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구만(DSOD) 2.png|width=300]] >'''한국판 소개''' >----- >도미노 고등학교에 다니는 소문난 악당. 리더인 [[구만(유희왕 듀얼링크스)|구만]]을 필두로 하여 집단으로 약한 사람을 괴롭히거나, 그 모습을 촬영하여 인터넷에 올리는 비열한 행위를 반복하고 있었다. [목차] == 개요 == [youtube(ZRA2IPzu3yw,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박요한(성우)|박요한]] * '''일본판 성우''' : [[켄도 코바야시]]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자신 카드의 효과로 상대 카드를 총 300장 제외 시 등장[* 전용덱을 짜지 않는 이상 상당히 힘들 것이다.][* 현재 게임이 묘지 효과가 많아서 제외 메타가 오고있어 [[인과절단]], [[코즈믹 싸이크론]]같은 범용 제외카드를 한 장 정도는 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듀얼 계속 하다보니 조건이 충족 되는 경우도 있다.] * '''캐릭터 해금 미션''' : 게이트 출현 조건을 달성한 직후부터 진행 가능 ||
{{{#white '''미션1'''}}} ||구만을 상대로 빠른 승리를 1번 달성하세요. || || {{{#white '''미션2'''}}} ||구만을 상대로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이하인 상태로 3번 승리하세요. || || {{{#white '''미션3'''}}} ||구만을 상대로 의식 소환을 3번 성공하세요.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442478|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youtube(pWiizlRiPmY,start=66,width=480,height=270)]||[youtube(kV8pK19swZ4,start=66,width=480,height=270)]||[youtube(kV8pK19swZ4,width=480,height=270)]|| || {{{+1 '''{{{#white 한국어}}}'''}}} || {{{+1 '''{{{#white 일본어}}}'''}}} || {{{+1 '''{{{#white 영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956458|음성이 존재하는 카드]] * '''몬스터''' : '''[[험프티 댄디]]''', [[아바키]], [[D-보이즈]] * '''마법''' : [[악몽의 고문실]] * '''함정''' : ##미출시 카드들도 NPC, 스킬전용 등의 항목으로 따로 나누지 말고 몬스터/마함/함정 항목에 맞춰 기입해주세요. 업데이트 될때마다 수정하는것도 번거롭고, 다른 캐릭터들도 굳이 나눠져있지 않습니다.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5> {{{+2 '''{{{#white 메인 덱}}}'''}}} || || N 불은 검의 라이문도스[br]x2 || N 마인 테라[br]x3 || N 마운틴 워리어[br]x3 || N 먹이를 찾는 도마뱀[br]x3 || N 미숙한 악마[br]x3 || || N 대포 오뚜기[br]x3 || N 바비론[br]x3 || || || || ||<-5>||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5>|| == 레벨 업 보상 == ||
{{{#white '''1'''}}} || 아이콘: 구만 ||<|15>|| {{{#white '''16'''}}} || N [[마인 골렘]] ||<|15>|| {{{#white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white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white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white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48|마검 남작]] || {{{#white '''18'''}}}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48|마검 남작]] || {{{#white '''33'''}}} || SR [[폭군의 위압]] || || {{{#white '''4'''}}}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어택 차지''' || {{{#white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white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카드 슬리브: 구만 || {{{#white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라이프 차지''' || {{{#white '''35'''}}} || UR [[제왕(유희왕)#s-7.3|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 {{{#white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white '''21'''}}} || R [[배틀 풋볼러]] ||<|10>||<|10>|| || {{{#white '''7'''}}} || R [[배틀 풋볼러]] || {{{#white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white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white '''23'''}}} || SR [[폭군의 위압]] || || {{{#white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 || {{{#white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 {{{#white '''10'''}}} || N [[마인 골렘]][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white '''25'''}}} || N [[마인 골렘]] || || {{{#white '''11'''}}}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48|마검 남작]] || {{{#white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 {{{#white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게임 매트: 구만 || {{{#white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white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이번 테마는...... 「아픔」이다!!''' || {{{#white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14'''}}} || R [[배틀 풋볼러]] || {{{#white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아이콘: 구만(Ver.2) || {{{#white '''30'''}}} || SR [[폭군의 위압]] || == 스킬 == ||<-2>
{{{+2 '''{{{#white 스킬}}}'''}}} || ||<-2>||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어택 차지'''[br]① :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해당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현재 턴 수*1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4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이번 테마는...... 「아픔」 이다!!'''[br]이 스킬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이하일 경우에는 발동되지 않습니다.[br][br]① : 자신이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마다 발동됩니다.[br]상대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 감소합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라이프 차지'''[br]① :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gray 현재 턴 수*200}}}] 만큼 증가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20 달성|| ||<-2>||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너 정말 귀여운데......'''[br]이 스킬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이하일 경우에는 발동되지 않습니다.[br][br]① :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발동됩니다.[br]상대의 라이프 포인트가 50 감소합니다.||랜덤 드랍|| ||<-2>||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리로드'''[br]① : 듀얼 시작 후 5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를 전부 덱으로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되돌린 매수만큼 덱에서 카드를 드로우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α'''[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β'''[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1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γ'''[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2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δ'''[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3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3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Ω'''[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50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4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저레벨'''[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패스'''[br]① :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300 증가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총 3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레벨 감소'''[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3000 이하이고,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으며,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상대에게 공개한 뒤,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의 레벨은 패에서 공개한 몬스터의 레벨만큼 추가로 낮아집니다.[*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 레벨에 공개한 패의 몬스터 레벨을 뺀다는 의미. 즉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해당 몬스터 레벨은 '''"자신의 레벨 - 패의 몬스터 레벨"'''이 된다.](최소 1) [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2>|| == CPU == [[파일:구만유희왕듀얼링크스40.jp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5> {{{+2 '''{{{#white 메인 덱}}}'''}}} || ||<:> [[아바키]][br]x3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48|마검 남작]][br]x3 ||<:> [[캐논 솔저]][br]x3 ||<:> [[마인 골렘]][br]x2 ||<:> [[검은 펜던트]][br]x1 || ||<:>[[악몽의 고문실]][br]x2 ||<:>[[화형]][br]x2 ||<:>[[파이어볼]][br]x2 ||<:>[[썬더 크래시]][br]x1 ||<:>[[폭군의 위압]][br]x1 || ||<-5>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5>||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폭군의 위압#s-4|폭군의 폭력]] || SR [[소울 타이거]] || SR [[이비#s-3|이비]] || SR [[이차원의 야수#s-2|이차원 트레이너]]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6|건 록]] ||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s-10|크러시맨]]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s-28|스파이크 헤드]] || N [[게이트(유희왕)#s-2.2|헬게이트 디그]]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s-10|터틀 너구리]] || || == 평가 == 원작인 극장판에서부터 지나가는 엑스트라 정도의 비중이었는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풀려서 뜬금 없다는 의견이 많다. DM쪽도 엑스트라가 많지만 그들은 듀얼을 1번이라도 했는데 이쪽은 듀얼은커녕 비중도 완전히 지나가던 단역 수준이다. 그래서인지 혼자서만 다른 듀얼리스트들에게는 있는 원작에서의 모습 관련 문서가 없다... 해금 조건의 난이도에 비해 스킬의 활용성이 없는 수준이다. 매 턴마다 라이프를 50 깎거나, 전투 데미지를 줄때 50 추가데미지를 주는 전용 스킬이 있지만 실전 활용성이 낮아 예능덱에서나 쓰이고 있다.[* 현재는 100으로 상향되나 애초에 이 캐릭터는 쓰지도 않아서 의미는 없다.] 그래도 굳이 구만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나마 무난한 "LP 부스트 α"를 채용하는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파밍 카드나 레벨업 보상도 아쉬운데, 파밍 보상인 "[[폭군의 위압#s-4|폭군의 폭력]]", 레벨업 보상인 "[[폭군의 위압]]","[[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정도를 제외하면 쓸만한 카드가 거의 없기 때문에 유저들에겐 사실상 보석 채굴용 광산 취급. == 기타 == 듀얼 링크스 세계에 들어온 방법이 의문이다. 마치 카미에게 당한 이후 정신 차려보니 듀얼 링크스에 접속된 듯한 모습이다. 다른 캐릭터에 비하자면 좀 붕뜨는 감이 있다. DSOD 월드 업데이트 당시 초기 캐릭터였던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는 듀얼 링크스를 만들어낸 자이고, [[모크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는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의 동생이며 같이 관리하는 입장이라서 이 월드에 있다. 후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세라(유희왕 듀얼링크스)|세라]]는 베타 테스터때 "플라나"라는 이름으로 참여했고, [[조이(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는 납치되었으며, [[유희(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는 자의적으로 들어왔었다. [[카미(유희왕 듀얼링크스)|카미]]의 경우 아직은 불명. [[안수진(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안수진]]의 경우도 알 수가 없으나 유희를 따라왔을 경우가 높은 편이다. 반면 구만은 [[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유희]]와 직접적인 관계는 전혀 없고[* 조이 이벤트 당시에 나온 어둠의 유희(DSOD)버전과의 듀얼을 처음으로 하게 될 시 어둠의 유희를 보고 조이랑 같이 다니던 놈이라고 인식하던 걸 보아 말 그대로 얼굴만 아는 사이.], 듀얼 링크스에 대해서도 전혀 모르는데 어떻게 들어왔는지가 의문이다. 이건 원작에서 구만과 같이 나온 패거리들도 마찬가지. [각주]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DS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