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배틀로봇]] [include(틀:배틀제왕)]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괴물(배틀로봇).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괴물'''}}} || ||<-2> {{{#000000,#e5e5e5 '''구호''' }}} || 배틀로봇 최강 파워! || ||<-2> {{{#000000,#e5e5e5 '''파일럿''' }}} || 오재욱 → 강경륜 || ||<-2> {{{#000000,#e5e5e5 '''소속''' }}} ||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초기에는 광운대학교 로빛과 합작한 로봇이다.] || ||<-2> {{{#000000,#e5e5e5 '''차체 형태''' }}} || 수직회전 드럼형 || ||<-2> {{{#000000,#e5e5e5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 || 제 34대 / 2연승 || ||<-2> {{{#000000,#e5e5e5 '''승률''' }}} || 20전 12승 8패 [br] 0.600 || ||<|3> {{{#000000,#e5e5e5 '''출전''' }}} || {{{#000000,#e5e5e5 ''' 배틀제왕전 ''' }}} ||'''제 92회''','''제94회'''-제95회 / 제34대 배틀제왕 || || {{{#000000,#e5e5e5 '''기타''' }}}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br] 제2회 배틀로봇 최강자전 [br] 제2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 [목차] [clearfix] == 역사 == 배틀로봇 팀 중에서 몇 없던 연합팀(광운대학교+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으로, 이 두 학교가 각각 냈던 배틀로봇들의 전적이 모두 전패(...)[* 크루세이더 3패 J하우스 1패 통합 4패..]였기에 서로같이 만들면서 그당시 있던 고지전에도 대비를 하는 섬세한 모습도 보여주었다. 로봇파워에 첫 출전할때는 위와같은 전적으로 조금 기가 눌렸지만, 상대였던 2MR3를 상대로[* 블레이드도 많이 작은 편이고 위력도 애매해서 지금보면 성능이 낮은 로봇이었지만 패자부활전에서 무한한힘을 잡고 올라왔기 때문에 당시엔 고평가를 받고 있었다.] 단 한방에 2MR3의 수평회전 블레이드를 박살내버리는 초전박한 상황이 연출되자, 모든 관중들과 해설들이 경악했다.[* 이때 이동진 해설위원은 "정말 이름 그대로 괴물입니다!"라고 말했다.] 경기는 가볍게 승리했지만, 다음 상대는 방금전 블레이드하고는 비교가 불허했던 [[런지 블레이드]]로 고지전을 위하여 높게 올렸던 타점을 이용하여 괴물의 타점을 지탱하는 지지대들을 제거했고, 이번에는 괴물이 런지 블레이드의 연이은 공격에 차체가 박살나버리면서 기권을 선언했다. 그후 괴물은 계속하여 로봇파워에 출전하기는 했지만 하필 만난 상대가 [[짱가]], [[런지]]여서 패배를 거듭하는 등 다소 부진한 기록을 세웠다가,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 참여하여 예선을 돌파하고 16강에서 리버스를 단 한방에 뒤집어 버리면서 가볍게 승리했다. 그러나 8강전 [[대박이]]와의 경기에서 정면 충돌로 대박이의 차체를 높게 띄웠지만 대박이는 뒤집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대박이가 떨어지면서 괴물을 타격해 지지대를 부숴버렸다. 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궁지에 몰리게 된 괴물은 결국 대박이의 속공에 부서지고 기권패를 선언하며 탈락. 그렇게 시간이 흘러 괴물은 투혼의 신바람을 부르는 날을 맞이하는데, 패자부활전부터 수평회전 블레이드형이었던 [[붕붕이]]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진행되었고, 붕붕이의 블레이드가 꽤나 강하고 범위도 넓었기에 불리한 싸움을 이어가는 듯 싶다가 초반에 붕붕이의 측면을 강타하여 차체의 균형을 한번 흔들어주면서 붕붕이의 공격에 차체가 일그러져도 끊임없이 공격했고, 결국 붕붕이의 왼쪽 바퀴를 날려버리며 판정승으로 승리, 그후 심히 상태가 안좋았던 괴물은 경기가 진행되자마자 정비시간 초과로 경고 1회를 안고 올라왔지만, 중반부에 상대 로봇 K를 공격해서 극적으로 차체를 뒤집는데 성공하여 또다시 승리를 가져갔고, 또다시 정비시간 초과로 경고 1회를 안고 다시 경기를 시작했지만, [[번개(배틀로봇)|번개]]를 상대로 공격을 할때마다 번개의 차체가 계속해서 뒤집어졌고, 이로 경기는 괴물의 강세로 마무리 지면서, 판정 결과 경고라는 패널티를 극복하고 배틀제왕전에 오르는데 성공했다. 그당시 상대는 폴리페무스를 꺾고 배틀제왕이 되었던 이변의 아이콘 [[백러쉬]]로 어떤 경기를 이어나갈지 의문이 드는 경기였지만, 괴물은 백러쉬를 상대로 정면으로 공격하여 [[백러쉬]]를 날려버렸다. 괴물은 이를 기점으로 잡고, 계속해서 뒤집히는 차체를 벽을 이용하여 원상복귀시키는 백러쉬를 공격하면서 강세를 이어나갔으며, 백러쉬의 왼쪽 바퀴마저 빠져버리자 승기를 다질줄 알며 기뻐했다. 허나 예상못한 백러쉬의 공격에 구동벨트가 끊어져서 드럼이 멈췄고, 이를 만회하기 위하여 백러쉬를 [[마당쇠(하우스로봇)|마당쇠]]쪽으로 몰고 가서 유효타를 내는데 성공했고,[* 처음 몰고갔을때는 실수로 괴물이 오히려 뒤쪽에 타격을 입었다. 이후 버티는 백러쉬를 간신히 몰고가 타격을 입혔다. 한번 날라간후 다시 떨어지면서 두번 타격을 입은것.] 판정 결과 괴물이 승리를 거두며 배틀제왕에 입성하는데 성공했다.[* 괴물 90점,백러쉬 87점.] 이어서 2연승때 도전자인 무한한 힘과 드럼대 드럼 맞대결을 치뤘지만, 공격이 더 강했던 괴물이 가볍게 무한한 힘을 함정쪽으로 날려버리면서 승리했고, 괴물은 점점 부진한 성적을 역으로 뒤집어버리면서 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다음 3연승때 상대는 한차례 패배를 겪었던 [[런지(배틀로봇)|런지]]로[* 이동진 해설위원이 분명히 배틀제왕은 괴물인데 되려 괴물이 도전자 같다고 언급할정도] 경기가 시작되자 서로 신경전을 펼치면서 은근히 서로를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정작 정면대결에서 런지의 디스크가 괴물의 드럼을 다소 압도하며 밀어붙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런지의 이어지는 공격에 차체가 심하게 흔들렸고, 이에 런지는 기점을 잡아서 괴물을 압박했으며, 결국 차체가 일그러지면서 작동불가로 이어지면서 런지에게 배틀제왕을 내주고 말았다. 그후 소식이 없다가 제2회 배틀로봇 최강자전에서 또다시 번개를 만나서 저번 경기와 비슷한 양상으로 승리를 거머쥐었는데[* 이 때 타격을 받고 떠오른 번개가 괴물의 차체 위에 업히는 해프닝도 있었다. 괴물이 번개를 업은 채 어쩔 줄 모르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처음 업어보는거라 많이 당황했다는 해설진들의 멘트는 덤] , 8강에서 대박이를 만나서 대박이의 연이은 공격에 구동부가 파손되고, 드럼도 멈춰버리면서 열세의 길을 걷고 있다가 대박이가 경기전에 받았던 경고 2회의 패널티를 넘지 못한 채 결국 괴물이 판정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대박이에게 받는 데미지가 강했기에 결국 경고 2회를 받으면서까지 수리를 했음에도, [[짱가(배틀로봇)|짱가]]전에서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작동중지가 되어버리며 패한 후, 제2회 로봇파워 왕중왕전에서 앵커와 대등한 경기를 펼치다가 기습 공격에 함정으로 빨려들어가버리면서 광탈한 점과 더불어 오랜만에 로봇파워에 출전하자마자 회오리의 한방에 구동중지가 되버리며 패한 후로는 경기공고에서 선보이기는 했지만 부품이 모두 빠진 걸로 봐서는 경기는 안뛰게 된 모양이다..[* 참고로 124회 대회가 경기기계공고 학생들의 졸업을 앞두고 출전하는 괴물의 마지막 고별전이였는데, 스피드스피드에서 5위로 패자부활전에 간 것도 모자라 회오리의 블레이드에 뒷쪽이 찌그러지면서 패했고,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괴물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 기타 == 경기공고에서 나온 로봇파워 처음이자 마지막 배틀제왕이기도 하다. 이후 로봇과는 2016년 폐지됐다. 영화 [[괴물(한국 영화)|괴물]]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분류:배틀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