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光'''熹'''/光'''熙'''}}} [목차] == 개요 == 중국의 연호. == [[후한]]의 제13대 황제 [[유변]]이 사용한 연호 == ||<-5><:><#AA1111>'''[[후한|{{{#fff 후한}}}]]{{{#fff 의}}} [[연호|{{{#fff 연호}}}]]'''||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영제(후한)|영제]][br][[중평]](中平)[br]{{{-2 ([[184년]] ~ [[189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후소제(후한)|{{{#fff 후소제}}}]][br]광희(光熹)[br]{{{-2 ([[189년|{{{#fff 189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후소제(후한)|후소제]][br][[소녕]](昭寧)[br]{{{-2 ([[189년]])}}}}}} || 중평 6년(189년) 후한의 제12대 황제인 [[영제(후한)|영제]]가 사망하고 [[유변]]이 제13대 황제로 즉위하면서 사용한 연호로, 189년 4월부터 8월까지 사용되었다. [[십상시의 난]]이 진압된 이후 다시 소녕(昭寧)으로 연호를 고쳤다가, [[동탁]]에 의해 유변이 폐위되고 [[유협]]이 즉위하면서 영한(永漢) 연호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12월에 내려진 칙령으로 광희, 소녕, 영한 연호는 폐지되었고 다시 중평 6년이 되었다. 이로 인해 189년 한 해에만 4번의 연호 교체가 일어났다. [[후한]]의 붕괴를 가져왔다고 하는 [[환관]]과 [[외척]]의 다툼이 끝나는 시기로 이 때 일어난 십상시의 난으로 인해 환관이 몰살되면서 후한이 멸망하기 전까지 환관이 세력으로 나타나는 일은 없었다. === 주요 사건 === * 광희 원년([[189년]]): 중평 6년 4월에 영제가 사망하고 황자 유변이 황제로 즉위하여 광희로 개원. * 4월 : [[건석]], [[동중]], [[효인황후 동씨]] 사망. * 8월 25일~28일(음력) : [[십상시의 난]] * 12월 칙령으로 광희, 소녕, 영한 연호를 폐지하고 중평 6년으로 복구. == [[서진]]의 제2대 황제 [[사마충]]이 사용한 연호 == ||<-5><:><#800080>'''[[서진|{{{#fff 서진}}}]]{{{#fff 의}}} [[연호|{{{#fff 연호}}}]]'''||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혜제(서진)|혜제]][br]영흥(永興)[br]{{{-2 ([[304년]] ~ [[30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혜제(서진)|{{{#fff 혜제}}}]][br]광희(光熙)[br]{{{-2 ([[306년|{{{#fff 30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회제(서진)|회제]][br][[영가]](永嘉)[br]{{{-2 ([[307년]] ~ [[313년]])}}}}}} || 서진의 제2대 황제 [[사마충]]의 치세에 사용된 마지막 연호로, 306년 6월부터 12월까지 사용되었다. 306년 11월 사마충이 죽고 뒤를 이어 즉위한 [[사마치]]는 307년부터 영가 연호를 사용하였다. [[분류: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