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喬]][[木]] == 줄기가 굵고 높이가 8m 이상인 나무. 고교 과정 생명과학 과목에서도 [[생태학]] 부분을 통해 교목을 다루고 있다. [[http://memolog.blog.naver.com/PostThumbnailView.nhn?blogId=genetic2002&logNo=30068604201&categoryNo=26&parentCategoryNo=106|예를 들어]] 양수 교목림과 음수 교목림의 구분에 대한 것이다. === [[이육사]]의 시 === ||<:> '''{{{+4 교목}}}''' {{{-1 이육사}}} ----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라.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 [[이육사]]의 대표적인 시이다.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현대시 문제로 출제되었다. 이 시의 제목인 '교목'은 나라를 위한 시인의 절개와 기상을 표상한 것이다. 이 시에는 화자가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삶의 자세가 담겨 있다. 현재 처한 상황은 부정적이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있지만 말이다. 표현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비유와 상징을 통해 시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당해년도 수능 해당 지문에 대한 첫 번째 문제 답.] 또 이 시의 행 배열과 연 구성에서도 이육사 시의 형식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시어를 살펴보자면, '낡은 거미집'은 시인의 고난에 찬 삶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끝없는 꿈길'은 시인의 혁명적 열정과 의욕을 함축하고 있다. '바람'은 일제의 괴롭힘을 표현하는 것이다.[* 시인의 실향 의식과 저항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니 유의. 실제로 이해 수능 선지에서도 이 부분이 오답으로 활용되었다.][* 이상 당해년도 수능 해당 지문의 세 번째 문제의 이육사에 관한 외부 자료 및 선지를 바탕으로 작성됨.] == [[校]][[木]] == 학교를 상징하는 나무를 말한다. 전국 학교의 교목 대부분은 [[소나무]] 아니면 [[향나무]], [[느티나무]]가 많다. 최근 일제강점기와 관련된다 하여 [[가이즈카 향나무]]가 교목이었던 경우 다른 나무로 많이들 바꾸고 있다. == [[校]][[牧]] == 기독교 계열 학교[* 가톨릭, 개신교 등에 소속된 학교]에 소속된 [[목사]]나 [[신부(성직자)|신부]]를 말한다. 이런 사람들의 존재는 곧 그 학교가 [[미션스쿨]]임을 뜻한다. [[종교교사]]가 교목을 담당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1940년 시]][[분류:이육사]][[분류:한국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