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00 '''{{{+1 구모}}}''' (1997)[br]''Gum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모_포스터.jpg|width=100%]]}}} || || '''{{{#FFFF00 장르}}}''' ||[[드라마]]|| || '''{{{#FFFF00 감독 | 각본}}}''' ||하모니 코린|| || '''{{{#FFFF00 제작}}}''' ||캐리 우즈[br]스콧 매콜레이[br]로빈 오하라|| || '''{{{#FFFF00 출연}}}''' ||제이콥 레이놀즈[br]맥 페리치[br]린다 맨즈[br][[클로이 세비니]] 외 || || '''{{{#FFFF00 촬영}}}''' ||장-이브 에스코피에[* [[레오스 카락스]] 감독 초기작에 다수 참여했다.]|| || '''{{{#FFFF00 편집}}}''' ||크리스토퍼 텔레슨|| || '''{{{#FFFF00 미술}}}''' ||데이빗 도엔버그|| || '''{{{#FFFF00 화면비}}}''' ||1.33:1(4:3)^^([[오픈 매트]])^^[br]1.85:1|| || '''{{{#FFFF00 배급}}}'''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인 라인 피쳐스[* [[뉴 라인 시네마]]가 가지고 있던 독립영화 전문 레이블이었다.]|| || '''{{{#FFFF00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7년]] [[10월 27일]]|| || '''{{{#FFFF00 상영 시간}}}''' ||89분|| || '''{{{#FFFF00 수익}}}''' ||11만 6천 달러||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FFF00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5px]]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15.5px]]]] '''17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모_오프닝.jpg|width=100%]]}}} || || {{{#FFFF00 {{{-1 '''오프닝 시퀀스의 한 장면'''}}}}}} || 하모니 코린이 감독 및 각본을 맡은 1997년 미국의 [[컬트]]영화다. 미국 [[오하이오 주]]의 제니아라는 소도시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 초반에 토네이도에 대해 잠시 언급이 되는데, 1974년에 실제로 이 소도시를 [[토네이도]]가 [[https://ohiohistorycentral.org/w/Xenia_Tornado_of_1974|휩쓸고 갔다.]] 이를 배경으로 피폐해진 [[마을]]의 모습과 [[기행]]을 일삼는 등장인물들이 대거 등장한다.[* 등장인물들의 외모가 하나같이 다 예사롭지 않게 생겨서(...) 이 기행이 더욱 돋보이는 [[시너지]]가 일어난다.] 뚜렷한 [[내러티브]] 없이 하나의 스케치 형식으로 등장인물들의 끊임없는 기행을 지켜보기만 하는 연출과, 보기 거북한 등장인물들의 독특한 외모의 효과 덕인지 개봉 당시 흥행에 참패했지만, 후에 컬트영화로 재발굴되며 컬트명작의 반열에 올랐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tY_545-ST8)]}}}|| || {{{#FFFF00 '''▲ 예고편'''}}} || == 시놉시스 == > 토네이도가 휩쓸고 지나간 오하이오의 소도시에서는 혐오와 폭력이 일상이다. 소년들은 동물의 사체를 판매해서 돈을 버는데 > 이어지는 아이들의 일상 너머에게는 자식에 총구를 들이미는 어머니, 딸에게 성폭행을 저지르는 아버지가 있다. > 열광적인 지지와 극단적 혐오를 오가는 반응을 끌어낸 ‘퍽-큐 시네마’로 알려진 작품. > ---- > 출처: [[http://www.dureraum.org/bcc/mcontents/progMovView.do?rbsIdx=60&progCode=20200825001&page=1&contentsCode=20200825009&pageType=1|(재)영화의전당]]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gummo, critic=19, user=6.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gummo, tomato=38, popcorn=73)]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19237, user=6.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gummo, user=3.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K0oy5, user=3.7)] == 사운드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모사운드트랙_앨범커버.jpg|width=100%]]}}} || || {{{#FFFF00 {{{-1 '''앨범 커버'''}}}}}} || 사운드트랙이 존재하는데,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는 여러 뮤지션들이 참여했다. 여러 장르의 메탈 음악들의 비중이 높은데, 그 영화에 그 영화가 아니랄까봐(...) 파격적이고, 과격한 음악들로만 가득 차 있다. == 여담 == * 작품 내의 배경은 미국 [[오하이오 주]]의 제니아라는 소도시지만, 촬영은 [[테네시 주]]의 [[내슈빌]]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모_목욕.jpg|width=100%]]}}} || * 영화를 감상한 사람들이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로든 인상깊은 장면을 뽑으라면 단연 '목욕씬'을 뽑는다. 사진엔 나오지 않지만 욕실의 벽에 [[베이컨]]이 붙어 있는데[* 촬영감독이 후에 [[https://filmslutch.tumblr.com/post/15911224181/jean-yves-escoffiers-reflections-on-gummo|인터뷰]]로 말한 바에 따르면 촬영하는 과정에 따로 붙여놓은 것이 아니라, 배경이 된 집 로케이션의 집주인이 예전부터 붙여놓은 것이라고 한다.(...) 그 외에 부엌에도 먹다 남은 베이컨 조각들을 모아놨다고.], [[베르너 헤어조크]]가 그 베이컨을 발견하곤 뒤집어졌다고 한다.[* 이때의 인상이 마음에 들었는지 하모니 코린의 다음 작품인 [[줄리언 동키보이]]에 출연하게 된다.] *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외모가 단순히 못생긴 것을 넘어 독특하게 생긴 편이다. 하모니 코린도 배우들의 연기력을 보면서 캐스팅하기 보단, 인물이 내뿜는 [[아우라]]를 보면서 [[캐스팅]] 했다고. 그 외에도 촬영지인 [[내슈빌]]을 돌아다니며 그곳에 [[지나가던]] 행인들을 영화에 출연시키기도 하는 등, 즉흥적으로 촬영했다고 한다. * 당시 이 영화가 한국에 알려질 때, 한국의 영화 잡지 '키노'에서 처음으로 '퍽-큐 시네마([[Fuck You]] Cinema)'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 이후로 한국에서 이 영화를 소개할 때마다 이 용어를 언급하지만, 정작 영화가 나온 본토는 물론 그 외의 외국에서도 사용하지 않는다. 이 사실을 안 한 [[시네필]]은 이 용어에 관해 [[https://medium.com/@hyeoh/fuck-you-cinema-is-not-a-joke-in-korea-865fb192543e|고찰하는 글]] 을 쓰기도 했다. [각주] [[분류:1997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1997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