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九老디지털團地 / Guro Digital Complex(Wonkwang Digital Univ.) }}} ||<-3> '''{{{+2 구로디지털단지}}}(원광디지털대) || ||<-3>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30]] || || [[서울 지하철 2호선|{{{#!html
외선순환}}}]][[신대방역|신대방]][br]← 1.1 ㎞ || [[서울 지하철 2호선|{{{#!html
2호선
(232)
}}}]] || [[서울 지하철 2호선|{{{#!html
내선순환}}}]][[대림역|대 림]][br]1.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 --[[여의도역|{{{#!html
여의도 방면}}}]][[대림삼거리역|대림삼거리]]--[br]← 0.9 ㎞ || [[신안산선|{{{#!html
신안산선}}}]]{{{#ffffff (미개통)}}} ||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html한양대에리카캠퍼스 }}}]][[송산역(화성)|{{{#!html· 송산}}}]] {{{#!html방면}}}[br][[신독산역|신독산]]--[br]1.7 ㎞ → || || --[[여의도역|{{{#!html
여의도 방면}}}]][[신풍역|신 풍]]--[br]← 2.1 ㎞ || [[신안산선|{{{#!html
신안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급행'''}}}}}}]][br]{{{#ffffff (미개통)}}} ||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wiki style="letter-spacing: -1px" {{{-4 {{{#585858,#a7a7a7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석수역|석 수]]--[br]4.4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구로디지털단지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uro Digital Complex (Wonkwang Digital Univ.) || || [[한자]] ||<-2> 九老디지털團地 || || [[중국어]] ||<-2> 九老数码园区 || || [[일본어]] ||<-2> [ruby(九老, ruby=クロ)]·デジタル[ruby(団地, ruby=ダンジ)] || ||<-3> '''주소''' || ||<-3>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 ||<-3>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천로]] 477 ([[구로동|구로3동]] 810-3번지) || ||<-3>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 ||<-3>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45]]]] || ||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 1984년 5월 22일 || ||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2> 2024년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folding [ 미개통 노선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여의도역|{{{#!html
여의도 방면}}}]]--[[대림삼거리역|대림삼거리]]--[br]← 0.9 ㎞ || --'''[[신안산선]]'''[br]구로디지털단지--[br]{{{#red (미개통)}}} ||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wiki style="letter-spacing: -1px" {{{-4 {{{#585858,#a7a7a7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신독산역|신독산]]--[br]1.7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32번[* 개정 전 32번],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천로]] 477 ([[구로동|구로3동]] 810-3번지) 위치. [[신안산선]] 미정,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번지에 위치할 예정인 신안산선 정차역이다. == 역 정보 == || [[파일:구로디지털단지역 안내도.jpg|width=100%]] || || 역 안내도 || 병기역명은 '''원광디지털대'''로, 인근에 [[원광디지털대학교]]가 있어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의거해 붙여졌다. 2호선 관악~구로권 3개 지상역 중 하나로, [[신대방역]]부터 이 역을 거쳐 [[대림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출구가 [[구로구]] 구로 3동과 [[영등포구]] 대림 2동에 걸쳐 있으며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금천구]] 등 '''서남권 5개 구의 접경 지역'''에 위치해 있어[* 사실 금천구의 경계는 앞서 언급한 구들과 달리 2호선에 직접 맞닿아 있지는 않다. 1975년 이전에는 관악구에 해당하는 부분이 독산동 지역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조원동 지역 중 조원중앙로 서측 전역과 동측 일부 지역이다. 즉, 행정구역 조정 없이 분구되었으면 금천구 영역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었다는 말이다.], 서울 서남권(+경기도 연접 지역) 교통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역이다. ||[[파일:구로디지털단지역_신안산선.jpg|width=100%]]||[[파일:신안산선 구로디지털단지역.png|width=100%]]|| ||<-2> 신안산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조감도 || 향후 [[신안산선]]과의 [[환승]]이 예정되어 있다. 신안산선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674번지 일원에 위치할 예정이다. 지하 2층의 역사로 지어지며, [[상대식 승강장|2홈 2선식의 상대식 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역 출구가 생긴다면 길 건너 관악구에도 출구가 생길 듯하다. 2호선 승강장이 지상 3층이라 [[막장환승]] 목록에 이름을 올리게 생겼다. 2호선 역 중에서 대림역과 더불어 자갈 선로가 되어 있는 둘 뿐인 역이다. 나머지, 특히 동부 지상구간 역들도 콘크리트 선로로 되어 있다. 또 과거에는 [[화장실]]이 4개나 있었다[* 남자화장실 1개, 여자화장실 3개.]. 그것도 계단을 올라가야 화장실이 나오는 구조였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부터 서울 지하철이 대대적으로 화장실 공사에 들어갔는데, 공사가 완료된 현재는 공평하게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한 개씩 있는 구조로 변경되었다.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1호선 인근 지역을 갈 때는, [[인천역]] 방향인 경우라면 그냥 [[신도림역]]에서 갈아 타는 게 낫지만, [[서동탄역]], [[신창역]] 방향이나 [[소요산역]] 방향으로 가야 할 때는 신도림역에서 갈아타는 것보다 [[#s-6.3.1|중앙버스전용차로 상행 정류장]]이나 [[#s-6.3.2|하행 정류장]]에서 [[서울 버스 150|150번]], [[서울 버스 5531|5531번]]을 타는 것이 좋다. 북쪽 방향인 경우 상행 정류장에서 150번, 5531번을 타고 가서 [[대방역]]에서 1호선을 이용하면 되고, 남쪽 방향인 경우 하행 정류장에서 안양권으로 가는 버스중 하나를 타고[* 150번은 시흥대교가 회차지점이라 시흥사거리 이남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5531번이나 51번이 안 와서 150번을 탔다면 '[[금천구청]], 금천경찰서'에서 내려서 신호를 건너 소위 금천구청길(시흥대로73길)로 들어가자마자 '무지개아파트'(18508)이 있는데 마을버스 노선이 '''3분'''의 배차간격을 자랑하는 01번을 필두로, 01-1번, 06번, 07번으로 4개나 돼서(04번은 제외. 롯데캐슬 골드파크 아파트 쪽으로 다소 우회한다) 배차간격이라는 게 없는 수준이라 오는 거 아무거나 타고 300m 정도 거리의 한 정거장만 가면 구청 및 역 앞이고 거기서 1호선을 타면 된다.] 관악역, 석수역 등 경부선과 도로가 붙어 있는 곳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출퇴근시간이나 경부선 급행을 이용할거면 신도림역으로 가는게 낫다. === 과거 (구로공단역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공단역.jpg|width=100%]]}}}|| || 구로공단 시절의 모습(2001년 3월에 촬영) || 건설 계획 당시 역명은 '공단입구'였으나 개통할 때는 '''구로공단역'''(九老工團驛, Gurogongdan Stn.)으로 개업했고, 2004년 10월 1일 지역 이미지 개선을 이유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개칭했다. 사실 주변의 공장들은 한참 전에 해외나 타 지역으로 이전했고 2000년대 초부터 높은 오피스 빌딩이 들어서고 IT 업계가 대규모로 들어서던 중이었다. 개칭이 상당히 늦게 된 셈이다. 구로공단역 시절에는 '''공단역'''이 비공식 약칭이어서[* 일부 버스의 노선 안내에도 공단역으로 줄여 표기하기도 했다.]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의 [[초지역|공단역(현재 초지역)]]과 간혹 혼동이 있었다. 이 역명 변경 조치는 가리봉역이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개칭하는 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역 이름이 너무 길다 보니 "구디", "구털", "구디단" 등으로 줄여 부르는 사람이 많다.[* 지역 주민들은 주로 '구디'라고 더 많이 부른다. 인스타그램 태그 기준 구디가 3만여 개, 구디단이 5천여 개로 압도적으로 차이난다.] 나이가 있는 사람들은 아직 "구로공단역" 으로 부르기도 한다. === 서울 및 수도권 서남부 환승 수요 === 2012년 기준 구로디지털단지역의 승하차 기준 전체 순위는 13위다. 이것도 떨어진 순위이고, 보통 10위 ~ 11위에서 논다. [[환승역]]이 아닌 역으로서는 [[신림역]](6위),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8위) 다음으로 무려 세 번째에 해당하는 승하차량을 자랑한다. 상술했다시피 4개 자치구의 접점에 위치한 역이지만 실질적으로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역은 이 4개구 주민이 아닌 [[금천구]] 지역 주민이라는 말도 있다. 실제로 금천구를 관통하는 [[경부선]]이 원체 구석으로 치우친데다 경부선과 주거지역 사이에 떡 하니 위치한 군 부대와 공장부지[* 구 도하부대 터 한정으로 [[롯데캐슬]] 아파트단지로 개발되어 경부선 접근성이 한결 나아졌고 현재도 하나하나 개선되고 있는 중이다.]로 인해 접근이 어려웠었던 반면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와 [[독산로]]가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뻗어 있어 많은 금천구 주민이 접근성이 좋은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경부선 접근성이 개선된 현재까지도 강남으로의 접근성에 있어서는 버스를 타고 올라와서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경부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여전히 많이 이용하고 있다.[* 경부선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 신도림역까지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야 하는 데 선형 자체도 비효율적인데다, [[가산디지털단지역]]-[[구로역]]사이의 고가교 및 신호대기로 인해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는 다른 편리한 대안이 많고 특히 주소지로 되어 있는 구로구 다른 지역(구로3동 이외 지역)으로 가는 방법은 [[서울 버스 구로09]]가 전부다. 주소상으로는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에 위치해 있는데, 이 시흥대로는 [[광명시]], [[안양시]], [[군포시]] 등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경기도]] 서남 방면의 '''지하철 - 버스 환승장'''의 역할도 하고 있어, 광역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역이기도 하다.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개통 이전의 과거에는 2호선을 이용하려는 광명시 동부지역(철산동, 하안동, 소하동) 사람들이 [[서울 버스 5536|5536번]] 등의 노선버스를 이용해 몰려드는 수준이었다. 이후 7호선이 개통되고 철산동 주민들은 대부분 대림역 환승으로 빠져나갔지만 지하철이 접하지 않아 어차피 버스를 한 번 더 갈아타야 하는 하안동이나 소하동에서는 아직도 여전히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절찬리에 이용하고, 철산동에서도 예를 들어 [[디지털로]] 연선에서는 철산대교와 수출의다리 등의 은근한 직행성에 이끌려 그냥 정체 감수하고 여기로 오는 사람들이 꽤 있다.[* 푸르지오, 래미안, 철산한신, 철산주공12단지 일부 단지의 경우인데 철산역까지 걸어가는 것도 다소 애매하고, 대림역에서 지하-고가의 천국의 계단을 오르는 것도 내키지 않는 것이다.][* 상술된 5536번의 경우 지금도 성애병원, 광명경찰서 등 광명시 주요 지점을 지나가긴 하기 때문에 앉아서 가고 싶다면 고려해볼만 하나 [[만민중앙교회]]와 가산디지털오거리 등의 정체구간을 미리 염두에 둬야 한다.] 퇴근 시간대에 심하면 철산대교를 넘는데까지 과장 안 보태고 정말로 1시간 가까이 소요되는 경우도 많다. 이 역의 [[백미]]는 출근 시 전광판이다. 보통 7시 50분 ~ 8시 20분 전후로 외선순환 전광판을 보면 아래와 같은 충격과 공포의 전철 배차도를 매일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구로디지털단지역/alwayshellgate.jpg|width=100%]]}}} || || 출근 시 전광판 || 위의 사진을 보면 절대 사고 났을 때 모습이 아니다. 아무리 2호선 승하차 시간이 빗자루 배차라고 해도 저런 황당한 장관을 매일 볼 수 있는 것은 이 역 말고는 [[사당역]] 정도인데 사당역도 보통 4대, 많아야 5대지만 6대는 구로디지털단지역 아니면 보기 어렵다. 또한 평소에 2호선이 신규 출발할 때 일반적으로 [[신도림역]]에서 출발하지만 출퇴근시간에는 신도림역의 엄청난 [[헬게이트]] 때문에 추가 전동열차 투입은 [[대림역]]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즉, 기존 외선순환 + 신도림발 + 대림발 출퇴근 열차가 뒤섞이면서 저런 시츄에이션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저 화면에 있는 열차 중 한 대는 신정기지에서 곧바로 출고된 대림역 출발이라 운 좋으면 앉아서 갈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림역 출발도 대림역에서 이미 다 좌석 차서 오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수요가 많아 여러 안내방송이 붙다 보니 그 길이도 엄청 길다. 외선순환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대림역 출발하자마자 교통약자석 관련 안내방송이 나오고 역명도 꽤 길 뿐더러 대림동 및 가산동 등 다양한 국가의 이용자들이 연접된 지역이니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안내방송도 나온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곡선 역이다 보니 승강장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도 나와야 하고, 덧붙여서 마지막에 광고까지 나오면 이미 열차가 도착해서 출입문을 열고 있는 상태이다. 출구가 협소한데 승객 출입량은 많다 보니 2~3번 출입구 확장 공사를 했다. 이를 통해 2~3번 출구가 기존보다 두 배로 확장됐고, [[에스컬레이터]]도 설치했다. 4~5번 출구도 에스컬레이터 설치와 확장공사로 확실히 넓어졌다. 또한 기존에 있던 1, 6번 출구를 하나로 묶어서 6번 출구로 만들고 왼쪽(올라가는 방향)에 계단을 새로 만들어 1번 출구가 되었다. 버스 환승센터와 직통이라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 역 주변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디지털단지역_환승센터.png|width=100%]]}}} || || 구로디지털단지역 2번 출구 바로 앞의 버스 환승 센터 ||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이 역은 서울시 4개 구(800m남쪽 [[남부순환로]] 너머 [[금천구]]를 포함하면 5개)의 경계선에 있다. 지도 기준으로 역사의 12시 방향은 [[영등포구]] [[대림동(서울)|대림동]][* 행정동으로는 대림2동], [[시흥대로]] 너머 2시 방향은 [[동작구]] [[신대방동]][* 행정동으로는 신대방1동], [[도림천]] 아래로 4시방향은 [[관악구]] [[신림동]][* 행정동으로는 조원동], 그리고 역을 포함해 7시 방향 주요 구역은 [[구로구]] [[구로동]][* 행정동으로는 구로3동]이다. 1, 2, 3, 6번 출구가 [[구로디지털단지]] 방향의 출구이다. [[지식산업센터]](오피스) 밀집거리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3번 출구가 가장 빠르며, 1~2번 출구는 구로디지털단지 먹자 골목('''깔깔거리'''), 그리고 버스환승센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로디지털단지 원룸촌으로 향하는 길목이 나온다. 출퇴근 시간 이 방향으로의 유동 인구는 어마어마하다. 관악구, 동작구의 원룸촌, 그리고 디지털단지사거리와 시흥대교쪽은 6번 출구로 나가는 것이 가장 빠르다. [[사람인]]이 이 주변에 있어서 안내 방송은 물론이고 2번 출구 전체에 사람인 광고를 냈다. 4, 5번 출구는 대림동 방향의 주택가로 연결된다. 1번 출구로 나오면 [[헌혈의 집]]이 있다. 인근에서 규모가 꽤 큰 편에 속하며 운영 시간 또한 인근의 [[신도림]]점과 달리 주말, 공휴일에도 운영되고 선택의 폭이 좀 더 많으므로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 주민이라면 참고해두면 좋다. 2022년 3월 16일부로 이전해서 길건너 맞은편 건물로 이전했다. 2번 출구로 나오면 상술한 먹자 골목, 깔깔거리가 있다. 인근에 워낙 회사가 많다 보니 식당뿐 아니라 술집, 노래방 등 유흥시설도 많으며 홍대가 대학생이 많고, 신림이 2,30대 공시생이 많다면, 여기는 어르신들 노는 콜라텍도 더러있고해서 60, 70대 이상 노년층들도 꽤 많이 보인다. 3번 출구로 나와 구로디지털단지 방향으로 도보 기준 10분 정도에 [[이마트]] 구로점이 위치해 있다. 이외에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관악지청]]이 있다. 4번 출구에는 부역명인 [[원광디지털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있다. 5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에 [[BYC]] 본사가 있다. 예전에는 공장의 역할도 겸했는데 생산 시설을 모두 이전하고 현재는 본사 사무실만 남아 있다. 지금은 그 뒤쪽에 있던 직영 매장을 헐어내고 신축 건물을 지어 본사를 그곳으로 이전하고 있으며 이후 본사 부지는 재개발할 예정이다. 6번 출구는 다른 출구들과는 따로 떨어져 시흥대로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조원동이나 신대방동으로 간다면 이쪽이 빠르다. 이 출구 건너편에 1974년에 지어진 강남아파트라는 허름하다 못해 거의 쓰러져가는 아파트가 있었는데 현재는 철거되어 2022년 9월 입주 예정인 힐스테이트 관악 뉴포레가 재건축 중이다. 대림동 방향으로 도보 20분 정도 거리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이 있다. 유동인구가 많긴 하나 [[영화관]]이 없다. 근처에서 그나마 가까운 영화관은 가산디지털단지, 홈플러스 금천점, 신림역, 신도림역 쪽에 있는데 어느 곳을 가더라도 지하철 2정거장 정도의 거리에 있다. 6번 출구 근처에 신축중인 협성휴포레 시그니처에 롯데시네마가 입점한다는 얘기가 있었으나 없었던 얘기가 모양. 역 근처에 비즈니스 호텔인 [[신라스테이]] 구로와 [[롯데시티호텔]] 구로가 있다. 신라스테이는 6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이고 롯데시티호텔은 3번 출구로 나와 이마트 구로점에서 조금 더 아래쪽에 있다. 버스 승강장 주변에 '''풍무[[양꼬치]]'''가 있다. 풍무뀀성은 중국 본토에서 유명한 양고기 요릿집이다. 대림동에서 장사가 잘 돼서 이전해왔다. 양꼬치 말고도 [[훠궈]]를 파는 가게도 있다. 금천구 쪽으로 나가게 되면 슬슬 중국 간판들이 눈에 띈다. 역사 바로 아래에는 [[도림천]]이 흐르고 있는데, 나름대로 휴식 시설을 갖춰 놓았다. 다만 바로 옆의 고가 도로와 하천 위의 철로 때문에 음침한 느낌이 나고 여름에 비가 오고나면 간혹 물비린내도 난다. 컴뱃 밀리터리샵 또한 구로디지털단지역 근처에 있다. 1번 출구에서 3번 출구 사이에 [[사이비 종교]] 포교인들이 매우 자주 출몰하는 편이다. 종류별로 다 있기 때문에 방문을 할 때 조심하는게 좋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fffff '''연도'''}}} ||<|2>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5]]]] || {{{#ffffff {{{-1 '''환승객 수'''}}}}}} ||<|2> {{{#ffffff '''비고'''}}}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width=17]] || ||<^|1><-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21,084명 ||<|16> {{{#fff,#1f2023 20,000명}}} || || || 1995년 || 125,297명 || || || 1996년 || 111,308명 || || || 1997년 || 96,325명 || || || 1998년 || 86,741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 || 2000년 || 87,240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84,507명 || || || 2002년 || 84,897명 || || || 2003년 || 85,552명 || || || 2004년 || 89,174명 || || || 2005년 || 92,866명 || || || 2006년 || 99,837명 || || || 2007년 || 106,679명 || || || 2008년 || 112,045명 || || || 2009년 || 114,197명 || ||}}}}}}}}} || || 2010년 || 117,630명 ||<|6> 자료없음 || || || 2011년 || 122,199명 || || || 2012년 || 124,422명 || || || 2013년 || 125,805명 || || || 2014년 || {{{#00a84d 128,236명}}} || || || 2015년 || 127,824명 || || || 2016년 || 126,914명 || 43,923명 || || || 2017년 || 124,977명 || 43,319명 || || || 2018년 || 124,380명 || 43,095명 || || || 2019년 || 126,035명 || 43,337명 || || || 2020년 || 98,133명 || 자료없음 || || || 2021년 || 96,416명 || 43,276명 ||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앞서 언급했듯 [[금천구]], [[광명시]], [[안양시]], [[시흥시]], [[군포시]] 5권역 일대로 넘어가는 주요 길목 중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이들 지역에서 영등포로 넘어가는 버스들이 예로부터 지나쳤던 곳이며 2004년 지하철-버스 무료환승제도 및 2007년 경기버스-서울버스 환승할인제도가 시행되었을 때 이용객이 크게 늘어난 역이다. 지하철-버스간 환승할인이 되지 않을 땐 일평균 8만 명대 중후반에 머물렀지만 서울버스와 환승이 된 이후에는 9만명대로 다소 증가했으며, 경기버스와 환승이 된 후에는 하루 평균 12만 명으로 수요가 껑충 뛰었다. 같은 노선의 [[잠실역]], [[강남역]], [[사당역]], [[신도림역]], [[당산역]]과 더불어 버스와의 환승할인제도의 수혜를 톡톡히 본 역으로, 현재도 5권역 환승거점의 역할을 하면서 외지인들을 많이 끌어모아 2호선 전체 5위를 거머쥐며 2호선의 주요 역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단일역으로만 계산해도 전국에서 5번째로 이용객이 많다.] * 신안산선이 개통될 경우 버스 ~ 2호선 수요는 줄지만 버스의 수요 원천지가 신안산선이 깔릴 자리에서 오기 때문에 환승 수요는 늘 것이다. 고로 역 내에서의 헬게이트는 확정이다. * 구로구 내 도시철도역 중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단일 노선 기준으로 도시철도의 모든 지상역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다.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는 10만 명대로 무너졌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잠식되면 다시 10만 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디지털단지역1.jpg|width=100%]]}}} || || '''{{{#fff 2호선 승강장 }}}''' || ||<-4> [[신대방역|신대방]] ↑ || || {{{#ffffff 내}}} || ㅣ || ㅣ || {{{#ffffff 외}}} || ||<-4> ↓ [[대림역|대림]] || || {{{#ffffff 외}}} ||<|2>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신림]]·[[사당역|사당]]·[[교대역(서울)|교대]]·[[잠실역|잠실]] 방면|| || {{{#ffffff 내}}} ||[[신도림역|신도림]]·[[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홍대입구역|홍대입구]]·[[시청역(서울)|시청]] 방면|| == 연계 교통 == === [[환승센터]] ===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 1번 승강장(17015) [[서울 버스 5617]] [[서울 버스 5621]] [[서울 버스 5624]] [[서울 버스 5627]] [[서울 버스 6635]] [[서울 버스 금천03]] [[안양 버스 1]] [[안양 버스 51]] [[시흥 버스 5602]]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 2번 승강장(17016) [[서울 버스 5536]] [[서울 버스 5616]] [[서울 버스 금천06]] [[서울 버스 금천07]] 구로디지털단지역 남편 승강장 * 구로디지털단지역(17472·17967) [[서울 버스 구로09]] [[서울 버스 영등포01]] * [[도림천로]]에서 진입하는 두 노선은 도로 구조상 시흥대로 상에 위치한 정류장에 정차하기 어렵기에, 별도의 정류장에 정차한다. 1·2번 출구 앞에 4층 벽돌의 허름한 상가건물이 있는데 그 건물 너머의 깔깔거리 입구 근처에 있다. 구로09번용 정류장이 먼너 나타나며, 구로09용 정류장과 영등포01용 정류장은 서로 60m 정도 떨어져 있다. === 시흥대로 === 구로디지털단지역 중앙차선(시내 방향) * 구로디지털단지역(17013) [[서울 버스 150]] [[서울 버스 505]] [[서울 버스 507]] [[서울 버스 5531]] [[서울 버스 5536]] [[서울 버스 5616]] [[서울 버스 5620]] [[서울 버스 5625]] [[서울 버스 5633]] [[서울 버스 5634]] [[서울 버스 6512]] [[서울 버스 N51]] [[안산 버스 5609]] [[안양 버스 5]] 구로디지털단지역 중앙차선(외곽 방향) * 구로디지털단지역(17014) [[서울 버스 150]] [[서울 버스 505]] [[서울 버스 507]] [[서울 버스 5531]] [[서울 버스 5616]] [[서울 버스 5620]] [[서울 버스 5625]] [[서울 버스 5633]] [[서울 버스 5634]] [[서울 버스 6512]] [[서울 버스 N51]] [[안산 버스 5609]] [[안양 버스 5]] === 신사로 === [[공항버스 6017]] === 조원로 === * 구로디지털단지역(21248) [[서울 버스 5524]] [[안양 버스 20]] == 여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구로디지털단지역/solar.jpg|width=100%]]}}} || || 태양광 설비 || 2013년 말에 역사 지붕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여 역 외부 멀리서 보면 지붕 위에 집광판이 줄줄이 늘어선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반면 역 건물은 [[대림역]]과 같이 낡은 상태에서 크게 못 벗어났고, 바로 옆의 역인 [[신대방역]]은 리모델링이 끝난 깔끔한 상태라 다소 비교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구로구의 도시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신안산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