 유적이다. == 교통 == 첨단2동 주민센터 == 여담 == * [[2023년]] [[10월 27일]]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 유적에 대해 학술대회를 한다. * 고창, 나주, 영광, 담양, 해남 등지 영산강유역과 그 지역의 해안에 장고분이 10여기가 분포해 있다. 광산구 명화동에도 명화동 장고분이 있다. * [[광주 신창동 유적]]과 달리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이 없고, [[2021년]]에 음악회가 열렸다. * 주차장이 없는 게 특징. 광주광역시 역사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이 유적이 보존되지 않았으면 이 유적을 관통해서 도로가 지어졌어야 했다. 당시 전남대 교수인 [[임영진(교수)|임영진]]가 설득해서 도로가 유적을 관통하지 않고 도로가 기울어진 상태로 보존되었다. * 주변에도 가까운 곳에 장고분 어린이공원이 있다. 첨단LC타워가 있다. == 관련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