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구름|기상 현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름)] == 동사 '구르다'의 명사형 == [[구름 저항]]의 구름이 이 뜻이다. == 한국의 작곡가 및 프로듀서 [[구름(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름(가수))] == [[동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름(동요))] == [[티비플]]에서 제공하는 영상 코멘트 기능 == 티비플에서 2008년 부터 제공하는 영상 코멘트 기능이다. 니코동의 코멘트 탄막을 즐겨 보았다면 비슷해서 눈길이 가는 부분. 자세한 내용은 [[티비플]], [[티비플#s-2.1|티비플-구름]] 항목 참조. 그 밖에 [[크리크루]]의 그것도 구름이라고 불린다. 물론 이쪽은 사이트가 망해버려서 더 들을 일이 없지만 말이다. == 운영 체제 [[구름 OS]] == 구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산하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개발한 운영 체제이다. [[구름 OS]] 문서 참조. == 구름(goorm)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IDE, 코딩교육 서비스 == [[http://www.goorm.io|홈페이지]] 스타트업 기업인 구름(goorm)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IDE 서비스이다. 크게 개발을 위한 구름IDE와 교육기관의 코딩 교육을 위한 구름EDU로 나누어져 있다. 현재는 개발중 상태이며, 그 때문에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타 클라우드 IDE서비스에 비해서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가 다양한 게 장점이다.[* 다른 클라우드IDE는 3~4개정도 언어를 지원하지만 구름은 1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 C나 자바, C#등의 메이저 언어는 물론 Go나 아두이노 또한 개발을 지원한다.] 긴 베타기간을 마치고 2017년 4월 19일 정식서비스를 시작해 부분유료화로 전환되었다. 2018년 6월 11일 구름 EDU의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되었는데 일부 데이터베이스가 꼬였는지 회원정보가[* 자신의 아이디로 접속했는데 다른 사람의 프로필이 나타난다든지 말이다.] 뒤섞이는 버그가 발생했다.[* 같은 학교 학생들의 회원정보만 섞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공헌사업의 일원으로 청소년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이자 개발자 동아리인 [[세미콜론(단체)|세미콜론]]도 운영하고 있다. 관심있는 학생들은 참고해봐도 좋을 듯. 세미콜론 이라는 청소년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 구름을 이용해서, 코로나 맵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https://blog.goorm.io/uvirus/|기사참조]] 많은 온라인 컴파일러가 있지만,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협업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구름에 가입을 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많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생성 가능 개수, cpu 성능등..... 하지만, 학생이라면, student 레벨의 7,000원 짜리 요금제를 학생증으로 인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생활코딩의 코딩야학 학습자들의 참여를 응원하는 의미에서 공부 인증을 하면 3개월 무료 사용쿠폰을 제공한다고 한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1688/9408|생활코딩]] == [[구름 블로그|SNS 서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름 블로그)]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에 나오는 [[필살염/속성#s-2.6|'필살염' 속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필살염/속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름, version=151)]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