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울특별시]] 서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 [[구로구]](九老區) 문서로 이동. == [[구로구]], [[금천구]](+ [[대림역]] 일대까지)를 통칭하는 말 == 九老 [[금천구]]가 [[구로구]]에서 분구된 때가 1995년으로 비교적 늦은 시기에 분구가 되었고 구의 면적이나 규모 자체가 많이 작기 때문에 [[금천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꽤나 있다.[* 사실 금천구 자체의 [[존재감]]이 별로 없기도 하다(...).] 그래서 [[금천구]] 주민들은 자기 사는 지역을 말할 때 구로 산다고 많이 말한다. 또한 [[구로구]]와 [[금천구]]의 생활권이 거의 일치하며, '''특히 [[가산동]]은 [[구로구]] 권역 및 6권역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디지털 2. 3단지의 옛 명칭은 구로공단 2단지, 구로공단 3단지였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과거 [[구로디지털단지역]]의 과거 역명인 [[구로공단]] 역이었을 때의 역세권을 구로공단 1단지(現 디지털1단지)뿐만 아니라 가산동의 2, 3단지까지 볼수 있다는 말이다.[* 구로공단 2단지는 現 가산패션타운, 가산동 두산위브 위치(과거 삼립빵 공장), 한마디로 경부선 이동(以東) 지역. 구로공단 3단지는 경부선 이서(以西) 지역이다.] 특히 금천구 중에서 가산동은 다른 [[독산동]] 및 [[시흥동(서울)|시흥동]] 등에 비해 구로 생활권이 매우 짙기에 '''아예 가산동 일대까지 구로동'''이라고 말할 정도다. 서울의 어느 구보다도 구로구와 금천구의 동질성이 매우 짙기 때문에[* 일례로 '''금천구'''에는 자체 [[소방서]]가 없어서 아직도 '''구로'''소방서 관할에 들어간다.], 아예 구로구와 금천구를 묶어 편의상 '''구로'''라고 말한다. '''사실상 구로구와 금천구를 나눠서 생각하는 사고방식이 무의미하다.''' 구로 지역(구로/금천)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는 편견이 있는데, 의외로 정비가 잘 되어 화려한 곳도 있다. [[신도림동]],구로5동, 구로3동[* 디지털1단지 지역 한정.], 가산동 일대가 그러하다. 또한, [[대림동(서울)|대림동]]은 [[영등포구]] 관할이지만, 가산동처럼 생활권은 구로라서 [[대림역]], [[대림동(서울)|대림동]] 일대까지도 구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지하철 역 == 물론 [[수도권 전철 1호선]]에 [[구로역]]이 있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에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사람들은 [[구로]]라고 많이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구로디지털단지역]]이 [[서울 지하철 2호선]] 유동인구 상위 5개 역에 속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과 견줄 만한 번화가가 위치해 있어 사람들은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구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 기타 지명 == *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평남]] [[대동군#s-3|대동군]] 용산면 상구로리(上九老里)·하구로리(下九老里) == Guro == [[고어물]]의 일본식 표현. [[그로테스크]](Grotesque)를 일본어로 읽을 때 앞 두글자인 '구로'가 약어가 된 것으로, 영어권에서는 일본 서브컬처 계통의 고어물 혹은 비실사 [[고어물]]을 Guro 장르라고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비슷한 비실사 고어물이라고 해도 일본풍이 아닌 고어물, 예로 [[모탈 컴뱃 시리즈]]의 [[페이탈리티]] 장면 등은 Guro라고 하지 않는다.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