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구미호}}}''' (1994)[br]''The Fox with Nine Tail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구미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호러, 로맨스, 멜로 || || '''감독''' ||<|2>박헌수 || || '''각본''' || || '''제작''' ||오정완[br]신철 || || '''주연''' ||[[고소영]], [[정우성]] || || '''촬영''' ||구중모 || || '''편집''' ||박순덕 || || '''음악''' ||이동준[br]오준성 || || '''촬영 기간''' ||○○ || ||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신(申)씨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4년 7월 23일 || || '''화면비''' ||○○ || || '''상영 시간''' ||115분 || || '''제작비'''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74,797명''' ^^(서울 기준)^^ || || '''스트리밍''' ||[include(틀:wavve 표시)]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901_SG0000147622|▶]][br][include(틀:왓챠 표시)] [[https://watcha.com/contents/mO01jxd|▶]][br][include(틀:Apple TV+ 표시)] [[https://tv.apple.com/kr/movie/the-fox-with-nine-tails/umc.cmc.73u37es8kc0cbe2xq8yaujvef|▶]][br][include(틀:TVING 표시)]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57834|▶]]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에서 [[1994년]] [[7월 23일]]에 개봉한 영화이다. 박헌수가 감독했고, [[고소영]]과 [[정우성]]이 주연을 맡았다. 둘 다 이 영화가 스크린 데뷔작이었는데 연기가 서툴렀던 정우성과 고소영이 자아내는 발연기 앙상블을 볼 수 있다. 영화 자체도 코믹과 호러, 멜로의 분배가 잘 되지 않아 완성도가 낮다. 건질건 한창 싱그럽게 물이 올라있던 정우성과 고소영의 비주얼. == 개봉 전 정보 == == 포스터 == == 예고편 == == 시놉시스 == >반인간 반여우인 구미호가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한 도구로 선택했던 남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되나 애석하게도 인간이 되지 못한다는 슬픈 사랑이야기다. == 등장인물 == * [[고소영]] - 구미호 하라 역 * [[정우성]] - 혁 역 * [[독고영재]] - 저승사자 69호 역 * 방은희 - 무당 역 == 설정 ==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 흥행 == 서울관객 15만명으로 흥행에 실패했으나, 이 영화를 제작한 영화제작사 신씨네는 2년 후 [[은행나무 침대]]를 제작,개봉하여 흥행 대박을 터뜨렸다. === [[대한민국]] ===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
<#000>{{{#fff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fff,#2d2f34>{{{#!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 기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특수 효과 지원을 받은 영화이기도 하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11400209121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4-01-14&officeId=00020&pageNo=21&printNo=22399&publishType=00010|기사]]) 때문에 한국 영화 최초로 본격 CG가 도입된 영화로 역사에 남아있다. 사실 개봉 당시에는 이 점을 아주 크게 어필하여 메인 포스터는 상단의 저것이 아니라 여우 얼굴이 고소영의 얼굴로 시시각각 변해가는 사진을 원형으로 늘어놓은 포스터였다.[[http://sisa-n.com/View.aspx?No=56734|#이 기사]]에 나오는 포스터. [[분류:1994년 영화]][[분류:공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