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황야의 땅 결투)] [include(틀:죽음의 기사(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 || '''한글명''' || 구덩이 두목 레스카 ||<-4><|9> [[파일:구덩이 두목 레스카.png|width=200]] || || '''영문명''' || Reska, the Pit Boss || || '''카드 세트''' || 황야의 땅 결투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종족''' || 언데드 || || '''[[|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룬''' ||<-5>[[파일:냉기룬.png|width=40]][[파일:부정룬.png|width=40]] || || '''비용''' || 20 || '''공격력''' || 6 || '''생명력''' || 3 || || '''효과''' ||<-5>'''속공''', 이번 게임에서 죽은 하수인 하나당 비용이 (1) 감소합니다.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적 하수인을 가져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핏빛바위 광산의 감독관인 레스카는 뼈가 빠지도록 일을 시킵니다. 그 후에는 뼈를 되살려서, 뼈가 또 빠지도록 일을 시킵니다.[br]''(Overseer of the Bloodrock Mine, Reska will work you to the bone. They'll then reanimate your bones and work THOSE bones to the bone.)'' || >소환: ''()'' >공격: ''()'' == 상세 == [[하스스톤]] 확장팩 [[황야의 땅 결투]]의 죽음의 기사 전설. [[하스스톤 오리지널 캐릭터]]다. 죽음의 메아리로 [[실바나스 윈드러너(하스스톤)|실바나스]]의 효과를 갖고 있으며, 생명력이 낮고 속공이 붙어 있어 효과를 발동하기는 쉽다. 그러나 20이나 되는 코스트에 이번 게임에서 많은 하수인을 죽이거나 죽도록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평가 == === 출시 전 ===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일단 1부정-1냉기는 바로 지난 확장팩에서 [[역병(하스스톤)|역병]] 컨셉을 밀기 위해 사용했으나 결국 좋은 소리를 못 듣고 냉기 룬을 삭제당하는 엔딩으로 끝났던 룬 조합이었는데, 이번 확장팩에서 또 다시 이 카드가 1부1냉을 들고 왔다. 게다가 룬을 제하고 봐도 카드의 스펙은 좋지만 20코스트라는 높디높은 코스트 탓에 하수인을 15마리 정도는 죽고 죽여야 실바나스급 카드가 되는데, 과연 얼마만큼이나 빠르게 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지도 회의적인 시선이 있다. 이번 확장팩에서 죽음의 기사는 토큰을 대량 소환하거나 시체를 대량 소모하는 카드들을 많이, 그것도 1부1냉 뿐 아니라 1부1혈로도 받아간 것을 보면, 이 카드는 [[절정의 괴저 폭발]] 당시 밀어주었던 무지개 죽기를 또 다시 미는 느낌도 든다. 하지만 괴저 폭발 자체가 쓰레기 카드 취급을 받고 있기에 1룬 카드와 혼성 룬 카드가 뭉친 덱이 얼마나 큰 영향을 발휘할지가 관건이다. 이번 확팩의 기본 컨셉 중 하나인 [[발굴(하스스톤)|발굴]]은 죽기에게는 냉기 1룬으로 배정되었는데 이것과도 관련이 있다. 이 카드 효과 자체는 발굴과 관련이 없지만, 죽음의 기사의 전용 4단계 보물은 비용이 가장 높은 하수인에 환생을 걸어 부활시키는 발굴 전설 "아제라이트 쥐"로 이 카드가 20코스트나 되는 것은 아제라이트 쥐로 확정 부활시켜서 효과를 쓰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사실상,어떻게든 다속성룬 죽기덱을 쓰게만들려는 블자의 시도라고 할수있다. 그러나 덱 자체에 피니셔 즉발 딜이 부족하다는 1부1냉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지가 문제다. === 출시 후 === == 기타 == 이름의 '구덩이 두목'은 오역으로, Pit Boss는 '(광산, 채석장 등의) 현장 감독'이라는 뜻이다. [[분류:하스스톤/카드/언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