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隊 [목차] == 개요 == 부대 단위로 주로 보충대에서 쓰인다.[* 보충대와 훈련소가 함께 존재하는 [[육군훈련소]]에서는 쓰지 않는 단위이다. 어차피 보충대 시기와 훈련소 시기의 교관과 조교들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방 단위로 편성된다. [[입대장병]]을 관리하기 때문에 실제 [[기초군사훈련]]에 들어간 [[훈련병]]들은 볼 일이 없다만 부대에 따라서는 훈육조교를 구대장이라 하는 곳도 있다. 일반 부대에 가면 [[소대]]-[[분대]] 편성이 되기 때문에 구대란 말을 들을 일이 없다. [[한국광복군]]의 경우에는 [[중대(군대)|중대]]에 상당하는 [[지대]] 밑에 구대를 편성했다. 3개 구대가 1개 지대를 형성했다. 각 교육기관마다 구대는 천차만별이다. == 구대장 == [[파일:external/img.lifestyler.co.kr/4INSYEBY9EVTRRJJODM5.jpg|width=300]] [[지휘자(군사)|지휘자]]는 구대장이라고 한다.[* [[지휘관]]은 [[중대(군대)|중대]] 이상의 지휘 담당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그리고 실제 구대장의 업무는 [[조교(군대)|조교]]에 가깝다. 어찌됐든 지휘담당이라 [[지휘자 견장]]을 패용한다. 중대장도 통틀어서 그냥 구대장이라 부르는 경우도 많지만 보통 구대장은 자신이 담당하는 교육생에 따라 신분이 달라진다. || || 병 || 부사관 || 장교 || || 담당 교육생 || 이등병 || 하사 || 소위 || || 구대장 || 병장 || 중사 || 대위(진) || === 실존인물 === * [[노태우]] [[중위]] 시절 [[육군보병학교]] 구대장이었다. 육사 12기 위주로 담당했다. [[분류:군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