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width=25]] {{{#ed1c24 '''광주가톨릭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전라남도의 대학)] [include(틀:나주시의 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가톨릭 산하 대학교)] [include(틀: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include(틀:대한민국의 종교대학)] }}} || ||<-2> '''{{{#white {{{+3 광주가톨릭대학교}}}[br]光州가톨릭大學校[br]Gwangju Catholic University}}}''' || ||<-2>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width=50%]] || ||<-2>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가톨릭대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표어'''}}} || Servitium Veritatis (진리에 봉사) || || {{{#white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white '''유형'''}}} || [[사립대학]] || || {{{#white '''설립'''}}} || [[1962년]] || || {{{#white '''총장'''}}} || 김정용(베드로) 신부[*광주대교구 [[천주교 광주대교구|광주대교구]] 소속] || || {{{#white '''설립자'''}}} || 헤롤드 현 || || {{{#white '''학교법인'''}}} || 대건학당 || || {{{#white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 || {{{#white '''웹사이트'''}}} || [[http://www.gjcatholic.ac.kr/|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신학대학. [[광주대교구]], [[전주교구]], [[제주교구]], [[마산교구]] 산하의 [[사제]]를 길러내는 [[가톨릭]] 계열 [[신학대학]]. [[교구]]사제를 지망하는 신학생뿐 아니라 [[수도자]][* 이들은 교구사제 지망 신학생들과 달리, 학교 [[기숙사]]가 아닌 [[수도원]]에서 생활하며 통학한다.]들도 다닌다. [[가르멜 수도회]], [[살레시오 수도회]][* [[살레시오 수도회]] 소속의 [[이태석]] 세례자 요한 신부도 광주가톨릭대에서 공부했다.] 등의 수도자들이 광주가톨릭대에 다니고 있다. 학교법인 대건학당이 운영하고 있다. 이사장과 상임이사는 [[광주대교구]] 대주교와 보좌주교이나, 다른 이사들과 감사들이 전부 [[전주교구]]와 [[제주교구]], [[마산교구]]의 사제들이다. 결국 4개 교구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1962년 광주시 [[쌍촌동]]에서 '''대건신학대학'''으로 개교하였다. 서울의 성신대학(現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과 대구의 성 유스티노 신학교(現 [[대구가톨릭대학교/캠퍼스#s-1.3|대구가톨릭대학교 유스티노 교정]])에 이은 대한민국의 3번째 가톨릭 신학교이다. 개교는 광주대교구에서 했지만, 1969년까지 [[예수회]] 한국관구에서 학교를 운영하였다. 이 때문에 [[서강대학교]] 초대 학장(총장)과 학생처장을 지낸 [[케네스 에드워드 킬로렌]] 신부가 대건신학대학 2대 학장을 맡기도 했고[* [[예수회]]가 [[케네스 에드워드 킬로렌]] 신부를 [[서울]]과 멀리 떨어진 광주 대건신학대학으로 보낸 것은, 케네스 신부가 [[서강대학교]] 재학 중이던 여학생 [[조안 리]]와 유독 각별히 가까이 지내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예수회의 이런 노력도 소용없이, 결국 케네스 진부는 [[환속]]하여 조안과 결혼했다.], [[박홍 루카 신부]] 등 많은 한국인 예수회 사제들이 대건신학대학을 졸업했다. 1985년에 교명을 대건신학대학에서 광주가톨릭대학으로 변경하였으며, 1994년 광주가톨릭대학교로 다시 변경하였다. 1998년 학교를 [[광주광역시]] 쌍촌동에서 현재의 위치인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으로 옮겼다. == 역사 == * 1962년 대건신학교 설립 (광주 쌍촌동) * 1965년 대건신학대학으로 개편 * 1969년 첫 [[성품성사|사제서품]](2명) * 1973년 대학원 설립 * 1985년 광주가톨릭대학으로 개칭 * 1994년 광주가톨릭대학교로 개칭 * 1998년 현 위치([[나주시]])로 교사 이전 == 여담 == * 기존에 대학이 위치해 있었던 광주 쌍촌동 교사는 광주대교구청이 되어 있다.[* 광주대교구청은 주교좌인 임동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부지가 협소하여 이곳으로 옮기게 되었다. 교구와 학교법인은 별개이므로, 광주대교구 유지재단 측에서 학교법인에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고 사들였다.] 주변 환경은 매우 조용한 편이며 성당의 구조가 특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 가톨릭 신학교의 교육과정은 어디나 비슷하니 [[신학과/가톨릭]] 참조. * [[http://khei-khei.tistory.com/1650|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19.3%로 많이 낮다. 그러나 [[사제]]를 양성하는 신학교의 특성상 모든 교육비용과 유지비용은 학교법인을 소유한 [[광주대교구]], [[전주교구]], [[제주교구]], [[마산교구]]가 공동으로 부담한다. 그렇기에 저 확보율은 일반적인 종합대학은 중요할지 몰라도, 신학교에서는 아무 상관없는 지표일 뿐이다. * 201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평가에서 탈락했다. 1년 동안 이 대학으로 유학 오려는 외국인은 유학생 비자가 발급되지 않는다.[[http://www.studyinkorea.go.kr/ko/confirm/mainIntro.do|#]] 그러나 신학교 특성상 외국인 유학생 역량 인증평가는 아무 상관없다. [[분류:가톨릭계 대학]] [[분류:신학대학]] [[분류:나주시의 대학교]] [[분류:천주교 광주대교구]][[분류:천주교 전주교구]][[분류:천주교 마산교구]][[분류:천주교 제주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