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구스범스'''}}} (1995 ~ 1998) [br] ''Goosebumps'' || ||<-3>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external/badbooksgoodtimes.files.wordpress.com/goosebumps-2.jpg|width=100%]]}}} || || '''장르''' ||<-2>[[판타지]] [[호러]] [[미스터리]] [[스릴러]]|| || '''방송사'''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폭스 키즈 네트워크 로고.png|width=3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파일:YTV 로고.png|width=27]]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NHK|[[파일:NHK 로고 레드.svg|width=30]]]]|| ||<|5> '''방영 화수''' ||<-2>4개 시즌, 총 74화|| ||시즌 1 [[1995년]] [[10월 28일]] ~ [[1996년]] [[5월 17일]] || 총 19화 || ||시즌 2 [[1996년]] [[8월 10일]] ~ [[1997년]] [[7월 20일]] || 총 25화 || ||시즌 3 [[1997년]] [[9월 6일]] ~ [[1998년]] [[5월 16일]] || 총 22화 || ||시즌 4 [[1998년]] [[9월 14일]] ~ [[1998년]] [[11월 16일]] || 총 8화 || ||<|7> '''제작사''' ||<-2>렌츠 엔터테인먼트 || ||<-2>패어슈트 프레스 || ||<-2>프로토콜 엔터테인먼트 || ||<-2>스콜라스틱 엔터테인먼트 || ||<-2>스콜라스틱 프로덕션 || ||<-2>가이즈데키 비주얼 이펙트 || ||<-2>쇼 치드런 프로그래밍 이니셔티브 || || '''연출''' ||<-2>[[R. L. 스타인]], 캐스린 쇼트, 코디 존스, 스콧 위크웨어, 헤밀 루스티아, 론 스테파니억, 벤 쿡|| || '''각본''' ||<-2>R. L. 스타인, 댄 엔젤, 빌리 브라운 외|| || '''제작''' ||<-2>윌리엄 프루엣, 론 올리버 외|| || '''공식 홈페이지''' ||<-2>[[http://goosebumps.scholasti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en.wikipedia.org/wiki/Goosebumps_(1995_TV_series)|[[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소설 [[구스범스]]를 원작으로 한 미국 드라마. == 상세 == 1990년대 후반 미국 방송국에서 방영해 인기를 끌었다. 전반적인 느낌은 틴버전 X파일과 환상특급 호러 에피를 더한 느낌으로 청불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호러 분위기면서도 플롯이나 연출이 선을 넘지 않지만 스토리 자체는 꽤나 소름끼치고 으스스하다. 모든 에피소드가 아이들이 주인공이기도 하고, 시청등급에서도 알 수 있지만 사람이 직접 죽는 장면은 절대 나오지 않으며 엔딩도 많은 경우 해피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피해자가 없는 건 아니라 오히려 상상에 의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면이 있고, 노골적이지 않을 뿐 분위기 자체는 꽤나 음산하고 소름끼치기에 소프트한 공포 매니아들이 보기엔 손색이 없다. 유튜브에 시즌 4개의 영상들이 있으며 넷플릭스에 시즌 일부가 공개되어있는 상태이다. 한글자막, 영어자막과 한국어 더빙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C6BLZ9vR_4)]}}} || || '''예고편'''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goosebumps, tomato=XX, popcorn=89)]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11987, user=7.6)]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goosebumps, critic=XX, user=5.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4638, presse=XX,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5835-goosebumps, user=79)]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gansehaut-die-stunde-der-geister, user=7.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255995, user=7.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56325, user=7.7)]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3bYnm, user=3.0)] [include(틀:평가/Just Watch(드라마), code=goosebumps, user=86)] == 여담 == * 더빙은 성우진의 수가 많지 않은 듯 귀썰미가 있는 사람들이라면 겹치는 배역에 곧 질리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고전적 느낌의 더빙이 매우 훌륭해서 재미있는 감상이 가능한 수준이다. 독특한 건, 지상파에서 하지 않는 항공사용 더빙과 달리 더빙 번역은 입 모양과 한국 정서에 맞게 전후 맥락을 맞춘, 예전의 지상파용 더빙과 비슷한 느낌이다.[* 그래서 더빙과 자막 대사가 의미를 공유할 뿐 사실상 다른 수준이다.] * 90년대 아역배우들이 매회 출연하기 때문에 낯익은 얼굴들을 발견할 수 있는 추억의 프로그램인데 시즌 1 15화 "Say Cheese and Die" 에피소드에는 십대인 [[라이언 고슬링]]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것이 미국팬들에겐 꽤 유명한지 [[구글]]에 Goosebumps를 치면 뒤에 [[라이언 고슬링]]이 자동완성으로 완성되기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스범스, version=286)] [[분류:미국 드라마]][[분류:1995년 드라마]][[분류:1998년 종영]][[분류:소설 원작 드라마]][[분류:호러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