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소설]][[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애니메이션 템플릿 미반영]] ||<-2> {{{#373a3c '''{{{+1 구름처럼 바람처럼}}}'''[br]雲のように風のように}}}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雲のように風のように.jpg|width=100%]]}}} || || '''{{{#373a3c 감독}}}''' ||[[토리우미 히사유키]] || || '''{{{#373a3c 원작}}}''' ||사카미 켄이치|| || '''{{{#373a3c 각본}}}''' ||미야자키 아키라|| || '''{{{#373a3c 캐릭터 디자인}}}''' ||<|2>[[콘도 카츠야]]|| || '''{{{#373a3c 작화감독}}}''' || || '''{{{#373a3c 원화}}}''' ||[[오오츠카 신지]], 에무라 토요아키(江村豊秋),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카와사키 히로츠구]], 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타나베 오사무]], 츠지 시게히토(辻 繁人), [[이소 미츠오]], [[후타키 마키코]], [[츠루마키 카즈야]] 등 || || '''{{{#373a3c 음악}}}''' ||마루야 하루히코|| || '''{{{#373a3c 제작사}}}''' ||[[요미우리 광고사]], [[닛폰 테레비]] || || '''{{{#373a3c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피에로]] || || '''{{{#373a3c 제작 프로듀서}}}''' ||[[누노카와 유지]] || || '''{{{#373a3c 방송일자}}}''' ||[[1990년]] [[3월 2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미우리 신문사, 미츠이 부동산 판매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1회 일본 판타지 노벨 대상 수상작인 사카미 켄이치의 데뷔작 [후궁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미츠이 부동산 판매 주식회사의 창립 2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실력파 애니메이터가 참여해 기상천외하고도 슬픈 판타지 소설을 담백하게 그려냈다. 방송은 [[닛폰 테레비]] 계열을 통해 이루어 졌다.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감독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콘도 카츠야]]로 너무나도 [[미야자키 하야오]]의 그림체와 흡사하여 심지어는 이게 미야자키 작품이 아니란 걸 알고 충격받는 사람도 종종있다. 실제로도 콘도 카츠야 이외에도 지브리 애니메이터가 다수 참가했다. 사실 지브리와 관계가 깊은 닛폰 테레비에서 지브리에 하청을 준 거라고 한다. 국내에서는 [[1997년]], [[투니버스]]를 통해 그 애니메이션판이 소개되었고 DVD가 정발된 적이 있다. 성우진은 [[박소현(성우)|박소현]], [[김승준]], [[김기현(성우)|김기현]], [[최문자]], [[이계윤]], [[설영범]] 외. 자세한 성우진은 등장인물 탭 참조. 스토리상 극반전이 눈에 띄는 작품으로 가슴 훈훈한 드라마성 작품이다. 그리고 원작의 제목이 후궁소설인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소건국이라는 가상의 왕국에서 '공짜로 배우고 삼시 세끼 식사와 낮잠을 즐길 수 있다'는 이유로 14세에 [[후궁]]을 자청해서 들어가, 이윽고 마지막 [[왕비]]가 되는 천진난만한 [[깅가]]라는 소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인간드라마와 한 왕국의 흥망을 다룬 판타지 작품이다. 언뜻 보아서는 [[중국]]을 연상케 하는 배경과 의상이 눈길을 끄는데 그것은 원작자가 중국철학을 전공했으며 다수의 중국과 관련된 소설을 발표해온 탓도 있지만, 독자들로 하여금 이 가상의 세계를 중국으로 착각하게 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고 한다. 잘 만든 작품이지만 꽤나 마이너한 애니메이션이다. 토리우미 히사유키 감독의 제자 [[오시이 마모루]]는 "명작입니다. 꼭 보십시오." 라고 하기도 했다. [[2021년]] [[1월 20일]] 애니메이션판의 30주년을 맞아 HD [[리마스터]]되어 블루레이로 발매되었다. [youtube(tGaYkMqKtZE)] === 등장인물 === 신황제측 * [[깅가]](銀河)(은하) - 본 작품의 주인공 * 코륜(혜승) - 성우 : 이치카와 에미야 / [[김승준]] 룸메이트 * 타뮨(옥천) - 성우 : 타카하타 아츠코 / [[최문자]] * 코유(홍엽) - 성우 : [[이노우에 요우]] / [[양정화]] * 세샤민(세명) - 성우 : 아사미 요코 / [[이지영(성우)]] 금 후비측 * 금서태후(금 후비) - 성우 : [[타니 이쿠코]] / [[이계윤]] * 세이토노(서두대신) - 성우 : [[정승욱]] * 키쿄(국흉) - 성우 : [[미츠야 유지]] / [[김승준]] 궁궐 사람들 * 세토 카쿠토(세현) - 성우 : 타무라 킨토 / [[서문석]] * 마노 - 성우 : [[키타무라 코이치]] / [[최재익(성우)]] * 이노(이황관) - 성우 : [[아키모토 요스케]] 반란군 * 콘톤(둔보) - 성우 : [[코바야시 아키지]] / [[김기현(성우)]] * 헤이쇼(평치) - 성우 : [[후쿠다 노부아키]] / [[이우신]] 나레이션 - 성우 : [[설영범]] == 주제가 == 「雲のように風のように」 - 佐野量子 「구름처럼 바람처럼」- 사노 양자 * 작사 - 마나 안즈키 * 작곡 - 쿠시자키 테츠로 * 편곡 - 야마가와 에즈코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3%80%8C%E9%9B%B2%E3%81%AE%E3%82%88%E3%81%86%E3%81%AB%E9%A2%A8%E3%81%AE%E3%82%88%E3%81%86%E3%81%AB%E3%80%8D+%E4%BD%90%E9%87%8E%E9%87%8F%E5%AD%90|♪]] [youtube(kcGEZtouvx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