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구창모(야구선수))] [목차] == 개요 ==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의 선수 경력을 정리해놓은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야구인 2세[* 부친(구동현)이 대구상고 - 한양대 야구선수 출신이다. 프로 지명을 희망했으나 부상으로 선수 생활을 중단했다. 대구상고 1년 선배가 [[이정훈(1963)|이정훈]]이다.]로, 울산공고에 진학[* 부친의 친구 [[최해명]]이 감독으로 있는 울산공고에 입학했다. 구창모는 집에서 가까운 북일고 진학을 희망했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부친의 설득으로 울산공고로 갔다. 최해명이 구창모의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봐 왔기 때문에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그런 선택을 한 것이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이것이 구창모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되었다.[[http://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71588|모친 인터뷰]]]하자마자 1학년때부터 경기에 출장했다. 기본기가 좋고 시속 140km가 넘는 역투 능력, 체인지업을 결정구로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며 2학년 때부터 [[울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울산공고]]의 에이스로 활약했다.[* 2013년 울산공고가 치른 대부분의 경기(24경기)에 등판해 106이닝 동안 ERA 1.19의 눈부신 호투를 펼치며 주목받았다.] 다만 허리부상을 갖고 있었고 팀 전력도 그렇게까지 강하지 않아서인지 고교 무대에서는 지역리그에서 눈에 띄었을 뿐 전국 무대에서는 많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kt와 NC의 1차지명 후보로도 검토되었던 선수로[* 원래대로라면 타 지역 전학생이라 NC의 1차지명 대상이 아니지만 당시 NC는 신생팀 특별 지명권을 행사할 수 있었고 그게 아니더라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한 시기가 전면 드래프트 시행 시기였기에 소급 적용을 받지 않았다.(중학교 때 광주에서 서울로 전학했던 [[이정후]]가 이 때문에 넥센(현 키움)의 1차 지명을 받을 수 있었다.)], 예상대로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신인드래프트 2차 1라운드 3번]]으로 [[NC 다이노스]]에 지명, 계약금 1억 5천만원에 입단하였다. 3학년 성적은 3패 7경기 31이닝 17피안타 20볼넷 29K ERA 3.48.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00&aid=0000000398|지명 직후 인터뷰]]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d2-NUH5yg)]}}}|| == [[NC 다이노스]] == === 2015 시즌 === 1군 콜업 없이 [[KBO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에서만 뛰었으며, 2승 3패 ERA 6.51를 기록했다.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6년|2016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6년)] 데뷔 2년차 19세 시즌에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며 메말랐던 팀 좌완 자원의 구세주가 되었다. 39경기 9선발 68⅔이닝 4승 1패 1홀드 37볼넷 67K ERA 4.19. 이런 활약 덕택에 함께 좋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배재환]], [[장현식]]과 묶여 일명 '[[배구장 트리오]]'로 불리기 시작했다.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7년)] 풀타임 선발 기회를 보장 받은 가운데 무난한 활약을 펼쳤다. 특히 115이닝에서 118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며 100이닝 이상 소화한 투수 중 가장 높은 9.24의 K/9를 기록, Dr. K의 본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그러나 첫 풀타임 소화로 인한 체력 저하나 덜 다듬어진 변화구 등의 문제로 인해 피OPS가 0.836에 달할 정도로 얻어맞는 상황도 많았다. 결과적으로는 조금 아쉬웠던 시즌.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8년)] 7월까지 17번의 선발 등판을 했는데 그동안 '''0승 10패'''를 기록하면서 최악의 불운을 경험했다. 특히 6월 중반까지는 선발 등판 시 득점 지원은 단 '''1.79점'''에 불과했고, 정말 저주를 받은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본인만 나서면 팀 타선이 터지지 않았다. 선발 ERA이 6.25에 달할 정도로 본인의 투구 내용도 나빴지만 본인보다 높은 ERA를 기록한 선발들도 최소한 2승은 따냈다는 점에서 얼마나 불운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멀고도 험했던 시즌 첫 선발승은 결국 18번째 선발 등판인 8월 9일 [[SK 와이번스]]전에서 7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얻어냈다. 최종 성적은 36경기 23선발 133이닝 5승 11패 1홀드 52볼넷 116K ERA 5.35. 선발 23경기에서 106.2이닝 ERA 6.24를 기록한 것에 반해 구원 13경기에서는 26⅓이닝 ERA 1.71을 기록하며 훨씬 안정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선발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입장에서는 마냥 기뻐할 수 없는 노릇.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 부상으로 인해 시즌 출발이 늦었지만 이전과 달리 한층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빠르게 승리를 쌓아갔고, 9월 15일 마침내 시즌 10승에 성공했다. 개인 첫 10승이자 '''[[NC 다이노스]] 역사상 첫 좌완 10승'''. 시즌 기록은 23경기 19선발 107이닝 10승 7패 1홀드 85피안타 10피홈런 41볼넷 114K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 전반기에 [[http://www.statiz.co.kr/stat.php?re=1&lr=|국내 최고급의 선발투수]]로 자리매김하는 중이었으나[*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수를 제외한 토종 투수 중 '''WAR 1위'''를 기록했다.] 7월 말 부상 이후 시즌 막판까지 등판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재활 후 10월 말 성공적으로 복귀해 [[202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승선, '''2경기 13이닝 3실점(2자책) 1선발승'''을 기록하며 팀의 첫 통합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1년)] 지난해 전반기의 활약을 올해는 풀타임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지 기대를 모았으나 또 부상이 발목을 잡아서 전반기를 통으로 날렸고, 올림픽 출전도 좌절되었다. 결국 수술 판정을 받으며 1군에서 단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다음 시즌부터는 건강함을 증명해야 한다.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 규정 이닝은 채우지 못했지만 토종 선발 최상위권의 sWAR을 기록하며 '건강한 구창모'는 리그 탑급임을 보여주었다. ==== [[비FA 다년계약]] ==== 2022년 12월 17일 '''6+1년 보장 88억, 최대 132억'''의 [[비FA 다년계약]]을 맺게 되었다. 계약 세부 내용은 FA 자격에 따라 달라지는데 원래 구창모가 FA가 될 예정이었던 2024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획득할 경우 6년간 보장 90억 + 옵션 35억의 계약이 되어 최대 125억을 수령하며, FA 자격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 7년차 옵션이 추가되어 7년간 보장 88억 + 7년차 옵션 포함 총 옵션 44억의 계약이 되어 최대 132억을 수령한다. 똑같이 비시즌에 다년 계약을 맺은 [[박세웅]]의 선례처럼 군 입대시엔 입대기간만큼 계약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며[* 군인복무규율에는 군인 신분으로 영리적인 업무 또는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다. 즉, 구창모가 군에 입대하면 군보류수당, 군 관련 수입 외에 다른 수입이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군 복무 기간에 계약이 유예가 되는 것.], 계약 기간 동안 FA 자격을 취득하지 못할 경우에 자동으로 1년 옵션이 발동되는 형태라고 한다. 만약 아시안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따서 예술체육요원 자격을 얻으면 최소 2028년, 최대 2029년까지, 만약 군 입대시 무려 '''최소 2030년, 최대 2031년'''까지 NC에 남게 된다. 사실상 전성기를 NC에서 모두 보낸다고 봐도 무방한 일종의 종신계약에 가깝다. 그러나 팬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긍정적인 입장은 적어도 출전을 할 수 있으면 이 정도 퀄리티의 피칭을 보여줄 수 있는 선수를 FA가 되면 이 정도로 싸게 잡을 수 없기도 하지만 옵션을 많이 넣어서 안전장치까지 넣고 잘 잡았다는 입장이고, 부정적인 입장은 병역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데다가 잦은 부상으로 규정 이닝을 단 한 번도 채워본 적이 없는데 안전장치를 고려해도 너무 많은 금액을 준 것이 아니냐는 입장이다. 구창모 본인 입장에서는 2023 시즌 사실상 1선발로 낙점받은 상태에서 이제 큰 규모의 계약을 받은 만큼 몸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 [[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 부상이 또 발목을 잡은 시즌으로 전반기 좋은 활약으로 아시안 게임 와일드카드에 선발되었으나 반시즌도 채우지 못하고 또다시 피로골절이 발생하며 NC 팬들에게 크게 비판받는 중이다. 결국 이 부상이 발목을 잡아, '''아시안 게임 와일드카드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시즌 막바지인 9월 22일 LG전에 불펜으로 등판하면서 복귀했지만 바로 다음 경기인 27일 KIA전 더블헤더 1차전에도 불펜으로 투입됐다가 2.1이닝만에 왼 팔에 통증을 호소하며 마운드를 내려갔고 검진 결과 '''왼쪽 척골 골절상'''을 진단 받으면서 시즌 아웃되었다.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4 시즌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2017 APB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창모.jpg|width=100%]]}}} || || APBC 대표팀 연습경기 등판 시 || ||<-1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9539D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삼진 || || 2 || 0 || 1.1 || 13.50 || 0 || 0 || 0 || 0 || 2 || 1 || 2 || 2 || 0 || 1 || 2017년 10월 10일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최종 엔트리에 승선했다. [[장현식]], [[김성욱]], [[이민호(1993)|이민호]],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와 함께 나간다. 10일 진행된 연습 경기에서는 5회 구원 등판해 단 10구를 던져 1이닝을 1K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12일 연습 경기에서는 4회부터 등판했고, 이날 등판한 대표팀 투수 중 가장 좋은 공을 던지며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기록은 3이닝 39구 2피안타 3K 무실점. 대회 개막전인 16일 한일전에서는 선발 [[장현식]]의 뒤를 이어 6회부터 등판했다. 그러나 초구에 좌전 안타와 2구째에 우중간 홈런을 맞으며 2실점을 해버렸다. 이후 땅볼로 아웃카운트 하나를 잡아내긴 했지만 바로 [[박진형]]과 교체되었다. 연습 경기 때의 구위를 감안하면 너무나도 아쉬운 투구. 결승전인 19일 일본전에서는 0-7로 뒤진 8회 등판하여 1이닝을 1K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 [[2023 WBC|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1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실점 || 자책점 || 4구 || 삼진 || 상세 || || 2 || 0 || 1.1 || 13.50 || 0 || 0 || 0 || 0 || 3 || 2 || 2 || 0 || 1 || - || [[이용찬]], [[박건우(1990)|박건우]]와 함께 NC 선수로서 최종 엔트리에 승선하였다. 3월 7일 한신 타이거즈와의 최종 평가전에서 [[박세웅]]의 뒤를 이어 3회말 등판했으나 공인구 적응이 안 되었는지 0.2이닝 2피안타 2사사구 2실점으로 이닝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강판되었다. 3월 10일 일본전에선 탈탈 털리며 7회에 4:11까지 벌어진 점수차에 등판했으나 자신에게 주어진 11구 동안 고작 아웃카운트 한 개를 잡는 동안 2피안타 2실점으로 강판당했다. 게다가 뒤이어 나온 [[이의리]]가 구창모의 책임 주자를 폭투와 밀어내기로 전부 분식해 4:13까지 스코어가 벌어지게 되었다. 3월 13일 중국전에서는 5회 등판해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팀은 콜드게임으로 승리했다. 감독의 잘못된 투수 운영의 희생자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평가전에서의 모습을 고려하면 그토록 우려되던 공인구 적응에 완벽히 실패하면서 그동안 기대받았었지만 국제 무대에서 공인구 적응 실패로 일본전에서 부진하는 실망스런 모습을 보여주며 아쉬움을 남겼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참가 불발) === 예상대로 와일드 카드로 엔트리에 승선하였다. 사실상 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대회이기 때문에, 본인도 총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메달을 따지 못한다면 12월 상무에 입단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2025년 중반에서야 돌아오기 때문에 본인에게도 또 팀에게도 무조건 금메달이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부상으로 인한 전반기 아웃되었고 복귀 시점도 불투명한 터라 아시안 게임까지 온전히 던질 수 있을지 의문인 상태다. 게다가 NC 팬들마저도 차라리 다른 건강한 투수를 데려가라고 하는 등 민심이 최악이다. 또한 구창모가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2017 APBC]][* 평가전에선 좋은 구위를 보여줬지만, 일본전에서 2구만에 안타와 홈런을 내주는 등 아쉬운 모습을 연속해서 보여줬다.], [[2023 WBC]][* 공인구 적응에 실패하며 일본전 1.1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에서 꽤나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듯, 아직 국제전에서 검증이 안되었고, 아직 규정 이닝을 한 번도 채운 적이 없는 투수를 와일드 카드로 선발한다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결국 9월 21일, 부상 회복이 더디다는 기술위의 판단으로 인해 같은 좌완 투수이자 팀 후배인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와 교체되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참가가 불발되었다. 또한 이번 시즌 후 상무 입대가 확정되었다. 그러나 9월 27일 왼쪽 척골 골절상 진단을 받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에 상무 입대를 포기하고 재검을 통해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 복무를 이행할 확률이 높아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창모(야구선수), version=555, paragraph=2, title2=구창모(야구선수), version2=577, paragraph2=6, title3=구창모(야구선수), version3=645, paragraph3=6)] [[분류:구창모(야구선수)/선수 경력]]