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구미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구미시 갑, top2=구미시 을)] [include(틀:경상북도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구미시|[[파일:구미시 CI.svg|height=25]]]] '''경상북도 구미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국회의원 || 도의원 || 지역 || ||<|4> [[구미시 갑|{{{#ffffff 구미시 갑}}}]] || [[구미시 제1선거구|구미시 1]] ||송정동, 원평동, 형곡1동, 형곡2동 || || [[구미시 제2선거구|구미시 2]] ||도량동, 선주원남동 || || [[구미시 제3선거구|구미시 3]] ||지산동, 공단동, 광평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 || [[구미시 제4선거구|구미시 4]] ||상모사곡동, 임오동 || ||<|4> [[구미시 을|{{{#ffffff 구미시 을}}}]] || [[구미시 제5선거구|구미시 5]] ||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 || [[구미시 제6선거구|구미시 6]] ||산동읍, 해평면, 장천면 || || [[구미시 제7선거구|구미시 7]] ||인동동, 진미동 || || [[구미시 제8선거구|구미시 8]] ||양포동 || === 도의회 === || [[경상북도|[[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width=20px]]]] [[경상북도의회|'''{{{#white 제12대 경상북도의회 구미시 도의원}}}''']]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미시 제1선거구|{{{#ffffff 구미 1}}}]] || [[구미시 제2선거구|{{{#ffffff 구미 2}}}]] || [[구미시 제3선거구|{{{#ffffff 구미 3}}}]] || [[구미시 제4선거구|{{{#ffffff 구미 4}}}]] || || 김용현 || 황두영 || [[허복]] || 김일수 || || [[구미시 제5선거구|{{{#ffffff 구미 5}}}]] || [[구미시 제6선거구|{{{#ffffff 구미 6}}}]] || [[구미시 제7선거구|{{{#ffffff 구미 7}}}]] || [[구미시 제8선거구|{{{#ffffff 구미 8}}}]] || || [[정근수]] || [[윤종호]] || 김창혁 || 백순창 || }}}}}}}}} || === [[지방의회|시의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의회)] [include(틀:구미시의회의 원내 구성)] == 지역 특징 == '''[[박정희]]의 도시'''라는 이 한 마디로 정리된다. 일단 [[박정희]] 대통령이 취임하고 한 [[대한민국/경제|경제]] [[한강의 기적|개발]] 정책에 의해 [[구미시|구미]]에 [[구미국가산업단지|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그래서 구미시에서는 박정희 추모 사업을 하는데, 지나치게 [[박정희]] 추모 사업을 하느라 [[LG디스플레이]] 등 대기업 유치에 실패한 [[남유진]] 전 시장[* [[친박]] 성향과 무능한 시정으로 인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보다 지지율이 더 낮게 나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김관용]] 지사 책임론도 나온다.]에 대한 심판론이 나오면서 결국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장세용]] 시장이 당선되었다.[* [[울산광역시|울산]]과 [[창원시|창원]]도 [[구미시|구미]]와 같이 [[연구원]], 기술직, [[생산직|생산직 노동자]] 비율이 높은데, 구미와 달리 일부 지역에서는 진보정당의 세가 강하다. 만약 구미가 박정희 고향이 아니면 도심 지역에는 [[더불어민주당]]이 강세일 가능성도 높다. 즉 [[IT]] 산업에 종사하는 연구원, 기술직, 생산직이 많은 [[구미시]]에서 [[수원시|수원]], [[성남시|성남]], [[화성시|화성]], [[평택시|평택]], [[용인시|용인]], [[아산시|아산]]와 다르게 보수세가 강한 이유도 이러한 것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 진보세력이 [[구미국가산업단지]]와 그 주변 지역에 자리 잡았더라면 구미가 갑을로 분구된 15대, 17대~20대 총선에서 의석을 노리거나 지선에서 기초의원을 노릴 수 있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 '''[[레닌그라드|박정희그라드]]'''라는 인식이 있지만, 젊은 [[연구원]], 기술직, [[생산직|생산직 노동자]]가 많은 도시라서 대경권에서는 의외로 진보 진영의 세가 강한 지역이기도 하다. 실제로 [[대경권]]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유일하게 당선된 지역이다.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구미시 일원으로 선거구로 잠시 유지해왔다. 하지만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다시 갑, 을 선거구로 나뉘어 2명을 뽑고 있다. 구미시민들은 머지 않아 [[낙동강]]을 경계로 동서로 분구될 기대를 품고 있지만 분구를 위한 인구 50만 명은 현재 추세로는 힘겨워보인다.[* 지방자치법 제3조 3항: 특별시 또는 광역시가 아닌 인구 '''50만 이상'''의 시에는 자치구가 아닌 구를 둘 수 있는데 힘들다.] 역대 총선을 보면 '''민주당계가 단 한 번도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1대 총선]] - [[제2대 국회의원 선거|2대 총선]]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국민당의 [[육홍균]] 후보가 재선 의원을 했고, [[제3대 국회의원 선거|3대 총선]]과 [[제4대 국회의원 선거|4대 총선]]에서 무소속-자유당의 [[김우동]] 의원이 재선을 했지만 당선무효 이후 [[김동석(1903)|김동석]] 후보가 무소속으로 재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이후 김동석 의원이 자유당에 입당했다. [[4.19 혁명]] 이후 [[제5대 국회의원 선거|5대 총선]] 역시 [[민주당(1955년)|민주당]] 열풍에도 무소속 신춘원 후보가 당선되었고, [[제6대 국회의원 선거|6대 총선]], [[제7대 국회의원 선거|7대 총선]], [[제8대 국회의원 선거 |8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김봉환(1921)|김봉환]] 후보가 3선을 하는 등[* 다만 8대 총선에서 선산군-군위군 선거결과를 자세히 보면 누구나 예상치 못한 '''매우 초첩전 양상'''을 보여 하마터면 거의 박정희의 고향에 위치한 선거구도 도로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발생할 수''' 있었다. 민주공화당 [[김봉환(1921)|김봉환]] 50.73% vs 신민당 [[김현규]] 49.26%] 여권 지지가 여전히 강한 데다가 박정희 전 대통령으로 인해 구미시는 보수정당의 제1본진이 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9대 총선]]에서는 중선거구제[* 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로 [[신현확]] 민주공화당 후보와 [[김창환(정치인)|김창환]] 신민당 후보가 당선되고, [[제10대 국회의원 선거|10대 총선]][* 구미시·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에서는 [[신현확]] 민주공화당 후보와 [[김현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제11대 국회의원 선거|11대 총선]][* 구미시·선산군·군위군·칠곡군]에서는 [[박재홍(1941)|박재홍]] 민주정의당 후보와 [[김현규]] 민주한국당 후보가 당선,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2대 총선]]도 마찬가지로 [[박재홍(1941)|박재홍]] [[민주정의당]] 후보와 [[김현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는 등 중선거구제 하에 보수여당은 최소 1석씩을 꾸준히 확보하였다.[* 김현규 당시 무소속 의원은 [[신민당(1967년)|신민당]] 출신으로 당선된 세번의 선거에서 모두 2위로 당선되었다. 12대 총선 이후 [[신한민주당]]을 거쳐 [[통일민주당]]에 입당, 대구로 지역구를 옮긴다.] 소선거구제가 부활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 이후부터 지금까지 보수정당이 한 차례도 양보없이 계속 자치하여 여전히 '''보수 초강세 지역'''임을 드러냈다. 성향은 전형적인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며, 지역구 의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은 2003년 고인이 된 허주 [[김윤환(1932)|김윤환]][* 10, 11, 13~15대, 이 중 구미에서는 13~15대에 당선되었다.]이다. 그 외 [[김성조]], [[김태환(1943)|김태환]] 등의 중진 의원들이 3선을 한 지역구이기도 하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박정희|부친]]의 영향을 이어온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80.34%''' 득표율을 얻어 19.36% 득표율에 그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게 '''압승을 거두었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가 높았지만 도시나 시골 지역에 따라 전체적으로 지지 편차율이 꽤 컸다. 예컨데 구미시 '''옥성면, 해평면에서 박근혜 지지가 91%'''라는 압도적 수치가 나온 반면, 젊은 노동자들이 많은 구미공단 쪽, '''특히 공단2동에는 문재인 지지율이 약 33%(정확히는 32.89%)'''나 될 정도로 야당 지지율이 꽤 높게 나왔다.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1891775&cpage=&mbsW=search&select=sct&opt=1&keyword=%B1%B8%B9%CC%20%B5%E6%C7%A5|#]][* 산동읍, 해평면 일대에는 구미하이테크밸리(구미국가5산업단지)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추진 중이므로 이것이 완공되면 이 지역의 보수세가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곳도 전형적인 [[대경권]] 지역 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박근혜를 열렬히 지지하는 인물과 단체들의 출신지이자 집합소기도 하다. 박근혜 지지자들에 의해 타 정당의 2017년 대선 후보들이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의외로 흥미로운 점은 구미가 공단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존재 때문에 2012년 대선 당시에 30대 이하 인구가 '''47.6%'''나 되어 전국에서 30대 이하 인구 비율이 두 번째로 높은 지역이었다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정당 지지가 강했다는 점이다. 물론 공단쪽 지역만 보자면 30% 가까운 득표가 나오긴 했지만 연령층 비교로 볼땐 결코 높다고 볼 순 없다. 참고로 가장 30대 이하 인구 비율이 높은 곳은 [[경기도]] [[오산시]]인데 이 지역은 예상대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편이다.[* 2020년 기준 연령대로만 놓고 보면, 비영남권이었으면 미래통합당이 선거도 전에 포기했을 지역구이고, [[부울경]] 정도만 되어도 [[부산광역시|부산]], [[울산광역시|울산]], [[창원시|창원]], [[김해시|김해]], [[양산시|양산]], [[거제시|거제]]와 비슷한 선거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청년빨이 있긴 한지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미시의회 선거에서 이미 한 번 파란이 있긴 했었다.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이 전체 23석 중 10석으로 직전의 22석에 비해 크게 몰락했으며, [[친박연합]]이 4석, 무소속이 7석이 되었다. 그보다 더 눈여겨볼만한 점은 [[민주당(2013년)|민주당]] 비례의원이 1석으로 4회에 이어 유지되고 있으며, [[통합진보당]] 출신 비례 당선자와 당시 27세로 최연소 의원이 된 [[김수민(시사평론가)|김수민]] 의원 같은 진보성향 의원이 3명으로 늘어났다는 것이었다.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3/h2011032402345921950.htm|#]] 고작 3석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보수정당 텃밭이나 다름없는 경북 지역 지방의회의 현실을 생각하면, 구미시에서 이건 나름 파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나마 [[대구광역시|대구]], [[포항시|포항]], [[구미시|구미]], [[경산시|경산]]이라서 저 정도인 것이다. 다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김수민 후보가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후보로 나왔으나 153표차로 아깝게 낙선했고, 야당 시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이 지역구 1명, 비례대표 1명씩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구미시 갑, 을 모두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갑 지역의 경우 야권 후보자[* 그것도 [[더불어민주당]] 후보자가 아니라 군소정당인 [[민중연합당]] [[남수정]] 후보자다.]가 '''38%'''의 득표를 얻으며 상상 이상의 선전을 보였다. 이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기반 지역인 구미시에서도 정부의 실정에 대해 실망한 사람들이 꽤 많음을 방증하는 셈이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관외사전투표와 재외투표, 선주·원남동 사전투표, 임오동 사전투표, 인동동 사전투표와 임오동 제5투표소, 인동동 제9, 10 투표소, 공단2동, 진미동과 양포동이 [[문재인]]이 이기는 이변을 일으켰다. 거소·선상투표에서는 안철수가 조금 앞섰다.[* 이 외에도 선주·원남동 제1투표소에서 홍준표 후보가 불과 '''9표차'''로 우세를 보이거나, 양포동 제1투표소에서 문재인 후보가 9표 차이로 이기는 등 다른 투표소에서도 접전을 보이는 지역이 일부 있었다.] 구미 갑 지역은 구미 강서 동 지역으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보수 성향이 강해, 19대 대선의 경우 공단2동과 임오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홍준표가 40%를 넘는 득표율을 올렸으며, 구미 을 지역은 강동 동지역와 읍/면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예상대로 읍/면은 보수성향이 굉장히 강하며, 전 지역이 홍준표 득표율이 절반을 넘겼다. 반면에 강동 동지역은 경북답지 않게 진보성향이 강해 19대 대선 기준으로 문재인 득표수가 홍준표 득표수를 누른다. 결과적으로 홍준표 후보가 40.2%를 득표해 경북 지역 최소 득표율을, 문재인 후보가 25.5%를 득표해 경북 지역 최대 득표율을 올린 지역이 되었다. [[박정희]]의 고향으로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실제로는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공단]]의 영향으로 젊은 층이 많이 유입되면서 경북에서 가장 진보적인 지역이 되어가고 있다. 10월 기준으로 구미에서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이 5000명을 찍었다고 한다. 참고로 [[대경권]]의 더민주 권리당원은 1만 2100여 명으로 구미에 거의 절반의 권리당원이 있는 것이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1652309|#]] [[https://news.v.daum.net/v/20180801030027311?f=m|기사]] '''결국 이런 분위기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엄청난 이변으로 이어지는데,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가 [[자유한국당]] [[이양호(1959)|이양호]] 후보를 꺾고 구미시장에 당선된 것. 여기에 광역의원, 기초의원 비례대표까지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을 앞섰다.''' 도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후보의 득표율이 경상북도 시군 중 가장 높은 시였지만 이철우 당선인의 득표율이 더 높았고, 도의원은 더민주 3명, 자유한국당 3명으로 동률이나, 제2선거구는 자유한국당 무투표 당선이었다. 시의원에서는 더민주 출마자는 모두 당선되었지만, 중선거구제로 3인 선거구이면 1명은 더민주, 나머지 2명은 한국당인 식으로 자유한국당이 구미시의회에서 1당을 차지하였다. 광역의회 비례득표를 기준으로 도내의 구미시의 각 정당별 득표율 순위는 다음과 같다. || 정당(경상북도 득표율) || 구미시 순위(구미시 득표율) || 경상북도 1위(득표율) || 경상북도 23위(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34.06%) || 1위(43.11%) || 구미시(43.11%) || 군위군(21.91%) || || 자유한국당(49.99%) || 23위(41.06%) || 군위군(61.48%) || 구미시(41.06%) || || 바른미래당(8.26%) || 3위(9.09%) || 경산시(10.53%) || 영덕군(4.79%) || || 민주평화당(0.63%) || 21위(0.44%) || 영양군(1.33%) || 포항시(0.43%) || || 정의당(3.89%) || 3위(4.45%) || 포항시(4.89%) || 영덕군(2.21%) || || 민중당(0.96%) || 23위(0.37%) || 봉화군(2.14%) || 구미시(0.37%) || || 대한애국당(1.27%) || 22위(0.87%) || 군위군(2.69%) || 포항시(0.76%) || || 친박연대(0.93%) || 21위(0.61%) || 군위군(2.30%) || 포항시(0.40%) || 세부 지역별로 보자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지역[* 비산동, 공단1동, 공단2동, 진미동, 양포동, 산동읍]과 신시가지가 존재하는 지역[* 상모·사곡동, 임오동, 인동동, 선주·원남동]은 더불어민주당이 우세하며, 농촌[* 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장천면]이나, 원도심[* 송정동, 원평1동, 원평2동, 지산동, 도량동, 형곡1동, 형곡2동, 광평동]은 자유한국당 지지세가 강하다. 하지만, 이는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의 득표만 비교했을 때 이야기고, 범보수(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대한애국당)와 범진보(더불어민주당+정의당)로 보면 결과가 약간 다르다. 구미시 전체 기초의회 비례득표는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을 2.07%p 앞섰지만, 범보수와 범진보로 보면, 범보수가 3.56%p를 앞선다. 기초의회 비례득표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을 앞섰던 선주·원남동(3.16%p), 광평동(1.88%p), 상모·사곡동(5.58%p)에서 범보수가 각각 1.62%p, 4.56%p, 0.53%p 앞선다. 기초의회 비례득표(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정의당, 대한애국당)에서 당별 비교 없이 단순히 하나의 정당의 득표율만 보면, [[더불어민주당]]은 산동면, 공단2동, 진미동, 양포동에서 득표율 50%를 넘겨 강세를 보였다. 공단1동, 상모·사곡동, 임오동, 인동동에서 45%를 넘겼다. 반면,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에서 20%를, 선산읍, 장천면, 지산동에서 25%를 못 넘겼다. [[자유한국당]]은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장천면, 원평2동, 지산동에서 60%를 넘겼으며, 고아읍, 원평1동, 신평2동에서 50%를 넘겼다. 반대로 산동면, 진미동, 양포동에서는 30%를, 공단1동, 공단2동, 상모·사곡동 임오동, 인동동에서 40%를 못 넘겼다. [[바른미래당]]은 보통 8~9% 득표율을 보이는 가운데 산동면, 형곡1동, 양포동에서 10%를 넘겼으며, 옥성면, 도개면에서 5%도 못 넘겼다. [[정의당]]은 보통 3~4% 득표율을 보이는 가운데, 도량동, 인동동, 진미동에서 6%를 넘겼으며,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원평1동에서 3%를 못 넘겼다. [[대한애국당]]은 1%대의 득표율을 보이는 가운데, 도개면, 해평면, 장천면, 지산동, 신평2동에서 2%를 넘겼고, 산동면, 공단2동, 양포동에서 1%를 못 넘겼다. 도의원은 현재 3명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3명은 미래통합당 소속이다. 시의원은 비례대표 2명[* 본래 3명이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1명이 사퇴하였지만, 의원직을 승계할 후순위 인원이 없어 공석이 되었다.]을 포함해 모두 22명으로 구성되어 있며, 현재 미래통합당 12명, 더불어민주당 6명[* 2020년 2월 14일, 2명이 당에서 제명되었다.], 열린민주당 1명[* 제명된 의원 1인 입당], 무소속 3명[* 바른미래당 소속 의원이 탈당하였다.]으로 구성(1명 공석)되어 있다. 그러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는 문재인 정권에 대한 심판 여론이 매우 높아지게 되어 [[미래통합당]]이 예상대로 갑·을 모두 승리하여 표심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 모습으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민주당도 30% 이상 득표를 얻어 선전하였을 뿐아니라 특히 구미시 을은 '''무려 35.69%'''를 받아 경북에서 제일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2년 후,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제대로 압승을 거뒀다. 득표율도 '''70% 육박한 수치를 기록'''하였고, [[이재명]] 후보는 26.74%에 그쳐 완전히 예전처럼 보수 지지층이 압도적으로 복원됐다. 게다가 민주당이 그나마 최근에 유일하게 항상 승리를 거둔 [[산동읍]]마저 윤석열이 낙승하여 걸국 '''전 행정동에서도 싹쓸이'''하였다. 3개월 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에서도 '''도지사, 시장, 지역구 도의원, 도의회 비례대표 선거 모두 이변없이 국민의힘이 완승이었다.''' 특히 도지사 선거에서는 재선 도전한 국민의힘 [[이철우]] 후보에게 '''75.90%''' 몰표를 던져 24.09% 득표에 그친 [[임미애]][* 제20대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출신인 [[김현권]] 전 의원의 아내이다.]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이상으로 압살하였다. 그리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난 선거]] 당시 사상 최초로 민주당 깃발을 꽂은 현 시장인 [[장세용]] 후보도 26%대 득표에 그치며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에게 아예 가볍게 참패를 당했고, 당연히 지역구 8석이 걸린 도의원 선거에서도 [[7회 지선|지난 선거]] 때는 민주당이 3석 얻은 것과 달리 결국 한 석도 얻지 못하여 '''전부 전멸당했다'''. 도지사와 같이 도의회 비례대표 선거도 국민의힘이 '''무려 74.02%'''라는 압도적인 몰표를 받아 고작 22.62%라는 득표에 그친 민주당을 '''트리플 스코어''' 이상으로 박살냈다. 이번 결과는 민주당의 대패로 끝난 건 물론 사실 '''아예 개표 1%가 되기 전부터 떡실신'''당했기 때문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차기 선거]]에서도 공천 확률이 적을 것이다. === 경북에서 가장 높은 민주당 지지세 === 민주당계 정당의 세가 경북에서 가장 강하다. 공업지역으로 젊은 층 유입이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과반을 기록하지 못한 다섯 곳[* 구미, 칠곡, 포항, 경산, 안동] 중 하나로, 경상북도에서 자유한국당이 과반을 기록하지 못하게[* 49.9856%] 만들었다. 범보수계열에 들어가는 바른미래당도 당세가 있으며, 진보계열의 정의당은 어느 정도 득표율을 보였지만 있지만 같은 진보계열의 민주평화당과 민중당은 도내 최하위 순위의 득표율을 보였다. 박정희 생가가 있다지만, 대한애국당과 친박연대 득표율 순위는 매우 낮다.[* 덤으로 박정희의 아내인 [[육영수]]의 생가가 있는 [[옥천군|옥천]]도 같은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국회의원 선거구]] 내에서 [[대전광역시|대전]]의 큰 영향력으로 인한 읍내의 젊은층 유입 등의 영향, 강한 지역주의 성향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도가 제일 높다. [[충청북도]] 전체에서는 아니지만.] 이 표를 보면, 바로 옆에 붙어있는 [[군위군|군위]], [[의성군|의성]]이 가장 보수적이다. 진보보수 대립 기반이 지역기반이 아닌 세대를 기반으로 넘어감에 따라 같은 경상북도 내에서도 평균 연령이 낮은 구미시가 가장 진보적인 색채를 띄고, 평균 연령이 높은 군위가 가장 보수적인 색채를 띄게 된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를 시내 서부[* 송정동, 원평1동, 원평2동, 도량동, 지산동, 선주·원남동, 형곡1동, 형곡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1동, 공단2동, 광평동, 상모·사곡동, 임은·오태동 - 구미 갑], 시내 동부[*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산동면 - 구미 을], 읍면[* 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장천면 - 구미 을]로 나누면 시내 서부에서는 자유한국당이 아슬하게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우위를 보이고, 시내 동부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을, 읍면에서는 자유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을 압도한다. [[더불어민주당|서로]]가 [[자유한국당|서로]]를 압도하는 곳이 모두 구미시 을인데 득표율로 보면 자유한국당이 유리할 것 같지만, 인구에서 시내 동부가 읍면 인구의 2배가 되기에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에 미세한 우위를 보인다. 하지만 구미 갑을 모두 1%p 내외에서 우위가 되기에 양쪽 다 접전을 보이게 된다. 단순하게 말해서 어느 쪽에서도 안심할 수 없는 선거구이다.[* 21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7회 지선에서의 득표율보다 내려갔다만은 미래통합당의 표가 갈릴 경우 안심하기는 어렵다.] 구미 갑, 구미 을만 두고 두 선거구의 표를 합치면 자유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에 약 500표 정도 앞서있어 자유한국당에 유리하게 게리맨더링이 가능하지만, 600표차는 7회 지선의 투표자 수(약 18만명)의 약 0.3%, 전체 유권자 수(약 33만명)의 약 0.2%에 불과하고, 관외-거소 투표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약 5000표차로 우위를 보이기에 의미가 없다. 게다가 딱히 선거구를 재조정할 정도로 인구 차이(약 2만 명)도 안 난다. 억지로 1만 명 내외의 인구 차로 맞추려면 시내 소생활권이 깨진다. 게다가 21대 총선에서 화성시 봉담읍처럼 읍면동을 쪼개버리면 더 이상한 선거구가 생겨버린다. 그러나 21대 총선에서는 구미 갑, 을 모두 예상대로 [[미래통합당]]이 무난하게 승리하면서 지난 지방선거 패배의 아픔을 덜어냈다. 또한, 비례대표에서도 미래한국당 + 국민의당이 59.3%를 얻어 22.9%에 그친 더불어시민당 + 열린민주당을 크게 앞섰다. 이는 보수 진영에서의 문재인 정권에 대한 심판론이 제대로 작용한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20대 대선]]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69.37%의 득표로 압승하였지만 예상대로 70%를 넘기지는 못했다. [[장세용]] 당시 시장도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을 고려하면 재선이 매우 힘들 수 있는 상황이다. 결국 예상대로 [[8회 지선]]에서 도지사, 시장, 광역의회의원, 광역비례대표 등 민주당이 구미에서 국민의힘에게 대패하여 앞날이 어두워졌다. == 역대 선거 결과 == ||<-3> [[구미시|[[파일:구미시 CI.svg|height=25]]]] '''역대 구미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 [[구미시(선거구)|구미시]] || 군위군·선산군 || || [[제13대 국회의원|13대]] || [include(틀:민주정의당)] [[박재홍(1941)|{{{#FFFFFF 박재홍}}}]] {{{#FFFFFF (3선)}}} || [include(틀:민주정의당)] [[김윤환(1932)|{{{#FFFFFF 김윤환}}}]] {{{#FFFFFF (3선)}}} || || [[제14대 국회의원|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박세직|{{{#FFFFFF 박세직}}}]] {{{#FFFFFF (초선)}}} || [include(틀:민주자유당)] [[김윤환(1932)|{{{#FFFFFF 김윤환}}}]] {{{#FFFFFF (4선)}}} || || || [[구미시 갑]] || [[구미시 을]] || || [[제15대 국회의원|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박세직|{{{#FFFFFF 박세직}}}]] {{{#FFFFFF (재선)}}} || [include(틀:신한국당)] [[김윤환(1932)|{{{#FFFFFF 김윤환}}}]] {{{#FFFFFF (5선)}}} || || [[제16대 국회의원|16대]][* 16대에 일시적으로 합구되었다.]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김성조|{{{#FFFFFF 김성조}}}]] {{{#FFFFFF (초선)}}} || || [[제17대 국회의원|17대]] || [include(틀:한나라당)] [[김성조|{{{#FFFFFF 김성조}}}]] {{{#FFFFFF (재선)}}} || [include(틀:한나라당)] [[김태환(1943)|{{{#FFFFFF 김태환}}}]] {{{#FFFFFF (초선)}}} || || [[제18대 국회의원|18대]] || [include(틀:한나라당)] [[김성조|{{{#FFFFFF 김성조}}}]] {{{#FFFFFF (3선)}}} || [include(틀:무소속)] [[김태환(1943)|{{{#FFFFFF 김태환}}}]] {{{#FFFFFF (재선)}}} || || [[제19대 국회의원|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심학봉|{{{#FFFFFF 심학봉}}}]] {{{#FFFFFF (초선)}}}[* 15.12.10. 의원직 사퇴(성폭행 논란),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김태환(1943)|{{{#FFFFFF 김태환}}}]] {{{#FFFFFF (3선)}}} || || [[제20대 국회의원|20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백승주(정치인)|{{{#FFFFFF 백승주}}}]] {{{#FFFFFF (초선)}}}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장석춘|{{{#FFFFFF 장석춘}}}]] {{{#FFFFFF (초선)}}} || || [[제21대 국회의원|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구자근|{{{#FFFFFF 구자근}}}]] {{{#FFFFFF (초선)}}} || [include(틀:미래통합당)] [[김영식(1959)|{{{#FFFFFF 김영식}}}]] {{{#FFFFFF (초선)}}} || ---- {{{#!wiki style="min-width:300px" ||<-5> [[구미시|[[파일:구미시 CI.svg|height=25]]]] '''역대 [[구미시장|{{{#000000,#dddddd 구미시장}}}]]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 [[민주자유당|{{{#ffffff {{{-1 민주자유당}}}}}}]] ||<-2>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2>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3> [[김관용]] ||<-2> [[남유진]]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 [[새누리당|{{{#ffffff {{{-1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1 국민의힘}}}}}}]] || || || || [[남유진]] || [[장세용]] || [[김장호]] ||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김관용]] 35.13%'''[br]2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전병억 33.87%[br]3위: [include(틀:무소속)] 강구휘 15.08%[br]4위: [include(틀:무소속)] 장경환 11.73%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김관용]] 100.00%[*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김관용]] 66.40%'''[br]2위: [include(틀:한국미래연합)] 이강웅 21.80%[br]3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황준영 11.79%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남유진]] 75.89%'''[br]2위: [include(틀:무소속)] 채동익 11.82%[br]3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최근성]] 10.19%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남유진]] 53.09%'''[br]2위: [include(틀:친박연합)] [[김석호(1959)|김석호]] 33.51%[br]3위: [include(틀:무소속)] 구민회 13.39%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남유진]] 52.59%'''[br]2위: [include(틀:무소속)] 이재웅 17.45%[br]3위: [include(틀:무소속)] [[김석호(1959)|김석호]] 15.91%[br]4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구민회 14.02%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장세용]] 40.79%'''[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이양호(1959)|이양호]] 38.69%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국민의힘)] [[김장호]] 70.39%'''[br]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장세용]] 26.91% ||}}}}}}}}} ||}}} === 대통령 선거 === ==== [[제13대 대통령 선거]] ==== ||<-5>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민주정의당)] || [include(틀:통일민주당)] || [include(틀:평화민주당)]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 '''후보''' || [[노태우|{{{#ffffff '''노태우'''}}}]]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000000 '''김대중'''}}}]] || [[김종필|{{{#ffffff '''김종필'''}}}]] || || '''득표수''' || '''50,633''' || 18,329 || 3,782 || 4,664 || || '''득표율''' || '''65.28%''' || 23.63% || 4.87% || 6.01% || || '''순위''' || '''1위''' || 2위 || 4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85,894 || ||<-3> '''투표 수''' ||<-2> 78,800 || ||<-3> '''무효표 수''' ||<-2> 1,245 || ||<-3> '''투표율''' ||<-2> 91.70% || ||<-5> {{{#ffffff {{{+1 '''선산군'''}}}[br]선산군 일원}}} || || '''정당''' || [include(틀:민주정의당)] || [include(틀:통일민주당)] || [include(틀:평화민주당)]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 '''후보''' || [[노태우|{{{#ffffff '''노태우'''}}}]]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000000 '''김대중'''}}}]] || [[김종필|{{{#ffffff '''김종필'''}}}]] || || '''득표수''' || '''30,551''' || 7,222 || 527 || 1,581 || || '''득표율''' || '''76.40%''' || 18.06% || 1.31% || 3.95% || || '''순위''' || '''1위''' || 2위 || 4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44,008 || ||<-3> '''투표 수''' ||<-2> 40,872 || ||<-3> '''무효표 수''' ||<-2> 886 || ||<-3> '''투표율''' ||<-2> 92.94% || ==== [[제14대 대통령 선거]] ==== ||<-5>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민주자유당)]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include(틀:통일국민당)]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 '''후보'''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정주영|{{{#ffffff '''정주영'''}}}]] || [[박찬종|{{{#ffffff '''박찬종'''}}}]] || || '''득표수''' || '''57,955''' || 10,315 || 17,191 || 11,423 || || '''득표율''' || '''58.96%''' || 10.49% || 17.49% || 11.62% || || '''순위''' || '''1위''' || 4위 || 2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22,237 || ||<-3> '''투표 수''' ||<-2> 99,454 || ||<-3> '''무효표 수''' ||<-2> 1,167 || ||<-3> '''투표율''' ||<-2> 81.40% || ||<-5> {{{#ffffff {{{+1 '''선산군'''}}}}}}[br]{{{#ffffff 선산군 일원}}} || || '''정당'''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include(틀: 신정치개혁당)] || || '''후보'''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정주영|{{{#ffffff '''정주영'''}}}]] || [[박찬종|{{{#ffffff '''박찬종'''}}}]] || || '''득표수''' || '''26,252''' || 2,655 || 5,009 || 2,743 || || '''득표율''' || '''70.45%''' || 7.12% || 13.44% || 7.36% || || '''순위''' || '''1위''' || 4위 || 2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45,011 || ||<-3> '''투표 수''' ||<-2> 38,000 || ||<-3> '''무효표 수''' ||<-2> 7,38 || ||<-3> '''투표율''' ||<-2> 84.45% || ==== [[제15대 대통령 선거]] ==== ||<-4> {{{#ffffff {{{+1 '''구미시 갑'''}}}}}}[br]{{{#ffffff 송정동, 형곡1동, 형곡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1동, [br]공단2동, 광평동, 사곡동, 상모동, 임오동,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 국민신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이인제|{{{#ffffff '''이인제'''}}}]] || || '''득표수''' || '''49,479''' || 13,397 || 20,667 || || '''득표율''' || '''57.48%''' || 15.56% || 24.01% || || '''순위''' || '''1위''' || 3위 || 2위 || ||<|4> '''계''' ||<-2> '''선거인 수''' || 109,918 || ||<-2> '''투표 수''' || 87,111 || ||<-2> '''무효표 수''' || 1,043 || ||<-2> '''투표율''' || 79.34% || ||<-4> {{{#ffffff {{{+1 '''구미시 을'''}}}}}}[br]{{{#ffffff 원평1동, 원평2동, 원평3동, 지산동, 도량동, 선주동, 원남동 [br]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 국민신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이인제|{{{#ffffff '''이인제'''}}}]] || || '''득표수''' || '''48,839''' || 11,347 || 16,204 || || '''득표율''' || '''62.29%''' || 14.47% || 20.66% || || '''순위''' || '''1위''' || 3위 || 2위 || ||<|4> '''계''' ||<-2> '''선거인 수''' || 98,759 || ||<-2> '''투표 수''' || 79,842 || ||<-2> '''무효표 수''' || 1,437 || ||<-2> '''투표율''' || 80.85% || ==== [[제16대 대통령 선거]] ==== ||<-4>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노무현|{{{#ffffff '''노무현'''}}}]] || [[권영길|{{{#ffffff '''권영길'''}}}]] || || '''득표수''' || '''113,392''' || 37,058 || 8,988 || || '''득표율''' || '''70.87%''' || 23.16% || 5.61%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234,687 || ||<-2> '''투표 수''' || 161,533 || ||<-2> '''무효표 수''' || 1,533 || ||<-2> '''투표율''' || 68.80% || ==== [[제17대 대통령 선거]] ==== ||<-6>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include(틀:창조한국당)]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정동영|{{{#ffffff '''정동영'''}}}]] || [[이명박|{{{#ffffff '''이명박'''}}}]] || [[권영길|{{{#ffffff '''권영길'''}}}]] || [[문국현|{{{#ffffff '''문국현'''}}}]] || [[이회창|{{{#ffffff '''이회창'''}}}]] || || '''득표수''' || 12,743 || '''114,803''' || 4,386 || 8,233 || 30,175 || || '''득표율''' || 7.42% || '''66.87%''' || 2.55% || 4.79% || 17.57% || || '''순위''' || 3위 || '''1위''' || 5위 || 4위 || 2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280,481 || ||<-3> '''투표 수''' ||<-2> 172,422 || ||<-3> '''무효표 수''' ||<-2> 764 || ||<-3> '''투표율''' ||<-2> 61.22%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197,062''' || 47,485 || || '''득표율''' || '''80.34%''' || 19.36%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312,994 || || '''투표 수''' || 245,844 || || '''무효표 수''' || 584 || || '''투표율''' || 78.55% || ||<:><-5> {{{#FFFFFF '''18대 대선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97,062 [br] (80.34%)'''}}} ||<:> '''47,485 [br] (19.36%)''' ||<:> '''+149,577 [br] (△60.98)''' ||<:> '''78.55%''' || || '''송정동''' ||<:> {{{#c9252b 81.20%}}} ||<:> 18.54% ||<:> △62.66 ||<:> 78.94 || || '''원평1동''' ||<:> {{{#c9252b 87.72%}}} ||<:> 11.96% ||<:> △75.76 ||<:> 65.84 || || '''원평2동''' ||<:> {{{#c9252b 89.87%}}} ||<:> 9.90% ||<:> △79.97 ||<:> 76.32 || || '''지산동''' ||<:> {{{#c9252b 89.25%}}} ||<:> 10.26% ||<:> △78.99 ||<:> 80.83 || || '''도량동''' ||<:> {{{#c9252b 81.83%}}} ||<:> 17.81% ||<:> △63.99 ||<:> 81.14 || || '''선주원남동'''[*A 법정동 봉곡동·부곡동·선기동·수점동·남통동·원평동([[경부선]] 남쪽). [[구미대학교]]가 있는 동네] ||<:> {{{#c9252b 79.22%}}} ||<:> 20.47% ||<:> △58.75 ||<:> 81.96 || || '''형곡1동''' ||<:> {{{#c9252b 81.28%}}} ||<:> 18.39% ||<:> △62.89 ||<:> 82.77 || || '''형곡2동''' ||<:> {{{#c9252b 83.49%}}} ||<:> 16.14% ||<:> △67.35 ||<:> 81.84 || || '''신평1동''' ||<:> {{{#c9252b 80.28%}}} ||<:> 19.19% ||<:> △61.09 ||<:> 77.61 || || '''신평2동''' ||<:> {{{#c9252b 86.03%}}} ||<:> 13.39% ||<:> △72.64 ||<:> 77.07 || || '''비산동'''[*B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c9252b 81.51%}}} ||<:> 18.01% ||<:> △63.50 ||<:> 79.08 || || '''공단1동''' ||<:> {{{#c9252b 78.67%}}} ||<:> 20.94% ||<:> △57.73 ||<:> 78.04 || || '''공단2동'''[*B] ||<:> {{{#c9252b 66.64%[* 박근혜 후보가 경북 전체 읍면동에서 최저 득표율]}}} ||<:> '''32.89%'''[* 문재인 후보가 경북 전체 읍면동에서 최고 득표율] ||<:> '''△33.75''' ||<:> 76.19 || || '''광평동''' ||<:> {{{#c9252b 83.73%}}} ||<:> 15.99% ||<:> △67.74 ||<:> 78.63 || || '''상모상곡동'''[*C 상모동 + 사곡동을 관할하며, [[5.16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 ||<:> {{{#c9252b 81.75%}}} ||<:> 17.88% ||<:> △63.87 ||<:> 77.55 || || '''임오동'''[*D 법정동 '''임'''은동 + '''오'''태동] ||<:> {{{#c9252b 81.62%}}} ||<:> 17.98% ||<:> △63.64 ||<:> 80.22 || || '''인동동'''[*E 법정동 황상동·인의동·구평동·신동] ||<:> {{{#c9252b 76.66%}}} ||<:> 22.96% ||<:> △53.70 ||<:> 73.62 || || '''진미동'''[*F 법정동 '''진'''평동 + 시'''미'''동·임수동. [[구미국가산업단지]] 3단지가 있는 동네] ||<:> {{{#c9252b 68.38%}}} ||<:> 31.16% ||<:> △37.22 ||<:> 63.21 || || '''양포동'''[*G 법정동 '''양'''호동 + 구'''포'''동·거의동·옥계동·금전동. [[구미국가산업단지]] 2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 ||<:> {{{#c9252b 73.74%}}} ||<:> 25.84% ||<:> △47.90 ||<:> 78.70 || || '''선산읍'''[*H 선산군의 중심지였던 곳] ||<:> {{{#c9252b 89.51%}}} ||<:> 9.57% ||<:> △79.94 ||<:> 80.59 || || '''고아읍''' ||<:> {{{#c9252b 84.47%}}} ||<:> 14.98% ||<:> △69.49 ||<:> 83.06 || || '''무을면''' ||<:> {{{#c9252b 90.58%}}} ||<:> 9.37% ||<:> △81.21||<:> '''83.47''' || || '''옥성면''' ||<:> {{{#c9252b '''91.20%'''}}} ||<:> 8.22% ||<:> △'''82.98''' ||<:> 80.47 || || '''도개면''' ||<:> {{{#c9252b 90.03%}}} ||<:> 8.77% ||<:> △81.26 ||<:> 79.23 || || '''해평면''' ||<:> {{{#c9252b 91.13%}}} ||<:> 7.96% ||<:> △83.17 ||<:> 79.74 || || '''산동면'''[*I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및 [[경운대학교]]가 있는 동네] ||<:> {{{#c9252b 88.69%}}} ||<:> 10.29% ||<:> △78.40 ||<:> 78.59 || || '''장천면''' ||<:> {{{#c9252b 89.43%}}} ||<:> 8.81% ||<:> △80.62 ||<:> 79.07 || || '''후보''' ||<:> [[박근혜|{{{#c9252b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c9252b 61.66%}}} ||<:> '''37.36%''' ||<:> △24.30 ||<:> || || '''국내부재자투표''' ||<:> {{{#c9252b '''70.22%'''}}} ||<:> 28.16% ||<:> △42.06 ||<:>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62,573 || '''98,732''' || 41,141 || 25,468 || 16,027 || || '''득표율''' || 25.50% || '''40.24%''' || 16.77% || 10.38% || 6.53%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328,174 || ||<-3> '''투표 수''' ||<-2> 246,638 || ||<-3> '''무효표 수''' ||<-2> 1,336 || ||<-3> '''투표율''' ||<-2> 75.15% || ||<:><-8> {{{#FFFFFF '''19대 대선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62,573 [br] (25.50%)''' ||<:> {{{#FFFFFF '''98,732 [br] (40.24%)'''}}} ||<:> '''41,141 [br] (16.77%)''' ||<:> '''25,468 [br] (10.38%)''' ||<:> '''16,027 [br] (6.53%)''' ||<:> '''-36,159 [br] (▼14.74)''' ||<:> '''75.15%''' || || '''송정동''' ||<:> 22.04% ||<:> {{{#c9151e 46.59%}}} ||<:> 15.56% ||<:> 9.45% ||<:> 5.76% ||<:> ▼24.55 ||<:> 75.59 || || '''원평1동''' ||<:> 19.05% ||<:> {{{#c9151e 54.39%}}} ||<:> 14.08% ||<:> 7.58% ||<:> 4.18% ||<:> ▼35.34 ||<:> 62.19 || || '''원평2동''' ||<:> 18.06% ||<:> {{{#c9151e 52.85%}}} ||<:> 12.82% ||<:> 8.96% ||<:> 6.64% ||<:> ▼34.79 ||<:> 76.48 || || '''지산동''' ||<:> 16.26% ||<:> {{{#C9151E 59.79%}}} ||<:> 12.20% ||<:> 6.83% ||<:> 4.46% ||<:> ▼43.53 ||<:> 79.93 || || '''도량동''' ||<:> 22.62% ||<:> {{{#c9151e 44.45%}}} ||<:> 17.11% ||<:> 9.48% ||<:> 5.78% ||<:> ▼21.83 ||<:> 75.85 || || '''선주원남동'''[*A 법정동 봉곡동·부곡동·선기동·수점동·남통동·원평동([[경부선]] 남쪽). [[구미대학교]]가 있는 동네] ||<:> 26.30% ||<:> {{{#c9151e 39.43%}}} ||<:> 17.50% ||<:> 10.59% ||<:> 5.83% ||<:> ▼13.13 ||<:> 76.48 || || '''형곡1동''' ||<:> 23.43% ||<:> {{{#c9151e 43.23%}}} ||<:> 16.98% ||<:> 10.02% ||<:> 6.05% ||<:> ▼19.80 ||<:> 80.66 || || '''형곡2동''' ||<:> 20.51% ||<:> {{{#c9151e 46.49%}}} ||<:> 16.58% ||<:> 9.67% ||<:> 6.21% ||<:> ▼25.98 ||<:> 75.57 || || '''신평1동''' ||<:> 21.50% ||<:> {{{#c9151e 46.87%}}} ||<:> 15.97% ||<:> 9.28% ||<:> 5.79% ||<:> ▼25.37 ||<:> 75.16 || || '''신평2동''' ||<:> 17.57% ||<:> {{{#C9151E 54.95%}}} ||<:> 13.53% ||<:> 7.81% ||<:> 5.09% ||<:> ▼37.38 ||<:> 71.24 || || '''비산동'''[*B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23.34% ||<:> {{{#C9151E 42.47%}}} ||<:> 16.90% ||<:> 10.61% ||<:> 5.96% ||<:> ▼19.13 ||<:> 74.12 || || '''공단1동''' ||<:> 23.67% ||<:> {{{#c9151e 39.34%}}} ||<:> '''18.28%''' ||<:> 11.02% ||<:> 7.19% ||<:> ▼15.67 ||<:> 77.54 || || '''공단2동'''[*B] ||<:> {{{#004ea2 30.93%}}} ||<:> 30.66% ||<:> 17.97% ||<:> '''12.78%''' ||<:> 7.25% ||<:> △0.27[* 단 '''9표''' 차이였다.] ||<:> 76.78 || || '''광평동''' ||<:> 24.28% ||<:> {{{#c9151e 44.56%}}} ||<:> 16.50% ||<:> 9.41% ||<:> 4.79% ||<:> ▼20.28 ||<:> 75.27 || || '''상모사곡동'''[*C 상모동 + 사곡동을 관할하며, [[5.16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 ||<:> 24.35% ||<:> {{{#c9151e 39.30%}}} ||<:> 17.62% ||<:> 11.08% ||<:> 7.06% ||<:> ▼14.95 ||<:> 71.66 || || '''임오동'''[*D 법정동 '''임'''은동 + '''오'''태동] ||<:> 26.62% ||<:> {{{#C9151E 35.88%}}} ||<:> 18.10% ||<:> 11.89% ||<:> 7.03% ||<:> ▼9.26 ||<:> 73.09 || || '''인동동'''[*E 법정동 황상동·인의동·구평동·신동] ||<:> 28.67% ||<:> {{{#c9151e 35.05%}}} ||<:> 17.33% ||<:> 10.92% ||<:> 7.54% ||<:> ▼6.38 ||<:>66.79 || || '''진미동'''[*F 법정동 '''진'''평동 + 시'''미'''동·임수동. [[구미국가산업단지]] 3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33.30%}}} ||<:> 27.17% ||<:> 16.53% ||<:> 12.74% ||<:> '''9.75%''' ||<:> △6.13 ||<:> 60.88 || || '''양포동'''[*G 법정동 '''양'''호동 + 구'''포'''동·거의동·옥계동·금전동. [[구미국가산업단지]] 2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34.49%'''}}} ||<:> 28.04% ||<:> 18.05% ||<:> 11.37% ||<:> 7.69% ||<:> △'''6.45''' ||<:> 75.64 || || '''선산읍'''[*H 선산군의 중심지였던 곳] ||<:> 13.99% ||<:> {{{#C9151E 62.63%}}} ||<:> 12.36% ||<:> 6.47% ||<:> 3.85% ||<:> ▼48.64 ||<:> 73.48 || || '''고아읍''' ||<:> 18.64% ||<:> {{{#C9151E 51.70%}}} ||<:> 15.46% ||<:> 8.94% ||<:> 4.73% ||<:> ▼33.06 ||<:> 74.19 || || '''무을면''' ||<:> 11.19% ||<:> {{{#C9151E 70.25%}}} ||<:> 10.44% ||<:> 4.47% ||<:> 2.46% ||<:> ▼59.06 ||<:> 74.75 || || '''옥성면''' ||<:> 11.21% ||<:> {{{#c9151e 69.83%}}} ||<:> 10.22% ||<:> 4.37% ||<:> 2.39% ||<:> ▼58.62 ||<:> 75.52 || || '''도개면''' ||<:> 11.07% ||<:> {{{#c9151e 72.21%}}} ||<:> 10.16% ||<:> 3.87% ||<:> 1.77% ||<:> ▼61.14 ||<:> 74.90 || || '''해평면''' ||<:> 9.86% ||<:> {{{#c9151e '''73.11%'''}}} ||<:> 9.19% ||<:> 4.47% ||<:> 2.23% ||<:> ▼'''63.25''' ||<:> 71.76 || || '''산동면'''[*I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및 [[경운대학교]]가 있는 동네] ||<:> 26.29% ||<:> {{{#c9151e 41.70%}}} ||<:> 15.79% ||<:> 10.29% ||<:> 5.35% ||<:> ▼15.41 ||<:> 72.58 || || '''장천면''' ||<:> 12.32% ||<:> {{{#c9151e 66.24%}}} ||<:> 11.86% ||<:> 5.70% ||<:> 3.06% ||<:> ▼53.92 ||<:> 75.72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25.93% ||<:> '''27.71%''' ||<:> {{{#006241 '''29.17%'''}}} ||<:> 9.56% ||<:> 4.54% ||<:> ▼'''1.4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33.63%}}} ||<:> 23.31% ||<:> 19.51% ||<:> '''13.72%''' ||<:> 9.08% ||<:> △10.32 || || || '''재외투표''' ||<:> {{{#004ea2 '''50.90%'''}}} ||<:> 8.56% ||<:> 21.11% ||<:> 8.08% ||<:> '''10.49%''' ||<:> △'''29.79''' ||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67,054 || '''173,950''' || || '''득표율''' || 26.74% || '''69.37%'''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338,810 || || '''투표 수''' || 253,211 || || '''무효표 수''' || 2,468 || || '''투표율''' || 74.75% || ||<:><-5> {{{#FFFFFF '''20대 대선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67,054 [br] (26.74%)''' ||<:> {{{#FFFFFF '''173,950 [br] (69.37%)'''}}} ||<:> '''-106,896 [br] (▼42.63)''' ||<:> '''74.75%''' || ||<-8> '''구 구미시''' || || '''득표율''' || {{{#004EA2 48,696 [br] (27.42%)}}} || {{{#E61E2B '''121,632 [br] (68.64%)'''}}} || - 72,936 [br] (▼41.22) || 178,849 [br] (72.11%) || || '''송정동''' || 24.19% || {{{#E61E2B 72.41%}}} || ▼48.21 || 75.96 || || '''원평동''' || 20.48% || {{{#E61E2B 76.51%}}} || ▼56.03 || 75.29 || || '''지산동''' || 22.25% || {{{#E61E2B 74.32%}}} || ▼52.07 || '''87.32''' || || '''도량동''' || 23.97% || {{{#E61E2B 72.14%}}} || ▼48.17 || 76.37 || || '''선주원남동'''[*A 법정동 봉곡동·부곡동·선기동·수점동·남통동·원평동([[경부선]] 남쪽). [[구미대학교]]가 있는 동네] || 27.93% || {{{#E61E2B 68.87%}}} || ▼40.94 || 72.77 || || '''형곡1동''' || 24.30% || {{{#E61E2B 72.10%}}} || ▼47.80 || 78.82 || || '''형곡2동''' || 22.45% || {{{#E61E2B 74.07%}}} || ▼51.62 || 76.19 || || '''신평1동''' || 22.35% || {{{#E61E2B 74.23%}}} || ▼51.88 || 81.88 || || '''신평2동''' || 22.84% || {{{#E61E2B 73.32%}}} || ▼50.48 || 75.58 || || '''비산동'''[*B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27.53% || {{{#E61E2B 68.34%}}} || ▼40.80 || 74.04 || || '''공단동'''[*B] || 31.64% || {{{#E61E2B 63.11%}}} || ▼31.47 || 78.71 || || '''광평동''' || 26.75% || {{{#E61E2B 69.46%}}} || ▼42.72 || 80.61 || || '''상모사곡동'''[*C 상모동 + 사곡동을 관할하며, [[5.16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 || 27.48% || {{{#E61E2B 68.60%}}} || ▼41.12 || 72.75 || || '''임오동'''[*D 법정동 '''임'''은동 + '''오'''태동] || 28.46% || {{{#E61E2B 67.04%}}} || ▼38.58 || 70.55 || || '''인동동'''[*E 법정동 황상동·인의동·구평동·신동] || 29.73% || {{{#E61E2B 65.78%}}} || ▼36.05 || 64.01 || || '''진미동'''[*F 법정동 '''진'''평동 + 시'''미'''동·임수동. [[구미국가산업단지]] 3단지가 있는 동네] || 30.56% || {{{#E61E2B 64.45%}}} || ▼33.90 || {{{#696969 56.56}}} || || '''양포동'''[*G 법정동 '''양'''호동 + 구'''포'''동·거의동·옥계동·금전동. [[구미국가산업단지]] 2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 || 34.73% || {{{#E61E2B 61.08%}}} || ▼26.35 || 71.94 || ||<-8> '''구 선산군''' || || '''득표율''' || {{{#004EA2 11,594 [br] (22.10%)}}} || {{{#E61E2B '''36,966 [br] (74.66%)'''}}} || - 25,372 [br] (▼52.56) || 50,604 [br] (75.93%) || || '''선산읍'''[*H 선산군의 중심지였던 곳] || 15.91% || {{{#E61E2B 81.23%}}} || ▼65.32 || 76.68 || || '''고아읍''' || 22.34% || {{{#E61E2B 74.51%}}} || ▼52.17 || 74.54 || || '''산동읍'''[*I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및 [[경운대학교]]가 있는 동네] || '''36.10%''' || {{{#FF6347 59.85%}}} || '''▼23.75''' || 74.46 || || '''무을면''' || 14.30% || {{{#E61E2B 83.45%}}} || ▼69.15 || 79.96 || || '''옥성면''' || {{{#696969 12.07%}}} || {{{#E61E2B '''85.37%'''}}} || {{{#696969 '''▼73.30'''}}} || 79.45 || || '''도개면''' || 13.36% || {{{#E61E2B 84.40%}}} || ▼71.04 || 79.45 || || '''해평면''' || 14.17% || {{{#E61E2B 83.34%}}} || ▼69.17 || 78.80 || || '''장천면''' || 17.58% || {{{#E61E2B 79.78%}}} || ▼62.20 || 82.45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22.29% ||<:> {{{#E61E2B 70.75%}}} ||<:> ▼48.46 ||<:> || || '''관외사전투표''' ||<:> 28.71% ||<:> {{{#E61E2B 66.29%}}} ||<:> ▼37.28 ||<:> || || '''재외투표''' ||<:> {{{#004ea2 '''48.94%'''}}} ||<:> 44.16% ||<:> {{{#808080 △'''4.78'''}}}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구미시 갑|{{{#E61E2B '''구미시 갑'''[*J 송정동, 원평동, 지산동, 도량동, 선주원남동, 형곡1동, 형곡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동, 광평동, 상모사곡동, 임오동][*갑 지역구 국회의원: [[구자근]]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25.56% || {{{#FFFFFF 70.74%}}} || ▼45.18 || 75.26 || || [[구미시 을|{{{#E61E2B '''구미시 을'''[*K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선산읍, 고아읍, 산동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장천면][*을 지역구 국회의원: [[김영식(1959)|김영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27.64% || {{{#FFFFFF 68.49%}}} || ▼40.85 || 70.27 || === 국회의원 선거 === ||<-8> {{{#FFFFFF '''21대 총선 구미시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구미시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철호(1954)|{{{#FFFFFF 김철호}}}]] || [[구자근|{{{#FFFFFF '''구자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5,324 [br] (31.58%)''' || {{{#FFFFFF '''73,339 [br] (65.57%)'''}}} || '''-38,015 [br] (▼33.99)''' || '''113,587 [br] (63.92%)''' || || '''송정동''' || 28.21% || {{{#EF426F 68.86%}}} || ▼40.65 || 64.10 || || '''원평1동''' || 25.32% || {{{#EF426F 70.42%}}} || ▼45.10 || {{{#696969 53.23}}} || || '''원평2동''' || 21.60% || {{{#EF426F 75.86%}}} || ▼54.26 || 69.11 || || '''지산동''' || {{{#696969 15.51%}}} || {{{#EF426F '''82.29%'''}}} || {{{#696969 ▼66.78}}} || '''69.58''' || || '''도량동''' || 29.58% || {{{#EF426F 67.61%}}} || ▼38.02 || 62.08 || || '''선주·원남동'''[*A] || 33.33% || {{{#EF426F 64.06%}}} || ▼30.73 || 62.02 || || '''형곡1동''' || 30.32% || {{{#EF426F 67.18%}}} || ▼36.86 || 68.28 || || '''형곡2동''' || 26.66% || {{{#EF426F 70.18%}}} || ▼43.52 || 63.52 || || '''신평1동''' || 27.18% || {{{#EF426F 70.25%}}} || ▼43.07 || 64.61 || || '''신평2동''' || 24.34% || {{{#EF426F 72.76%}}} || ▼48.43 || 59.78 || || '''비산동'''[*B] || 33.34% || {{{#EF426F 64.39%}}} || ▼31.05 || 59.13 || || '''공단1동'''[*B] || 36.01% || {{{#EF426F 61.38%}}} || ▼25.37 || 64.05 || || '''공단2동'''[*B] || '''39.06%''' || {{{#FF7E9D 58.20%}}} || '''▼19.14''' || 60.99 || || '''광평동''' || 29.90% || {{{#EF426F 66.91%}}} || ▼37.01 ||<:> 62.95 || || '''상모·사곡동'''[*C] || 31.87% || {{{#EF426F 65.40%}}} || ▼33.53 || 59.07 || || '''임오동'''[*D] || 34.55% || {{{#EF426F 62.49%}}} || ▼27.94 || 57.68 || || '''후보''' || [[김철호(1954)|{{{#004EA2 김철호}}}]] || [[구자근|{{{#EF426F '''구자근'''}}}]]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6.71% || {{{#EF426F 57.81%}}} || ▼21.09 || || || '''관외사전투표''' || 42.86% || {{{#EF426F 53.57%}}} || ▼10.72 || || || '''재외투표''' || {{{#004EA2 65.21%}}} || 32.60% || △32.61 ||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구미시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현권|{{{#FFFFFF 김현권}}}]] || [[김영식(1959)|{{{#FFFFFF '''김영식'''}}}]] || [[김봉교|{{{#FFFFFF 김봉교}}}]]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4,442 [br] (35.69%)''' || {{{#FFFFFF '''54,457 [br] (56.43%)'''}}} || '''6,768 [br] (7.01%)''' || '''20,015 [br] (▼20.74)''' || '''60.47%''' || ||<-8> '''구 구미시''' || || '''득표율''' || {{{#004EA2 18,025 [br] (41.98%)}}} || {{{#EF426F '''22,708 [br] (52.90%)'''}}} || {{{#808080 1,815 [br] (9.67%)}}} || - 4,683 [br] (▼10.92) || 43,538 [br] (52.78%) || || '''인동동'''[*E] || 38.47% || {{{#EF426F 56.39%}}} || 4.13% || ▼17.92 || 52.46 || || '''진미동'''[*F] || 41.64% || {{{#EF426F 51.99%}}} || 5.31% || ▼10.36 || {{{#696969 42.97}}} || || '''양포동'''[*G] || 45.82% || {{{#EF426F 49.52%}}} || {{{#696969 3.96%}}} || ▼3.70 || 57.59 || ||<-8> '''구 선산군''' || || '''득표율''' || {{{#004EA2 11,954 [br] (27.89%)}}} || {{{#EF426F '''26,278 [br] (62.54%)'''}}} || {{{#808080 4,130 [br] (4.32%)}}} || - 14,324 [br] (▼34.65) || 43,521 [br] (63.43%) || || '''선산읍'''[*H] || 17.31% || {{{#EF426F 70.48%}}} || 11.44% || ▼53.18 || 63.84 || || '''고아읍''' || 25.33% || {{{#EF426F 61.64%}}} || 12.36% || ▼36.31 || 63.42 || || '''산동면'''[*I] || {{{#004EA2 '''50.44%'''}}} || {{{#696969 44.82%}}} || 3.98% || '''△5.62''' || 59.10 || || '''무을면''' || 12.99% || {{{#EF426F 61.76%}}} || '''24.26%''' || ▼48.77 || '''72.49''' || || '''옥성면''' || 13.52% || {{{#EF426F 72.48%}}} || 11.84% || ▼58.96 || 70.15 || || '''도개면''' || {{{#696969 12.64%}}} || {{{#EF426F 76.75%}}} || 9.64% || {{{#696969 ▼64.11}}} || 68.42 || || '''해평면''' || 15.27% || {{{#EF426F '''77.24%'''}}} || 6.26% || ▼61.96 || 66.74 || || '''장천면''' || 19.36% || {{{#EF426F 75.26%}}} || 4.71% || ▼55.90 || 70.82 || || '''후보''' || [[김현권|{{{#004EA2 김현권}}}]] || [[김영식(1959)|{{{#EF426F '''김영식'''}}}]] || [[김봉교|{{{#808080 김봉교}}}]]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3.08% || {{{#EF426F 54.04%}}} || 9.19% || ▼20.96 || || || '''관외사전투표''' || 41.20% || {{{#EF426F 50.17%}}} || 7.56% || ▼8.97 || || || '''재외투표''' || 46.25% || {{{#EF426F 50.00%}}} || 3.75% || ▼3.75 || || ||<-10>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06,241 [br] (52.48%)'''}}} || '''40,091 [br] (19.80%)''' || '''13,415 [br] (6.62%)''' || '''13,767 [br] (6.80%)''' || '''6,334 [br] (3.12%)''' || '''+ 66,150 [br] (△32.68)''' || '''211,813 [br] (62.25%)''' || ||<-8> '''구 구미시''' || || '''득표율''' || {{{#EF426F '''74,123 [br] (52.21%)'''}}} || {{{#006CB7 28,749 [br] (20.25%)}}} || {{{#FFCC00 9,487 [br] (6.68%)}}} || {{{#EA5504 9,905 [br] (6.97%)}}} || {{{#003E98 4,512 [br] (3.17%)}}} || + 45,374 [br] (△31.96) || 148,083 [br] (59.03%) || || '''송정동''' || {{{#EF426F 58.79%}}} || 16.83% || 5.50% || 5.97% || 3.15% || △41.95 || 64.10 || || '''원평1동''' || {{{#EF426F 62.45%}}} || 15.41% || 4.34% || 4.34% || 2.86% || △47.04 || 53.23 || || '''원평2동''' || {{{#EF426F 66.65%}}} || 12.35% || 5.09% || 4.15% || 2.48% || △54.29 || 69.11 || || '''지산동''' || {{{#EF426F 71.34%}}} || 8.64% || 3.47% || 3.47% || 1.83% || △62.70 || 69.58 || || '''도량동''' || {{{#EF426F 56.26%}}} || 17.55% || 6.29% || 6.45% || 2.57% || △38.71 || 62.08 || || '''선주·원남동'''[*A] || {{{#EF426F 52.11%}}} || 19.99% || 6.53% || 7.99% || 3.33% || △32.12 || 62.02 || || '''형곡1동''' || {{{#EF426F 56.01%}}} || 17.77% || 6.42% || 6.84% || 3.12% || △38.25 || 68.29 || || '''형곡2동''' || {{{#EF426F 58.66%}}} || 17.00% || 5.26% || 5.77% || 2.45% || △41.67 || 63.53 || || '''신평1동''' || {{{#EF426F 58.90%}}} || 16.80% || 5.45% || 6.15% || 2.35% || △42.10 || 64.61 || || '''신평2동''' || {{{#EF426F 60.73%}}} || 15.11% || 4.99% || 4.85% || 1.50% || {{{#696969 △45.62}}} || 59.78 || || '''비산동'''[*B] || {{{#EF426F 51.34%}}} || 20.97% || 7.13% || 6.88% || 3.38% || △30.37 || 59.13 || || '''공단1동'''[*B] || {{{#EF426F 49.37%}}} || 19.57% || 7.65% || 8.66% || 3.79% || △29.80 || 64.05 || || '''공단2동'''[*B] || {{{#EF426F 47.44%}}} || 24.21% || 7.33% || 8.10% || 3.66% || △23.22 || 60.96 || || '''광평동''' || {{{#EF426F 55.07%}}} || 18.54% || 5.37% || 7.11% || 3.02% || △36.53 || 62.95 || || '''상모·사곡동'''[*C] || {{{#EF426F 52.94%}}} || 20.03% || 6.27% || 7.09% || 2.63% || △32.91 || 59.08 || || '''임오동'''[*D] || {{{#EF426F 48.69%}}} || 21.10% || 7.23% || 7.56% || 3.25% || △27.59 || 57.68 || || '''인동동'''[*E] || {{{#EF426F 49.41%}}} || 21.93% || 7.33% || 6.70% || 3.22% || △27.48 || 52.46 || || '''진미동'''[*F] || {{{#EF426F 44.48%}}} || 24.44% || 7.43% || 6.84% || 3.46% || △20.04 || {{{#696969 42.97}}} || || '''양포동'''[*G] || {{{#EF426F 41.80%}}} || 27.08% || 8.58% || 8.17% || 4.37% || △14.72 || 57.59 || ||<-8> '''구 선산군''' || || '''득표율''' || {{{#EF426F '''24,005 [br] (57.86%)'''}}} || {{{#006CB7 6,932 [br] (16.71%)}}} || {{{#FFCC00 2,362 [br] (5.69%)}}} || {{{#EA5504 2,411 [br] (5.81%)}}} || {{{#003E98 1,062 [br] (2.56%)}}} || + 17,073 [br] (△41.16) || 43,533 [br] (63.44%) || || '''선산읍'''[*H] || {{{#EF426F 68.23%}}} || 10.57% || 4.04% || 3.73% || 1.87% || △57.66 || 63.88 || || '''고아읍''' || {{{#EF426F 58.69%}}} || 15.53% || 5.84% || 6.33% || 2.10% || △43.16 || 63.43 || || '''산동면'''[*I] || {{{#FF7E9D 39.36%}}} || '''29.18%''' || 8.42% || 8.99% || 4.59% || △10.18 || 59.10 || || '''무을면''' || {{{#EF426F 66.33%}}} || 8.77% || 3.59% || 2.58% || 1.25% || △57.56 || '''72.55''' || || '''옥성면''' || {{{#EF426F 70.31%}}} || {{{#696969 8.59%}}} || 3.90% || 2.24% || 1.46% || △61.72 || 70.21 || || '''도개면''' || {{{#EF426F 71.22%}}} || 8.93% || 2.82% || 2.29% || 1.60% || △62.29 || 68.47 || || '''해평면''' || {{{#EF426F '''72.31%'''}}} || 8.78% || 3.37% || 2.28% || 1.33% || '''△63.53''' || 66.74 || || '''장천면''' || {{{#EF426F 66.13%}}} || 11.00% || 4.11% || 4.16% || 2.13% || △55.13 || 70.82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46.25%}}} || 16.33% || 5.70% || 6.88% || 1.77% || △29.92 ||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42.74%}}} || 23.31% || 8.32% || 7.70% || 4.02% || △19.42 || || || '''재외투표''' || {{{#EF426F 34.04%}}} || {{{#006CB7 34.04%}}} || 7.97% || 4.25% || 7.97% || =동률 || || === 지방선거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4> [[구미시 갑|{{{#ffffff {{{+1 '''구미시 갑'''}}}}}}]][br]{{{#ffffff 舊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이의근|{{{#ffffff '''이의근'''}}}]] || [[박준홍|{{{#ffffff '''박준홍'''}}}]] || [[이판석|{{{#ffffff '''이판석'''}}}]] || || '''득표수''' || 24,622 || '''45,613''' || 26,321 || || '''득표율''' || 25.50% || '''47.23%''' || 27.25% || || '''순위''' || 3위 || '''1위''' || 2위 || ||<|5> '''계''' || ||<-2> '''선거인 수''' ||<-2> 142,155 || ||<-2> '''투표 수''' ||<-2> 98,065 || ||<-2> '''무효표 수''' ||<-2> 1,509 || ||<-2> '''투표율''' ||<-2> 68.95% || ||<-4> [[구미시 을|{{{#ffffff {{{+1 '''구미시 을'''}}}}}}]][br]{{{#ffffff 舊 선산군 일원}}} || || '''정당'''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이의근|{{{#ffffff '''이의근'''}}}]] || [[박준홍|{{{#ffffff '''박준홍'''}}}]] || [[이판석|{{{#ffffff '''이판석'''}}}]] || || '''득표수''' || 10,221 || '''13,723''' || 10,982 || || '''득표율''' || 29.26% || '''39.29%''' || 31.44% || || '''순위''' || 3위 || '''1위''' || 2위 || ||<|5> '''계''' || ||<-2> '''선거인 수''' ||<-2> 46,456 || ||<-2> '''투표 수''' ||<-2> 36,313 || ||<-2> '''무효표 수''' ||<-2> 1,387 || ||<-2> '''투표율''' ||<-2> 78.16%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장|{{{#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관용|{{{#373a3c,#dddddd 김관용}}}]](金寬容)''' || '''46,130'''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5.13%'''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전병억}}}(全秉億) || 44,469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3.87%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강구휘}}}(姜九輝) || 19,80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08%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강상수}}}(姜相洙) || 2,891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20%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경광수}}}(經光數) || 2,584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96%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장경환}}}(長經煥) || 15,40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1.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611 ||<|3> '''투표율'''[br]71.25% || || '''투표 수''' || 134,377 || || '''무효표 수''' || 3,094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3> [[구미시 갑|{{{#ffffff {{{+1 '''구미시 갑'''}}}}}}]][br]{{{#ffffff 송정동, 형곡1동, 형곡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1동, [br]공단2동, 광평동, 사곡동, 상모동, 임오동,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 '''후보''' || [[이의근|{{{#ffffff '''이의근'''}}}]] || [[이판석|{{{#ffffff '''이판석'''}}}]] || || '''득표수''' || '''34,036''' || 13,611 || || '''득표율''' || '''71.43%''' || 28.56%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112,058 || || '''투표 수''' || 48,578 || || '''무효표 수''' || 931 || || '''투표율''' || 43.45% || ||<-3> [[구미시 을|{{{#ffffff {{{+1 '''구미시 을'''}}}}}}]][br]{{{#ffffff 원평1동, 원평2동, 원평3동, 지산동, 도량동, 선주동, 원남동, [br]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 '''후보''' || [[이의근|{{{#ffffff '''이의근'''}}}]] || [[이판석|{{{#ffffff '''이판석'''}}}]] || || '''득표수''' || '''37,824''' || 15,066 || || '''득표율''' || '''71.51%''' || 28.48%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100,611 || || '''투표 수''' || 54,285 || || '''무효표 수''' || 1,395 || || '''투표율''' || 53.94%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장|{{{#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관용|{{{#373a3c,#dddddd 김관용}}}]](金寬容)''' || '''93,063''' || '''1위'''[*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0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12,669 ||<|3> '''투표율'''[br]48.38% || || '''투표 수''' || 102,879 || || '''무효표 수''' || 9,816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3>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이의근|{{{#ffffff '''이의근'''}}}]] || {{{#ffffff '''조영건'''}}} || || '''득표수''' || '''83,514''' || 15,633 || || '''득표율''' || '''84.23%''' || 15.76%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231,648 || || '''투표 수''' || 100,996 || || '''무효표 수''' || 1,849 || || '''투표율''' || 43.61%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장|{{{#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관용|{{{#373a3c,#dddddd 김관용}}}]](金寬容)''' || '''66,05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6.40%''' || '''당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이강웅}}}(李康雄) || 21,691 || 2위 || || [include(틀:한국미래연합)] || 21.80%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황준영}}}(黃俊永) || 11,736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1.7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1,648 ||<|3> '''투표율'''[br]43.65% || || '''투표 수''' || 100,996 || || '''무효표 수''' || 1,51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3>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열린우리당)] || [include(틀:한나라당)] || || '''후보''' || [[박명재|{{{#000000 '''박명재'''}}}]] || [[김관용|{{{#ffffff '''김관용'''}}}]] || || '''득표수''' || 31,617 || '''98,851''' || || '''득표율''' || 24.23% || '''75.76%'''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229,226 || || '''투표 수''' || 132,337 || || '''무효표 수''' || 1,906 || || '''투표율''' || 49.16%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남유진|{{{#373a3c,#dddddd 남유진}}}]](南洧鎭)''' || '''98,75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5.89%''' || '''당선''' || ||<|2> {{{#ffffff {{{+5 '''4'''}}}}}} || [[최근성|{{{#373a3c,#dddddd 최근성}}}]](崔根成) || 13,265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0.19%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신수식}}}(申秀湜) || 2,71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08%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채동익}}}(蔡東益) || 15,39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1.8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69,226 ||<|3> '''투표율'''[br]49.17% || || '''투표 수''' || 132,422 || || '''무효표 수''' || 2,289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5>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include(틀:민주노동당)] || [include(틀:국민참여당)] || || '''후보''' || [[김관용|{{{#ffffff '''김관용'''}}}]] || [[홍의락|{{{#ffffff '''홍의락'''}}}]] || {{{#ffffff '''윤병태'''}}} || [[유성찬|{{{#000000 '''유성찬'''}}}]] || || '''득표수''' || '''90,050''' || 21,610 || 9,804 || 13,233 || || '''득표율''' || '''66.85%''' || 16.04% || 7.27% || 9.82% || || '''순위''' || '''1위''' || 2위 || 4위 || 3위 || ||<|4> '''계''' ||<-3> '''선거인 수''' || 291,865 || ||<-3> '''투표 수''' || 138,048 || ||<-3> '''무효표 수''' || 3,351 || ||<-3> '''투표율''' || 47.35%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남유진|{{{#373a3c,#dddddd 남유진}}}]](南洧鎭)''' || '''71,71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3.09%''' || '''당선''' || ||<|2> {{{#ffffff {{{+5 '''7'''}}}}}} || [[김석호(1959)|{{{#373a3c,#dddddd 김석호}}}]](金碩鎬) || 45,263 || 2위 || || [include(틀:친박연합)] || 33.51%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구민회}}}(具民會) || 18,09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3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91,865 ||<|3> '''투표율'''[br]47.36% || || '''투표 수''' || 138,052 || || '''무효표 수''' || 2,981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5>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include(틀:통합진보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김관용|{{{#ffffff '''김관용'''}}}]] || [[오중기|{{{#ffffff '''오중기'''}}}]] || {{{#ffffff '''윤병태'''}}} || [[박창호|{{{#000000 '''박창호'''}}}]] || || '''득표수''' || '''112,367''' || 32,606 || 4,259 || 6,961 || || '''득표율''' || '''71.94%''' || 20.87% || 2.72% || 4.45% || || '''순위''' || '''1위''' || 2위 || 4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2> 321,096 || ||<-2> '''투표 수''' ||<-2> 160,254 || ||<-2> '''무효표 수''' ||<-2> 4,061 || ||<-2> '''투표율''' ||<-2> 49.93%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남유진|{{{#373a3c,#dddddd 남유진}}}]](南洧鎭)''' || '''82,90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59%'''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구민회}}}(具民會) || 22,111 || 4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14.02% || 낙선 || ||<|2> {{{#ffffff {{{+5 '''4'''}}}}}} || [[김석호(1959)|{{{#373a3c,#dddddd 김석호}}}]](金碩鎬) || 25,09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1%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이재웅}}}(李載雄) || 27,52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7.4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21,096 ||<|3> '''투표율'''[br]49.91% || || '''투표 수''' || 160,250 || || '''무효표 수''' || 2,620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5>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오중기|{{{#ffffff '''오중기'''}}}]] || [[이철우(1955)|{{{#ffffff '''이철우'''}}}]] || [[권오을|{{{#ffffff '''권오을'''}}}]] || [[박창호|{{{#000000 '''박창호'''}}}]] || || '''득표수''' || 78,892 || '''82,603''' || 16,234 || 5,474 || || '''득표율''' || 43.06% || '''45.08%''' || 8.86% || 2.98%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 '''계''' || || '''선거인 수''' ||<-3> 332,873 || || '''투표 수''' ||<-3> 187,236 || || '''무효표 수''' ||<-3> 4,003 || || '''투표율''' ||<-3> 56.25% || ||<:><-7> {{{#FFFFFF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오중기|{{{#FFFFFF '''오중기'''}}}]] ||<:> [[이철우(1955)|{{{#FFFFFF '''이철우'''}}}]] ||<:> [[권오을|{{{#FFFFFF '''권오을'''}}}]] ||<:> [[박창호|{{{#000000 '''박창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78,892 [br] (43.06%)''' ||<:> {{{#FFFFFF '''82,603 [br] (45.08%)'''}}} ||<:> '''16,234 [br] (8.86%)''' ||<:> '''5,474 [br] (2.98%)''' ||<:> '''-3,711 [br] (▼2.02)''' ||<:> '''56.25%''' || || '''송정동''' ||<:> 36.01% ||<:> {{{#C9151E 53.34%}}} ||<:> 8.39% ||<:> 2.26% ||<:> {{{#808080 ▼17.33}}} ||<:> 53.60 || || '''원평1동''' ||<:> 28.23% ||<:> {{{#C9151E 62.55%}}} ||<:> 6.83% ||<:> 2.39% ||<:> {{{#808080 ▼34.32}}} ||<:> 38.83 || || '''원평2동''' ||<:> 24.39% ||<:> {{{#C9151E 67.58%}}} ||<:> 5.81% ||<:> 2.22% ||<:> {{{#808080 ▼43.19}}} ||<:> 50.99 || || '''지산동''' ||<:> 21.93% ||<:> {{{#C9151E 66.83%}}} ||<:> 8.33% ||<:> 2.91% ||<:> {{{#808080 ▼44.90}}} ||<:> 57.13 || || '''도량동''' ||<:> 37.53% ||<:> {{{#C9151E 49.99%}}} ||<:> 8.85% ||<:> 3.63% ||<:> {{{#808080 ▼12.46}}} ||<:> 56.17 || || '''선주원남동'''[*A 법정동 봉곡동·부곡동·선기동·수점동·남통동·원평동([[경부선]] 남쪽). [[구미대학교]]가 있는 동네] ||<:> 44.07% ||<:> {{{#C9151E 45.22%}}} ||<:> 8.28% ||<:> 2.43% ||<:> {{{#808080 ▼1.15}}}[* 불과 '''220표''' 차이였다.] ||<:> 57.26 || || '''형곡1동''' ||<:> 40.22% ||<:> {{{#C9151E 48.41%}}} ||<:> 8.90% ||<:> 2.47% ||<:> {{{#808080 ▼8.19}}} ||<:> 59.58 || || '''형곡2동''' ||<:> 37.15% ||<:> {{{#C9151E 51.49%}}} ||<:> 8.41% ||<:> 2.95% ||<:> {{{#808080 ▼14.34}}} ||<:> 53.61 || || '''신평1동''' ||<:> 32.75% ||<:> {{{#C9151E 54.81%}}} ||<:> 9.05% ||<:> 3.39% ||<:> {{{#808080 ▼22.06}}} ||<:> 57.48 || || '''신평2동''' ||<:> 32.73% ||<:> {{{#C9151E 57.09%}}} ||<:> 7.77% ||<:> 2.41% ||<:> {{{#808080 ▼24.36}}} ||<:> 53.71 || || '''비산동'''[*B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44.39%}}} ||<:> 43.36% ||<:> 9.32% ||<:> 2.92% ||<:> △1.03[* 불과 '''26표''' 차이였다.] ||<:> 53.82 || || '''공단1동''' ||<:> {{{#004EA2 45.72%}}} ||<:> 40.87% ||<:> 9.73% ||<:> 3.68% ||<:> △4.85 ||<:> 58.14 || || '''공단2동'''[*B] ||<:> {{{#004EA2 55.01%}}} ||<:> 33.13% ||<:> 8.96% ||<:> 2.90% ||<:> △21.88 ||<:> 49.35 || || '''광평동''' ||<:> 41.63% ||<:> {{{#C9151E 47.73%}}} ||<:> 8.56% ||<:> 2.08% ||<:> {{{#808080 ▼6.10}}} ||<:> 50.80 || || '''상모사곡동'''[*C 상모동 + 사곡동을 관할하며, [[5.16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 ||<:> {{{#004EA2 44.25%}}} ||<:> 42.85% ||<:> 9.48% ||<:> 3.42% ||<:> △1.40[* 불과 '''158표''' 차이였다.] ||<:> 51.98 || || '''임오동'''[*D 법정동 '''임'''은동 + '''오'''태동] ||<:> {{{#004EA2 48.74%}}} ||<:> 38.10% ||<:> 9.56% ||<:> 3.60% ||<:> △10.64 ||<:> 52.59 || || '''인동동'''[*E 법정동 황상동·인의동·구평동·신동] ||<:> {{{#004EA2 48.38%}}} ||<:> 38.55% ||<:> 9.12% ||<:> 3.94% ||<:> △9.83 ||<:> 45.40 || || '''진미동'''[*F 법정동 '''진'''평동 + 시'''미'''동·임수동. [[구미국가산업단지]] 3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52.67%}}} ||<:> 31.17% ||<:> '''11.30%''' ||<:> '''4.85%''' ||<:> △21.50 ||<:> 36.33 || || '''양포동'''[*G 법정동 '''양'''호동 + 구'''포'''동·거의동·옥계동·금전동. [[구미국가산업단지]] 2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5.64%}}} ||<:> 31.44% ||<:> 10.0% ||<:> 2.92% ||<:> △24.20 ||<:> 52.80 || || '''선산읍'''[*H 선산군의 중심지였던 곳] ||<:> 21.24% ||<:> {{{#C9151E 70.35%}}} ||<:> 6.21% ||<:> 2.20% ||<:> {{{#808080 ▼49.11}}} ||<:> 58.0 || || '''고아읍''' ||<:> 35.27% ||<:> {{{#C9151E 54.99%}}} ||<:> 7.58% ||<:> 2.16% ||<:> {{{#808080 ▼19.72}}} ||<:> 55.43 || || '''무을면''' ||<:> 14.87% ||<:> {{{#C9151E '''80.29%'''}}} ||<:> 2.96% ||<:> 1.88% ||<:> {{{#808080 ▼'''65.42'''}}} ||<:> 64.69 || || '''옥성면''' ||<:> 14.85% ||<:> {{{#C9151E 77.52%}}} ||<:> 4.95% ||<:> 2.68% ||<:> {{{#808080 ▼62.67}}} ||<:> 65.20 || || '''도개면''' ||<:> 15.46% ||<:> {{{#C9151E 75.65%}}} ||<:> 6.65% ||<:> 2.24% ||<:> {{{#808080 ▼60.19}}} ||<:> 60.07 || || '''해평면''' ||<:> 16.91% ||<:> {{{#C9151E 73.02%}}} ||<:> 7.55% ||<:> 2.52% ||<:> {{{#808080 ▼56.11}}} ||<:> 60.34 || || '''산동면'''[*I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및 [[경운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8.68%'''}}} ||<:> 29.46% ||<:> 9.39% ||<:> 2.46% ||<:> △'''29.22''' ||<:> 55.23 || || '''장천면''' ||<:> 21.29% ||<:> {{{#C9151E 69.03%}}} ||<:> 7.37% ||<:> 2.31% ||<:> {{{#808080 ▼47.74}}} ||<:> 62.88 || || '''후보''' ||<:> [[오중기|{{{#004EA2 '''오중기'''}}}]] ||<:> [[이철우(1955)|{{{#C9151E '''이철우'''}}}]] ||<:> [[권오을|{{{#00B4B4 '''권오을'''}}}]] ||<:> [[박창호|{{{#FFCC00 '''박창호'''}}}]]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1.77%}}} ||<:> 40.0% ||<:> '''12.41%''' ||<:> 5.82% ||<:> △1.77[* 단 '''7표''' 차이였다.]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2.32%'''}}} ||<:> 34.42% ||<:> 10.07% ||<:> 3.19% ||<:> △'''17.90''' ||<:>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세용|{{{#373a3c,#dddddd 장세용}}}]](張世龍''') || '''74,917'''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0.79%''' || '''당선''' || ||<|2> {{{#ffffff {{{+5 '''2'''}}}}}} || [[이양호(1959)|{{{#373a3c,#dddddd 이양호}}}]](李良鎬) || 71,055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8.69% || 낙선 || ||<|2> {{{#ffffff {{{+5 '''3'''}}}}}} || [[유능종|{{{#373a3c,#dddddd 유능종}}}]](劉能鍾) || 13,849 || 4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7.54%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박창욱}}}(朴昌旭) || 6,48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52% || 낙선 || ||<|2> {{{#ffffff {{{+5 '''7'''}}}}}} || [[김봉재(1959)|{{{#373a3c,#dddddd 김봉재}}}]](金奉在) || 17,33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9.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32,873 ||<|3> '''투표율'''[br]56.25% || || '''투표 수''' || 187,244 || || '''무효표 수''' || 3,604 || ||<:><-8> {{{#FFFFFF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무소속)]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장세용|{{{#FFFFFF '''장세용'''}}}]] ||<:> [[이양호(1959)|{{{#FFFFFF '''이양호'''}}}]] ||<:> [[유능종|{{{#FFFFFF '''유능종'''}}}]] ||<:> [[박창욱|{{{#FFFFFF '''박창욱'''}}}]] ||<:> [[김봉재(1959)|{{{#ffffff '''김봉재'''}}}]]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74,917 [br] (40.79%)'''}}} ||<:> '''71,055 [br] (38.69%)''' ||<:> '''13,849 [br] (7.54%)''' ||<:> '''6,482 [br] (3.52%)''' ||<:> '''17,337 [br] (9.44%)''' ||<:> '''+3,862 [br] (△2.10)''' ||<:> '''56.25%''' || || '''송정동''' ||<:> 32.70% ||<:> {{{#c9151e 45.92%}}} ||<:> 7.34% ||<:> 3.35% ||<:> 10.69% ||<:> {{{#808080 ▼13.22}}} ||<:> 53.69 || || '''원평1동''' ||<:> 28.68% ||<:> {{{#c9151e 51.56%}}} ||<:> 4.33% ||<:> 3.23% ||<:> 12.20% ||<:> {{{#808080 ▼22.88}}} ||<:> 39.04 || || '''원평2동''' ||<:> 23.86% ||<:> {{{#c9151e 57.74%}}} ||<:> 4.95% ||<:> 2.51% ||<:> 10.93% ||<:> {{{#808080 ▼33.88}}} ||<:> 51.11 || || '''지산동''' ||<:> 19.90% ||<:> {{{#C9151E 56.05%}}} ||<:> 5.77% ||<:> 3.09% ||<:> '''15.19%''' ||<:> {{{#808080 ▼36.15}}} ||<:> 57.17 || || '''도량동''' ||<:> 35.68% ||<:> {{{#c9151e 43.18%}}} ||<:> 7.22% ||<:> 2.96% ||<:> 10.95% ||<:> {{{#808080 ▼7.50}}} ||<:> 56.21 || || '''선주원남동'''[*A 법정동 봉곡동·부곡동·선기동·수점동·남통동·원평동([[경부선]] 남쪽). [[구미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40.95%}}} ||<:> 37.75% ||<:> 7.87% ||<:> 2.59% ||<:> 10.84% ||<:> △3.20 ||<:> 57.33 || || '''형곡1동''' ||<:> 38.72% ||<:> {{{#c9151e 40.27%}}} ||<:> 7.54% ||<:> 3.25% ||<:> 10.21% ||<:> {{{#808080 ▼1.55}}}[* 불과 '''111표''' 차이였다.] ||<:> 59.72 || || '''형곡2동''' ||<:> 35.18% ||<:> {{{#c9151e 43.14%}}} ||<:> 6.81% ||<:> 4.08% ||<:> 10.78% ||<:> {{{#808080 ▼7.96}}} ||<:> 53.64 || || '''신평1동''' ||<:> 32.47% ||<:> {{{#c9151e 45.13%}}} ||<:> 5.85% ||<:> '''5.01%''' ||<:> 11.54% ||<:> {{{#808080 ▼12.66}}} ||<:> 57.51 || || '''신평2동''' ||<:> 30.77% ||<:> {{{#C9151E 48.24%}}} ||<:> 4.85% ||<:> 3.96% ||<:> 12.17% ||<:> {{{#808080 ▼17.47}}} ||<:> 53.79 || || '''비산동'''[*B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42.68%}}} ||<:> 36.69% ||<:> 7.36% ||<:> 3.52% ||<:> 9.75% ||<:> △5.99 ||<:> 53.93 || || '''공단1동''' ||<:> {{{#004ea2 42.46%}}} ||<:> 32.33% ||<:> 8.16% ||<:> 4.93% ||<:> 12.12% ||<:> △10.13 ||<:> 58.25 || || '''공단2동'''[*B] ||<:> {{{#004ea2 52.08%}}} ||<:> 28.36% ||<:> 8.64% ||<:> 3.77% ||<:> 7.15% ||<:> △23.72 ||<:> 49.43 || || '''광평동''' ||<:> {{{#004ea2 39.59%}}} ||<:> 39.37% ||<:> 7.65% ||<:> 3.88% ||<:> 9.51% ||<:> △0.22[* 단 '''4표''' 차이였다.] ||<:> 50.88 || || '''상모사곡동'''[*C 상모동 + 사곡동을 관할하며, [[5.16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 ||<:> {{{#004ea2 41.63%}}} ||<:> 35.43% ||<:> 8.21% ||<:> 3.55% ||<:> 11.18% ||<:> △6.20 ||<:> 52.03 || || '''임오동'''[*D 법정동 '''임'''은동 + '''오'''태동] ||<:> {{{#004ea2 45.52%}}} ||<:> 30.76% ||<:> 7.01% ||<:> 4.60% ||<:> 12.11% ||<:> △14.76 ||<:> 52.64 || || '''인동동'''[*E 법정동 황상동·인의동·구평동·신동] ||<:> {{{#004ea2 49.20%}}} ||<:> 32.08% ||<:> 7.58% ||<:> 3.88% ||<:> 7.26% ||<:> △17.12 ||<:> 45.49 || || '''진미동'''[*F 법정동 '''진'''평동 + 시'''미'''동·임수동. [[구미국가산업단지]] 3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51.80%}}} ||<:> 25.89% ||<:> 9.07% ||<:> 4.51% ||<:> 8.73% ||<:> △25.91 ||<:> 36.39 || || '''양포동'''[*G 법정동 '''양'''호동 + 구'''포'''동·거의동·옥계동·금전동. [[구미국가산업단지]] 2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1.56%}}} ||<:> 27.36% ||<:> '''9.96%''' ||<:> 3.99% ||<:> 7.13% ||<:> △24.20 ||<:> 52.90 || || '''선산읍'''[*H 선산군의 중심지였던 곳] ||<:> 18.49% ||<:> {{{#C9151E 69.54%}}} ||<:> 3.80% ||<:> 2.22% ||<:> 5.95% ||<:> {{{#808080 ▼41.05}}} ||<:> 58.08 || || '''고아읍''' ||<:> 33.07% ||<:> {{{#C9151E 47.93%}}} ||<:> 5.88% ||<:> 2.30% ||<:> 10.81% ||<:> {{{#808080 ▼14.86}}} ||<:> 55.48 || || '''무을면''' ||<:> 13.23% ||<:> {{{#C9151E 75.34%}}} ||<:> 1.89% ||<:> 2.52% ||<:> 7.02% ||<:> {{{#808080 ▼62.11}}} ||<:> 64.69 || || '''옥성면''' ||<:> 11.55% ||<:> {{{#c9151e '''81.03%'''}}} ||<:> 1.75% ||<:> 2.27% ||<:> 3.40% ||<:> {{{#808080 ▼'''69.48'''}}} ||<:> 65.26 || || '''도개면''' ||<:> 15.70% ||<:> {{{#c9151e 72.82%}}} ||<:> 3.02% ||<:> 2.16% ||<:> 6.30% ||<:> {{{#808080 ▼57.12}}} ||<:> 60.07 || || '''해평면''' ||<:> 16.27% ||<:> {{{#c9151e 61.65%}}} ||<:> 4.31% ||<:> 2.81% ||<:> 14.95% ||<:> {{{#808080 ▼45.38}}} ||<:> 60.42 || || '''산동면'''[*I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및 [[경운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3.41%'''}}} ||<:> 24.75% ||<:> 11.59% ||<:> 3.82% ||<:> 6.43% ||<:> △'''28.66''' ||<:> 55.30 || || '''장천면''' ||<:> 22.74% ||<:> {{{#c9151e 57.55%}}} ||<:> 3.93% ||<:> 4.10% ||<:> 11.68% ||<:> {{{#808080 ▼34.81}}} ||<:> 62.88 || || '''후보''' ||<:> [[장세용|{{{#004ea2 '''장세용'''}}}]] ||<:> [[이양호(1959)|{{{#C9151E '''이양호'''}}}]] ||<:> [[유능종|{{{#00B4B4 '''유능종'''}}}]] ||<:> [[박창욱|{{{#808080 '''박창욱'''}}}]] ||<:> [[김봉재(1959)|{{{#808080 '''김봉재'''}}}]]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34.91% ||<:> {{{#C9151E '''36.66%'''}}} ||<:> 13.22% ||<:> 7.73% ||<:> 7.48% ||<:> {{{#808080 ▼'''1.75'''}}}[* 단 '''7표''' 차이였다.]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9.51%'''}}} ||<:> 29.75% ||<:> 8.49% ||<:> 4.41% ||<:> 7.84% ||<:> △'''19.76'''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 ||<-3> [[구미시|{{{#ffffff {{{+1 '''구미시'''}}}}}}]][br]{{{#ffffff 구미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 '''득표수''' || 34,597 || '''108,033''' || || '''득표율''' || 24.09% || '''75.90%'''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337,510 || || '''투표 수''' || 144,547 || || '''무효표 수''' || 1,917 || || '''투표율''' || 42.82% || ||<:><-5> {{{#FFFFFF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34,597 [br] (24.09%)''' ||<:> {{{#FFFFFF '''108,033 [br] (75.90%)'''}}} ||<:> '''-73,436 [br] (▼51.81) ''' ||<:> '''42.82%''' || ||<-8> '''구 구미시''' || || '''득표율''' || {{{#004EA2 23,329 [br] (24.63%)}}} || {{{#E61E2B '''70,839 [br] (75.36%)'''}}} || - 47,510 [br] (▼50.73) || 95,256 [br] (38.12%) || || '''송정동''' || 22.33% || {{{#E61E2B 77.66%}}} || ▼55.33 || 43.85 || || '''원평동''' || 14.23% || {{{#E61E2B 85.76%}}} || ▼71.53 || 40.21 || || '''지산동''' || 11.56% || {{{#E61E2B 88.43%}}} || ▼76.86 || 53.22 || || '''도량동''' || 22.15% || {{{#E61E2B 77.84%}}} || ▼55.69 || 43.22 || || '''선주원남동'''[*A] || 24.72% || {{{#E61E2B 75.27%}}} || ▼50.54 || 39.91 || || '''형곡1동''' || 22.44% || {{{#E61E2B 77.55%}}} || ▼55.10 || 49.50 || || '''형곡2동''' || 20.06% || {{{#E61E2B 79.93%}}} || ▼59.86 || 43.62 || || '''신평1동''' || 18.48% || {{{#E61E2B 81.51%}}} || ▼63.03 || 48.57 || || '''신평2동''' || 18.97% || {{{#E61E2B 81.02%}}} || ▼62.04 || 46.19 || || '''비산동'''[*B] || 25.65% || {{{#E61E2B 74.34%}}} || ▼48.69 || 38.93 || || '''공단동'''[*B] || 27.24% || {{{#E61E2B 72.75%}}} || ▼45.51 || 37.08 || || '''광평동''' || 19.89% || {{{#E61E2B 80.10%}}} || ▼60.21 || 42.67 || || '''상모사곡동'''[*C] || 25.91% || {{{#E61E2B 74.08%}}} || ▼48.17 || 38.75 || || '''임오동'''[*D] || 24.79% || {{{#E61E2B 75.20%}}} || ▼50.41 || 35.58 || || '''인동동'''[*E] || 26.77% || {{{#E61E2B 73.22%}}} || ▼46.45 || 31.97 || || '''진미동'''[*F] || 29.59% || {{{#E61E2B 70.40%}}} || ▼40.81 || {{{#696969 23.31}}} || || '''양포동'''[*G] || 33.01% || {{{#E61E2B 66.98%}}} || ▼33.97 || 34.17 || ||<-8> '''구 선산군''' || || '''득표율''' || {{{#004EA2 6,225 [br] (19.77%)}}} || {{{#E61E2B '''24,997 [br] (80.22%)'''}}} || - 18,772 [br] (▼60.45) || 31,721 [br] (45.25%) || || '''선산읍'''[*H] || 13.65% || {{{#E61E2B 86.34%}}} || ▼72.69 || 52.30 || || '''고아읍''' || 20.30% || {{{#E61E2B 79.69%}}} || ▼59.39 || 44.34 || || '''산동읍'''[*I] || '''34.96%''' || {{{#FF6347 65.03%}}} || '''▼30.07''' || 33.96 || || '''무을면''' || 10.36% || {{{#E61E2B 89.63%}}} || ▼79.27 || '''60.64''' || || '''옥성면''' || {{{#696969 9.79%}}} || {{{#E61E2B '''90.20%'''}}} || {{{#696969 '''▼80.41'''}}} || 60.00 || || '''도개면''' || 11.05% || {{{#E61E2B 88.94%}}} || ▼77.89 || 57.37 || || '''해평면''' || 11.22% || {{{#E61E2B 88.77%}}} || ▼77.55 || 55.14 || || '''장천면''' || 12.69% || {{{#E61E2B 87.30%}}} || ▼74.61 || 58.26 || || '''후보''' || [[임미애|{{{#004EA2 임미애}}}]] || [[이철우|{{{#E61E2B '''이철우'''}}}]] || 격차 || || || '''거소투표''' || 24.39% || {{{#E61E2B 75.60%}}} || ▼51.20 || || || '''관외사전투표''' || 29.38% || {{{#E61E2B 70.61%}}} || ▼41.22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구미시 갑|{{{#E61E2B '''구미시 갑'''[*J][*갑 지역구 국회의원: [[구자근]]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22.68% || {{{#FFFFFF 77.31%}}} || ▼54.63 || 41.24 || || [[구미시 을|{{{#E61E2B '''구미시 을'''[*K][*을 지역구 국회의원:[[김영식(1959)|김영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24.26% || {{{#FFFFFF 75.73%}}} || ▼51.47 || 38.00 || ===== [[구미시장]] ===== ||<-4>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width=30px]]}}}]] [[구미시|{{{#ffffff {{{+1 '''구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세용|{{{#373a3c,#dddddd 장세용}}}]](張世龍) || 38,19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6.91% || 낙선 || ||<|2> {{{#FFFFFF {{{+5 '''2'''}}}}}} || '''[[김장호|{{{#373a3c,#dddddd 김장호}}}]](金璋鎬)''' || '''99,751'''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70.39%''' || '''당선''' || ||<|2> {{{#FFFFFF {{{+5 '''4'''}}}}}} || [[김중천|{{{#373a3c,#dddddd 김중천}}}]](金中千) || 1,55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09% || 낙선 || ||<|2> {{{#FFFFFF {{{+5 '''5'''}}}}}} || [[김기훈|{{{#373a3c,#dddddd 김기훈}}}]](金圻勳) || 2,40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37,510 ||<|3> '''투표율'''[br]42.84% || || '''투표 수''' || 144,577 || || '''무효표 수''' || 2,672 || ||<:><-5> {{{#FFFFFF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구미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장세용|{{{#FFFFFF '''장세용'''}}}]] ||<:> [[김장호|{{{#FFFFFF '''김장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38,196 [br] (26.91%)''' ||<:> {{{#FFFFFF '''99,751 [br] (70.39%)'''}}} ||<:> '''-61,555 [br] (▼43.48) ''' ||<:> '''42.84%''' || ||<-8> '''구 구미시''' || || '''송정동''' || 24.66% || {{{#E61E2B 72.91%}}} || ▼48.24 || 43.86 || || '''원평동''' || 15.86% || {{{#E61E2B 81.26%}}} || ▼65.40 || 40.21 || || '''지산동''' || 11.99% || {{{#E61E2B 82.92%}}} || ▼70.93 || 53.28 || || '''도량동''' || 23.64% || {{{#E61E2B 73.40%}}} || ▼49.76 || 43.21 || || '''선주원남동'''[*A] || 26.41% || {{{#E61E2B 71.30%}}} || ▼44.88 || 39.90 || || '''형곡1동''' || 24.54% || {{{#E61E2B 72.71%}}} || ▼48.17 || 49.51 || || '''형곡2동''' || 21.26% || {{{#E61E2B 76.06%}}} || ▼54.80 || 43.62 || || '''신평1동''' || 20.92% || {{{#E61E2B 74.96%}}} || ▼54.04 || 48.48 || || '''신평2동''' || 21.34% || {{{#E61E2B 75.11%}}} || ▼53.76 || 46.23 || || '''비산동'''[*B] || 28.54% || {{{#E61E2B 68.68%}}} || ▼40.14 || 38.93 || || '''공단동'''[*B] || 27.60% || {{{#E61E2B 69.51%}}} || ▼41.91 || 37.05 || || '''광평동''' || 21.33% || {{{#E61E2B 75.51%}}} || ▼54.18 || 42.67 || || '''상모사곡동'''[*C] || 26.89% || {{{#E61E2B 69.92%}}} || ▼43.02 || 38.76 || || '''임오동'''[*D] || 27.03% || {{{#E61E2B 70.54%}}} || ▼43.50 || 35.75 || || '''인동동'''[*E] || 31.64% || {{{#E61E2B 66.30%}}} || ▼34.66 || 31.97 || || '''진미동'''[*F] || 35.16% || {{{#E61E2B 62.15%}}} || ▼26.98 || {{{#696969 23.32}}} || || '''양포동'''[*G] || 35.38% || {{{#E61E2B 61.87%}}} || ▼26.49 || 34.18 || ||<-8> '''구 선산군''' || || '''선산읍'''[*H] || 15.58% || {{{#E61E2B 81.57%}}} || ▼65.98 || 52.34 || || '''고아읍''' || 20.30% || {{{#E61E2B 79.68%}}} || ▼59.39 || 44.34 || || '''산동읍'''[*I] || '''41.55%''' || {{{#FF6347 56.47%}}} || '''▼14.92''' || 33.95 || || '''무을면''' || 11.90% || {{{#E61E2B 86.82%}}} || ▼74.92 || '''60.64''' || || '''옥성면''' || 13.59% || {{{#E61E2B 83.47%}}} || ▼69.87 || 60.00 || || '''도개면''' || {{{#696969 9.62%}}} || {{{#E61E2B '''87.75%'''}}} || {{{#696969 '''▼78.13'''}}} || 57.32 || || '''해평면''' || 14.20% || {{{#E61E2B 83.41%}}} || ▼69.20 || 55.14 || || '''장천면''' || 17.66% || {{{#E61E2B 80.71%}}} || ▼63.05 || 58.22 || || '''후보''' || [[장세용|{{{#004EA2 장세용}}}]] || [[김장호|{{{#E61E2B '''김장호'''}}}]] || 격차 || || || '''거소투표''' || 30.52% || {{{#E61E2B 63.27%}}} || ▼32.75 || || || '''관외사전투표''' || 33.35% || {{{#E61E2B 63.24%}}} || ▼29.89 || || == 관련 문서 == * [[경상북도/정치]] * [[구미시 갑]] * [[구미시 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미시 갑, version=35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미시, version=1229)] [[분류:경상북도의 정치]][[분류:구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